총 164 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창업원, <아시아 앙트레프레너십 포럼> 참가
동국대 창업원(원장 이광근)이 지난 29일(수) 온라인으로 개최된 「아시아 앙트레프레너십 포럼(AEF, Asia Entrepreneurship Forum)」에 참가, 창업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대학의 역할을 설명했다.「아시아 앙트레프레너십 포럼(AEF, Asia Entrepreneurship Forum)」은 대학과 지방정부, 기업, 창업가 등 창업 생태계를 구성하는 단체들이 가져야 할 전략과 마음가짐, 경험을 주제로 열렸다. 각 단체를 대표해 동국대를 비롯한 ▲IBIK(Institut Bisnis & Informatika Kesatuan) ▲Krya ▲CreBiz Factory ▲Female in Action 등이 참가했다. 이들 단체의 원장과 대표, 교수 등이 연사로 나와 강연했다.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지에서 총 600여 명이 온라인으로 함께했다.대학을 대표해 참가한 이광근 동국대 창업원장은 동남아권에 비해 앞선 우리나라의 사례를 통해 창업 생태계 조성에서 대학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동국대 창업원을 중심으로 대학의 창업교육 및 창업문화 확산, 창업보육 역할 등을 안내했다. 또한, 동국대 창업원의 주요 프로그램과 입주현황 등을 소개하며 대학 내 선진 창업보육 경험을 전수했다.이광근 창업원장은 “동국대 창업원은 지금까지의 성공적인 창업지원 수행능력과 경험을 국제적으로 공유하며 글로벌 창업의 지표를 제시하고 선도하는 역할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 또한, 우리의 경험을 필요로 하는 글로벌 기관들과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동국대 창업원의 위상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AT사업단, AT시스템설계 프로젝트 본선대회 개최
동국대 자율사물(Autonomous Things)사업단(단장 조경은, 이하 AT사업단)은 지난 15일(수) 동국대 중앙도서관 4층 TRANS4MER Valley에서 AT시스템설계 프로젝트 본선대회를 열었다.AT사업단은 학기마다 자율사물 경진대회를 개최, 자율사물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주어진 주제에 맞춰 자신의 아이디어와 알고리즘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2021년 2학기 주제는 <Smart Move!>로, 자율사물 기획에서 제작까지 전 과정을 학생 스스로 해결하도록 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은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로 자율사물을 직접 설계하고, Real-time Controller를 기반으로 센서 및 액추에이터와 같은 디바이스를 이용해 구성하고, 3D 프린터를 활용해 프로토 타입을 제작했다.한 학기동안 학생들은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Real-time Controller를 배우고 이를 응용해 자신만의 자율사물을 기획하고 제작했다. 이 과정에서 자율사물 설계능력과 프로그래밍 및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며 3D 프린터를 이용해 실제 작동하는 자율사물을 만들었다. 진행 과정 중 예기치 못한 문제에 대해서는 지도교수인 고봉환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 교수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기술 또는 알고리즘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했다.지난 9월부터 진행된 이번 경진대회에는 10개 팀이 참가해 경합을 벌였다. 학생들은 자신의 결과물을 직접 구동시키며 발표했다. 심사는 ▲시스템 구동의 적합성 ▲프로그래밍 적절성 ▲시스템 외관 및 기능 ▲시스템 자율성 등 6개 항목의 평가를 통해 우열을 가렸다. 총 4개 팀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최우수상은 「필동 다이나믹스」가 차지했다. 「필동 다이나믹스」는 스스로 장애물을 회피하고, 로봇의 체력에 따라 사람이 포켓볼로 잡을 수 있는 ‘Pet-bot’을 구현했다. 장애물에 대해 탐지하고 보다 정밀한 장애물 회피를 위해 LiDAR를 조건에 따라 운영하는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우수상은 「키스톤콤비」가 받았다. 공의 궤적을 예측하고 색상을 인식해 구분하는 ‘공대스리가’를 구현했다. 장려상은 「피카소」와 「베타」에게 돌아갔다. 「피카소」는 손과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해 작동하는 로봇팔 ‘코끼리 아저씨’를, 「베타」는 초음파 센서를 통해 장애물을 인식하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만들었다.‘Pet-bot’과 ‘코끼리 아저씨’는 독창적인 아이디어 및 사람과 상호작용해 동작하는 반응형 로봇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공의 색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공대스리가’의 아이디어는 조금 더 발전시키면 인간과 로봇이 함께 축구와 같은 게임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선함과 기대감을 갖게 했다.한편, AT사업단은 교육환경혁신사업을 통해 도서관 4층에 구축된 TRANS4MER Valley에서 매 학기 경진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TRANS4MER Valley는 ▲자율주행을 위한 Driving Robot Studio ▲협동 로봇을 원격 또는 직접 실습할 수 있는 Picking Robot Studio ▲프로토 타입 제작을 위한 3D 프린터 ▲제시된 문제를 기반으로 지식을 완성해 나가는 T-PBL실 ▲실제 회로를 설계하고 부품을 조립하며 팀 프로젝트를 할 수 있는 T-메이커 실습실 등 자율사물 학습에 필수적인 공간을 갖추고 있다. AT사업단 홈페이지(at.dongguk.edu)에서 신청하면 모든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조경은 AT사업단장은 “코로나19로 인해 학생들이 TRANS4MER Valley를 마음껏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 아쉽지만, 경진대회를 통해 학생들이 팀워크를 바탕으로 머리를 맞대고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이 동국대의 미래가 아닌가 생각한다”며 “매년 이런 경진대회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력을 표출하고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연결한다면 대학의 융합교육과 기업이 원하는 인재양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통로가 될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동국대 창업원, <2021 DEW-startup campus dongguk> 개최
(앞줄 오른쪽 3번째부터)이광근 동국대 창업원장을 비롯한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동국대(총장 윤성이) 창업원은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해 <2021 DEW-startup campus dongguk>을 개최했다.지난 19일(목) 오후 3시부터 동국대 원흥관 I.SPACE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동국대 창업원과 창업원이 지원하는 스타트업이 보유한 역량 및 인적자원 등의 교류를 통한 정보 공유를 위해 마련됐다.동국대 이광근 창업원장의 개회사와 김관규 연구부총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2021 DU YES AWARDS ▲창업 멘토 위촉 ▲선배창업가 강연 ▲네트워킹 프로그램 ▲창업기업 지원사업 상담 순으로 진행됐다.참가기업 중 우수한 성과를 거둔 기업을 선정해 시상하는 2021 DU YES AWARDS에서는 창업교육센터 창업동아리 ▲온고 ▲널링 ▲현제작소와 창업진흥센터의 ㈜루빗(대표 이준영), 창업보육센터의 씨너렉스(대표 박재덕), BMC창업보육센터의 엔에스비에스(대표 강승현) 등이 수상했다.또한, 동국대는 선배 창업가가 멘토가 되어 청년 창업가를 이끌어주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자 졸업한 동문을 창업 멘토로 위촉하는 「D-Heritage」 행사도 열었다. ▲노버든의 박웅종 ▲드로마의 문정호 ▲(주)머드거트의 김아나 ▲(주)엘케이아트워크의 임성환 ▲(주)코액터스의 송민표 ▲클로마운트의 김민수 ▲(주)고미코퍼레이션의 이상곤 등 총 7명이 멘토로 위촉됐다.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동국대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들의 협력 강화와 교류 활성화를 통한 상생발전을 도모하는 「BI 자치회 출범식」도 있었다. 성종형 ㈜종달랩 대표가 BI 자치회장을 맡게 됐다.이광근 창업원장은 “동국대 창업원의 모든 구성원이 함께한 이번 행사가 전도유망한 (예비)창업가들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창업원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선도하는 동국대 창업원이 되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p></p>
동국대, 메타버스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공청회 개최
동국대(총장 윤성이)가 메타버스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공청회를 연다.동국대 명상메타버스플랫폼기획연구단(단장 김관규, 이하 연구단)은 오는 14일(화) 오후 3시부터 동국대 원흥관 3층 i-SPACE에서
동국대, 「108배 기부 릴레이」 캠페인 열어
(앞줄 오른쪽부터)윤성이총장을 비롯한 동국대 관계자들이 108배 기부 릴레이 캠페인 출범식에 참석해 108배를 하고 있다.동국대(총장 윤성이)가 학교법인 건학위원회(위원장 돈관스님) 출범과 더불어 제2건학을 위한 새로운 100년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108배 기부 릴레이」 캠페인을 연다.동국대 대외협력처(처장 김애주)는 30일(화) 오후 3시, 동국대 서울캠퍼스 정각원에서 「108배 기부 릴레이 캠페인 출범식」을 개최했다. 「108배 기부 릴레이」는 108배로 평온한 심신을 이루고, 기부로 보시행을 실천하며, 권선으로 새로운 인연을 만드는 캠페인이다. 캠페인을 통해 모인 기부금 전액은 건학이념 구현을 위한 재학생 장학금으로 활용된다.첫 주자로 참여한 윤성이 동국대 총장은 2천만 원을 기부했다. 이어 교수협의회장과 총학생회장을 비롯해 직원, 스님, 동문, 불자 등 6명에게 권선했다. 두 번째 주자부터는 각 3명씩 지목하는 방식으로 릴레이를 이어 나간다. 지목을 받은 주자는 편안한 곳에서 108배를 하고 기부에 동참한 후, 3명에게 참여를 권선하면 된다. 기부 금액은 최소 10,800원부터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며, 모바일과 홈페이지를 통해 쉽게 참여할 수 있다. 윤성이 총장은 “동국대의 더 높은 도약을 염원하며 교수, 직원, 학생, 동문, 스님, 불자 모두가 마음을 모으고 또 나누며 새 인연을 만드는 역사적인 캠페인이 될 것”이라며 “마지막 한 명의 동참자가 완주하는 그날까지 끝까지 함께 하겠다. 많은 분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캠페인은 내년 5월 8일(일)까지 총 20주간 진행된다. 캠페인의 모든 진행과정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한편, 같은 날 오전 조계종 총무원장 원행스님은 윤성이 총장을 만나 「108배 기부 릴레이」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며 금일봉을 전달했다. * [현대불교] 동국대 108배 기부 릴레이 캠페인 ‘START’ * [BTN뉴스] "동국발전, 동국인 손으로" 108배 기부 릴레이 * [불교신문] 윤성이 동국대 총장 제2건학 의지 모아 ‘108배 기부 릴레이캠페인’ * [법보신문] 동국대, 새로운 100년 기틀 마련 ‘릴레이 기부’ 시작 * [BBS뉴스] “동국대생 전체 장학금을 향해”...108배 기부 릴레이 돌입
「2021 온라인 학술전자정보 박람회」 개최
동국대(총장 윤성이)가 학술전자정보 박람회를 연다.동국대 중앙도서관(관장 오병욱)은 오는 15일(월)부터 19일(금)까지 대학 구성원을 대상으로 「2021 온라인 학술전자정보 박람회」를 개최한다고 12일(금) 밝혔다.올해 처음으로 개최되는 이번 박람회는 동국대 중앙도서관이 구독하는 ▲학술DB ▲전자저널 ▲전자책 이용방법에 대한 안내와 교육을 통해 학술정보 활용능력을 증대시키고자 기획됐다. 동국대 중앙도서관은 학생들의 학습과 교수들의 교육·연구 지원을 위해 매년 18억 원의 예산을 들여 전자자료를 구입하고 있다.박람회에는 교보문고, 누리미디어, 한국학술정보, 엘스비어, 엡스코 등 총 20개의 국내외 업체 및 기관들이 참여해 다양한 전자정보자료를 만날 수 있다. 참여방법은 먼저, 동국대 중앙도서관 홈페이지(https://lib.dongguk.edu)에 마련된 온라인 부스에 접속한다. 동영상, 이용안내 자료 등을 시청하고 각 부스에서 제공하는 퀴즈에 참여한 후 마지막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제출하면 된다.동국대 중앙도서관은 5개 이상의 부스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아이패드, 에어팟, 애플워치, E-Book 리더기, 인공지능 스피커, 외장하드, 문화상품권 등 총 120명에게 다채로운 경품을 제공하는 이벤트도 진행할 예정이다.
종학연구소, 제13회 학술대회 개최
동국대 불교학술원 종학연구소(소장 정도스님)는 오는 11일(목) <불교 중흥을 위한 포교 활성화 방안-유아·청소년·대학생 교육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제13회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종학연구소는 최근 불교계에 던져진 ‘불교중흥’이라는 키워드와 행보를 같이 하는 의제를 선정했다. 이후에도 연속적으로 기획될 예정이며, 이번에는 유아·청소년·대학생 교육을 중점으로 포교 활성화 방안을 논의한다.학술대회에서는 총 4개의 주제발표가 진행된다. 먼저 제1주제로 동대부여고 교장을 역임한 김형중 박사가 <인성교육을 통한 청소년 포교 활성화 방안>에 대해 발표를 맡는다. 오랜 교직기간 동안 현장교육의 총책임자로 일하며 기른 안목과 통찰로 보는 청소년 교육현장의 포교 방안이 기대된다. 또한, 이학주 동대부여고 교법사가 논평을 맡아 실질적인 논의의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제2주제는 <육바라밀 기반 철학적 탐구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가지고 동국대 경주캠퍼스 유아교육학과 겸임교수인 명진스님이 발표를 진행한다. 임영숙 전남대 교육학박사가 논평을 맡는다. 제3주제와 제4주제는 동국대의 대표적인 불교교양강좌인 ‘불교와 인간’, ‘자아와 명상’ 교과목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된다. 제3주제는 ‘불교와 인간’ 강좌를 중심으로 대학생 포교 방안에 대해 김은영 연구초빙교수와 이석환 학술연구교수가 공동으로 연구해 발표한다. 전 불학연구소장인 정운스님이 논평을 맡는다. 제4주제 역시 ‘자아와 명상’ 강좌 책임교수인 휴담스님과 원상스님이 공동으로 연구 및 발표한다. 동국대 강사인 진관스님이 논평으로 예정되어 있다. 한편, 이번 학술대회는 포교 활성화 방안이라는 주제에 맞게 교육 현장에서의 내용 검토 및 적용 가능성을 담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대를 모은다. 학술대회 의제는 최근 ‘불교중흥’이라는 불교계의 화두에 맞춰, 종학연구소가 대상별·주제별로 나눠 시리즈로 개최한다. 차기 학술대회는 중장년층·노년층·다문화가정 등 대상을 차별화하여 개최된다. 종학연구소장 정도스님은 “‘이 시대의 불교중흥’이라는 새로운 키워드가 던져진 시점에, 포교의 대상에 역점을 두어 보다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며 “11월부터 실시된 위드코로나 시기를 맞아 모처럼 학술대회 역시 대면으로 진행한다. 그럼에도 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방역수칙은 철저히 준수하겠다”고 밝혔다.
동국대, 2021 NRF 온라인 세계문학·윤리 심포지움 개최
동국대(총장 윤성이)가 「2021 NRF 한미특별협력과제 온라인 세계문학 번역의 미학과 윤리 심포지움」을 개최했다.이번 심포지움은 5일(금)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 20분까지 <세계문학에서의 번역의 미학과 윤리: 번역가의 임무>를 주제로 열렸다. 동국대 트랜스미디어세계문학연구소와 디지털인문학 LAB(소장 김영민), 단국대 외국어대학, 한국영어영문학회,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후원은 한국연구재단(NRF)과 국제비교문학협회(ICLA), 국제번역과 문화 간 연구협회(IATIS)가 맡았다.동국대 디지털인문학 LAB 소장을 맡고 있는 김영민 동국대 명예교수는 “현실적으로 유의미하고 연관성이 있는 접합점을 찾아내는데 번역의 역할이 있다고 생각한다. 융합적·실천적·직접적 번역을 번역가의 임무로 보고 세계문학에서의 번역의 미학과 윤리를 재조명하고자 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세션1에서는 세계문학에서의 초문화적 모빌리티와 기억에 관한 번역의 미학을, 세션2에서는 인간세(Anthropocene)와 팬데믹 시대의 세계문학 번역의 윤리를 논의했다”고 덧붙였다.이를 위해, ▲안선재(서강대 명예교수) ▲하운 소시(시카고대 교수) ▲로레다나 폴레지(스토니브룩대 교수) ▲B. 벤캇 마니(위스콘신메디슨대 교수) ▲이사벨 고메스(앰허스트-보스턴대 교수) 등 5인의 세계문학 번역 전문가들이 강연을 진행했다. 이어 산드라 버만(프린스턴대 교수) 국제비교문학협회장과 한국연구재단 한미특별협력 연구과제 연구책임자 김영민 동국대 교수를 중심으로 토론과 질의응답을 통해 번역의 미학과 윤리에 기반을 둔 번역가의 의무를 재조명하고 미래방향을 제시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동국대, 한국예이츠학회 창립 30주년 국제학술대회 개최
동국대(총장 윤성이)가 「한국예이츠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이번 학술대회는 29일(금) 오전 10시부터 30일(토) 오후 9시까지 <2021 팬데믹과 불안정의 시대의 한 아일랜드 시인 W. B. 예이츠의 시각에서 본 세계관>을 주제로 열린다. 동국대 트랜스미디어세계문학연구소와 디지털인문학 LAB(소장 김영민), 한국예이츠학회(회장 김주성)가 공동으로 주관한다. 후원은 한국연구재단과 동국대, 단국대, 주한아일랜드대사관, 주미아일랜드대사관, 국제아일랜드문학협회(IASIL), 국제윤리문학비평협회(IAELC), 국제예이츠학회(International Yeats Society of Korea) 등이 맡았다.동국대 디지털인문학 LAB 소장을 맡고 있는 김영민 동국대 명예교수는 “1921년 영국과 아일랜드는 「영국-아일랜드 조약(Anglo-Irish Treaty)」을 체결했고, 이는 아일랜드 정치적 분단의 발단이 됐다. 아일랜드와 영국의 평화유지와 협정이 어떻게 이뤄졌나를 살펴보는 것은 모든 분단국가의 쟁점을 논의하는 하나의 모델이 되고 있다”며 “2021년은 이 분단 조약 100주년이자, 한국예이츠학회 창립 3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에, 국제예이츠학회 및 국제아일랜드문학협회와 협의하고 주한아일랜드대사와 주미아일랜드대사의 협조로 학술대회를 개최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학술대회는 마저리 퍼로프(스탠포드대 교수)와 워윅 골드(런던대 교수)의 기조강연으로 문을 연다. 이어, 한·중·일 등 아시아에서의 예이츠와 아일랜드 문학의 지역적 측면을 논의한다. 또한, 유럽과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예이츠와 아일랜드 문학전공자 총 30인이 이틀에 걸쳐 지적향연과 시낭송을 겸한 심포지움을 진행한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이번 국제학술대회에 참가를 희망하는 사람은 줌 링크(https://us02web.zoom.us/j/7980964317?pwd=OG1GbGJQYkNQZXJYQSsxUys4dllzdz09)를 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동국대, 제6회 대학리빙랩네트워크 리빙랩 국제포럼 개최
동국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단(단장 정영식)은 지난 20일(수)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국내·외 전문가들과 함께 「제6회 대학리빙랩네트워크 리빙랩 국제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철저한 방역체계를 준수한 가운데 온·오프라인을 병행해 개최됐다. <대학의 산학협력과 리빙랩>을 주제로 교육부 LINC+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대학들이 산‧관‧학‧지 상생협력 플랫폼 『대학 리빙랩』을 통해 어떻게 지역사회와 협업을 강화하고 지역사회를 발전시켜 왔는지 논의했다. 또, 대학 간 우수성과와 사례공유 그리고 토론 등을 통해 대학 주도의 지역사회혁신을 이야기하는 시간도 가졌다.1부 행사는 유기홍 더불어민주당 교육특별위원회 위원장의 축사로 문을 열었다. 유기홍 위원장은 “대학 리빙랩 사업은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역사회와의 유대를 높여 대학과 지역공동체를 함께 살릴 수 있는 중요한 대학혁신의 한 방안”이라며 “앞으로도 대학 리빙랩 사업에 깊은 관심을 갖고 뒷받침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남기곤 한국연구재단 학술진흥본부장은 축사를 통해 “리빙랩은 우리주변의 사회문제, 고급기술이 아니더라도 국민의 불편을 해소하는 기술, 글로벌 사회문제에 동참할 수 있는 선진국으로서의 품격 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라 강조하며 “지역과 함께하는 대학의 구성원이, 시민과 함께 문제해결의 주체로서 참여하는 대학리빙랩네트워크의 의지와 활동을 응원하며 정부와 협조해 대학의 사회적 책임 수행노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2부에서는 국내·외 대학의 산학협력과 리빙랩 사례발표를 통해 대학 주도의 지역사회혁신 방향에 대해 고민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먼저 네덜란드 폰티스(Fontys) 대학 모니카 베거(Monica Veeger) 교수가 <네덜란드 대학의 산학협력과 리빙랩>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어 일본 동경도시대학 사카쿠라 쿄스케(Sakakura Kyosuke) 교수의 <지속가능한 대학의 지역협업 리빙랩> 주제발표와 한동숭 대학리빙랩네트워크 회장의 <대학 리빙랩의 성과와 LINC3.0>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주제발표가 끝난 후에는 한동숭 회장을 좌장으로 대학 리빙랩 사업을 가장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는 9개 대학(▲동국대 ▲경남대 ▲계명대 ▲대전대 ▲동서대 ▲동명대 ▲전남대 ▲전북대 ▲전주대)이 LINC+사업을 통해 생활과 기술, 사회혁신분야에서 이뤄낸 성과를 정리했다. 더불어 LINC3.0을 위한 향후과제 도출을 끝으로 포럼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한편, 대학 리빙랩네트워크는 지난 2019년 7월 국회에서 첫 출범 이후 매년 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동국대를 비롯한 8개 대학리빙랩네트워크 운영대학이 공동주관하고,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후원으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