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디그리

마이크로디그리

동국대학교 모듈형 교육과정으로 10학점이상 15학점 이하로 구성된 모듈형 교육과정입니다.

마이크로디그리 소개 이미지

* 위 마이크로디그리명을 클릭하면 상세 교육과정 확인 가능합니다.

 

 

신청방법 및 문의처

  • 동국대학교 모듈형 교육과정으로 10학점이상 15학점 이하로 구성된 모듈형 교육과정
  • 최근 산업수요 및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으로 구성

마이크로디그리 목적

  •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창의·융합형 혁신인재 양성
  • 학과 간 장벽을 넘어 최신의 학문 분야에 대한 다양한 학습경험 제공
  • 계층적 융합 교육과정(마중교과목 ⇨ 나노디그리 ⇨ 마이크로디그리 ⇨ 연계전공 ⇨ 융합전공)을 통한 융합교육 활성화

마이크로디그리 유형

<유형 1>
[융합]Micro Degree
<유형 2>
[연계•융합전공]Micro Degree
<유형 3>
[학과 트랙]Micro Degree
유형1 유형2 유형3
  • 주관학과 포함 2개 이상의 학과 참여
  • 주관학과 포함 2개 이상의 학과 참여
  • 주관학과 단독으로 참여

마이크로디그리 개발 및 운영 시스템

운영시스템

마이크로디그리 신청 및 이수증 발급 방법

신청시기

복수전공/ 연계전공/ 융합전공 신청시기와 동일(학교 홈페이지 공지란 확인)

신청 및 승인

  • 매 학기 지정된 신청기간에 신청
  • 신청방법 : 유드림스 접속 신청(유드림스-> 학적-> Nano/MicroDegree 관리-> Nano/MicroDegree 신청)
  • 신청승인 : 마이크로디그리 책임교수 소속 단과대학에서 승인처리

이수증명서 발급

  • 마이크로디그리 지정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졸업요건을 충족한 학생에 한해 발급
  • 마이크로디그리 지정 교육과정을 이수했지만 졸업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이수예정증명서 발급
  • 이수증 발급 방법(유드림스-> 학적-> Nano/MicroDegree 관리-> Nano/MicroDegree 증명발급)
  • 교무처장명의 이수증명서 개별 출력 가능

기타

  • 신청 이전에 마이크로디그리 교과목을 이수하였어도 교과목 이수 인정
  • 졸업증명서와 성적증명서에 Micro Degree 교육과정 이수 내역 표기 : 졸업/수료가 확정되는 해당 정규학기 말(학위수여일 기준)에 기재

코스 카탈로그 확인하기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 책임교수 및 문의처

유형 Micro Degree명 이수학점 책임교수 학과 문의처
연구실 단과대학
유형1 ESG 경영 15 오충현 바이오환경과학과 031-961-5123
(ecology@dongguk.edu)
바이오시스템대학
031-961-5105
디지털 비즈니스 15 김경재 경영정보학과 02-2260-3324
(kjkim@dongguk.edu)
경영대학
02-2260-8887
디지털역사학 15 김택경 사학과 02-2260-3183
(kktmkj@naver.com)
문과대학
02-2260-3756
바이오빅데이터분석 12 이민호 생명과학과 02-2260-5138
031-961-5138
바이오시스템대학
031-961-5105
법심리학 15 조은경 경찰행정학부 02-2260-3254
(ekjo@dongguk.edu)
경찰사법대학
02-2260-3370
불교디지털콘텐츠 15 신성현 불교학부 02-2260-3182
(neostellar@dongguk.edu)
불교대학
02-2260-3098
불교문화콘텐츠 15 신성현 불교학부 02-2260-3182
(neostellar@dongguk.edu)
불교대학
02-2260-3098
비즈니스데이터 애널리틱스** 15 정욱 경영학과 02-2260-3286
(ukjung@dongguk.edu)
경영대학
02-2260-8887
사회변동기 행정엑스퍼트 15 주창범 행정학과 02-2260-3256
(cbju@dongguk.edu)
사회과학대학
02-2260-3105
어카운팅데이터사이언스** 15 조광희 회계학과 02-2260-3296
(phdcho@dongguk.edu)
경영대학
02-2260-8887
이야기산업 15 김일환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02-2260-3148
(chukong88@gmail.com)
문과대학
02-2260-3756
전자물리바이오 12 김선정 생명과학과 031-961-5129
(sunjungk@dongguk.edu)
바이오시스템대학
031-961-5105
지능형통신 13 임민중 정보통신공학과 02-2260-3595
(minjoong@dongguk.edu)
공과대학
02-2260-3862
지속가능 생물생산학 12 이상용 바이오환경과학과 031-961-5127
(soilsang@gmail.com)
바이오시스템대학
031-961-5105
유형2 서베이 방법론 전문과정 15 김선웅 SW교육원 02-2260-3245
(sunwk@dongguk.edu)
SW교육원
02-2290-1409
유형3 IoT기술 15 김웅섭 정보통신공학과 02-2260-3833
(woongsup@dongguk.edu)
공과대학
02-2260-3862
국제개발정보과학 15 이승철 지리교육과 02-2260-3402
(leesc@dongguk.edu)
사범대학
02-2260-3108
디지털 바이오 헬스케어 공학 15 양승훈 의생명공학과 031-961-5156
(shyang@dongguk.edu)
바이오시스템대학
031-961-5105
디지털공인탐정* 15 김연수 융합보안학과 02-2260-3657
(kimys36@dongguk.edu)
미래융합대학
02-2260-3633
머신러닝 15 김지희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02-2260-4973
(jihie.kim@dongguk.edu)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02-2260-8957
메타버스 15 조경은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02-2260-3834
(cke@dongguk.edu)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02-2260-8957
사회과학 분야를 위한 데이터사이언스 15 박명호 정치외교학과 02-2260-3121
(mpark@dongguk.edu)
사회과학대학
02-2260-3105
사회복지상담실천* 15 최상미 사회복지상담학과 02-2260-3659
(schoi@dongguk.edu)
미래융합대학
02-2260-3633
산업데이터사이언스 15 이우진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02-2260-3286
(ukjung@dongguk.edu)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02-2260-8957
응용데이터사이언스 15 이영섭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02-2260-3218
(yung@dongguk.edu)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02-2260-8957
인공지능철학 15 유흔우 철학과 02-2260-3191, 3141
(wiseeyeyoo@dongguk.edu)
문과대학
02-2260-3756

* 디지털공인탐정, 사회복지상담실천 마이크로디그리는 미래융합대학 소속 학생만 신청 가능

** 비즈니스데이터애널리틱스와 어카운팅데이터사이언스는 중복 이수 불가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디지털 역사학

책임교수 한마디

디지털 역사학 Micro Degree 교육과정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기술을 활용해 역사를 연구 및 교육하며,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역사콘텐츠를 생산하거나 공유하는 활동이다. 4차 산 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디지털 사고능력을 배양하고 유관 기관과 기업에 진출하고자 하는 수강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한다.

교육과정 개요

디지털 역사학 Micro Degree 교육과정은 디지털 역사콘텐츠의 제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운용 기술을 습득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콘텐츠를 생산하는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 로 한다. 이러한 취지를 실현하고자 다음과 같이 강의를 구성한다. ① 역사정보데이터베이스, ② 디지털 역사문화콘텐츠, ③ 3D 타임머신, ④ 3D 동국여지승람, ⑤ 문학 자료의 디지털 정 보화 연습. 이들 강의는 철저하게 수강자의 프로그램운용 능력과 실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에 주안점이 있다. 또 수강자의 능동적인 학습능력을 배양하고 문제 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자 PBL(Project Based Learning)과 팀티칭 교수법을 적용한 점 역시 본 교육과정의 특징 중의 하나 이다.

교육목표

디지털 역사학 Micro Degree 교육과정은 디지털 역사콘텐츠의 제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운용 기술을 습득하여 미래의 학습역량인 디지털 리터러시와 데이터 리터러시를 함양함으로 써 다양한 멀티미디어콘텐츠를 생산하는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과목 소개

HIS4045 역사정보데이터베이스(캡스톤디자인) History Database Practice(Capstone Design)
역사정보데이터베이스를 학습자 스스로 가공하여 구축하도록 하고 이를 직접 활용하여 2차 콘텐츠로 생산, 활용하는 연습을 한다.
HIS4046 디지털역사문화콘텐츠(캡스톤디자인) Digital History and Cultural Contents(Capstone Design)
역사정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영상화와 스토리텔링을 결합한 콘텐츠 구성 및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HIS4043] 3D 타임머신 3D Time Machine
디지털 역사문화 콘텐츠에서 연구한 내용을 3D로 구현하여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HIS4044] 3D 동국여지승람 3D HGIS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을 이해하고 문헌 자료를 공간으로 구현, 생산하는 방법을 익 힌다.
[KCC2017] 문학자료의 디지털정보화연습 Digital Information of Literacy Data
정보기술도구를 활용하여 문학 텍스트 및 인문학적 주제를 다루는 새로운 방법을 연습 한다. 이때 수업은 ①소프트웨어 연습을 통해 기초적인 정보기술 활용 역량을 높이며, ②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새롭고 다양한 관점으로 현상을 파악하고 문제를 발견·해결 하는 창의융합 역량을 높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분석 연급 - e-book이나 코퍼스 분석
- G.I.S를 활용한 ‘과학적 시각화’ 연습 - 지리정보와 연관
-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정보 분류·정리 능력 함양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김택경 사학과 교수 역사학
  • 역사정보데이터베이스(캡스톤 디자인)
  • 디지털 역사문화콘텐츠(캡스톤 디자인)
최원재 문화학술원 HK+사업단 연구교수 교육학
  • 역사정보데이터베이스(캡스톤 디자인)
  • 디지털 역사문화콘텐츠(캡스톤 디자인)
  • 3D 타임머신
최연식 사학과 교수 역사학
  • 3D 동국여지승람
엄기석 사학과 강사 역사학
  • 3D 동국여지승람
김일환 국어국문문예 창작학부 교수 문학
  • 문학 자료의 디지털 정보화 연습

진출분야

디지털 역사학 Micro Degree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은 대학원에 진학하여 더욱 더 전문적인 전공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또 석사 혹은 박사 학위 취득 후에는 공공기관이나 대학 및 연구소 등에서 교원·연구원으로 진출하거나, 박물관·기념관·미술관·기록관 등에서 (디지털) 큐레이터로 전문적인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역사 지식과 멀티미디어 제작 능력을 바탕 으로 방송국·영화사·멀티미디어 개발 기업·기획사·출판 및 언론사 등에서도 전문적인 직무를 맡아 활동할 수 있다.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이야기 산업

책임교수 한마디

사람들에게 재미와 감동을 줄 수 있는, 독창성과 보편성을 가진, 한국적이며 세계적인, ‘진짜 이야기’를 함께 만들고자 합니다.

교육과정 개요

콘텐츠의 힘은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이야기(story)에서 나온다. 문화콘텐츠 개발은 재미와 감 동을 주는 이야기에서 출발해야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이야기는 기술, 미디어 매체, 유통 플랫 폼과 결합되면서, 상상할 수 없을 만큼의 부가가치를 생산한다. 따라서 이야기 산업은 출판, 만화, 영화, 방송 등 주요 콘텐츠산업의 뿌리 산업이면서, 동시에 창조산업, 저작권산업, 융합산업의 성 격을 갖는다. 이야기산업 마이크로디그리는 이야기의 소재를 찾고, 이야기를 만들며, 이야기를 변용하고, 유통시키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이다. 한국의 문화 전통에서 이야기를 길어 올려 글로벌 시장에서의 독창성을 확보하고, 다른 나라〮 낯선 문화에서 만들어진 이야기를 우리 사회와 문화의 맥락에 적용시키는 작업을 함께 한다.

교육목표

한국의 역사와 전통에 기반한, 독창적이고 보편적인 이야기(story) 자원을 조사, 발굴, 기획, 개발, 창작, 유통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콘텐츠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한국의 문화전통과 역사에 기반한 이야기를 만드는 창조적 지식인
  • 한국적 요소를 원천으로 한 이야기로 글로벌 콘텐츠시장을 개척하는 진취적 도전자
  • 국경을 넘어 이야기 소개를 자유롭게 활용하는, 보편성과 차별성을 아우르는 글로벌 인재
  • 가상과 현실을 융합하고, 콘텐츠의 확장과 연결이 자유로운 화쟁형 인재

교과목 소개

[KOR4100] 서사문화실습(캡스톤디자인) Narrative Culture: From Myth to Computer Game(Capstone Design)
인류문화의 중요한 특성인 서사는 신화와 설화, 소설은 물론 영화, 드라마, 만화, 애니메 이션, 게임 등 다양한 현대문화의 장르에 공통되는 것이다. 이 강좌에서는 정통문학은 물론 대중문화까지를 아우르는 서사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현대문화의 영 역에서 서사문화의 방향을 전망해 본다.
[HIS2028] 역사자료의이해와활용 Applied History through Manuscripts
역사전공자로서 역사자료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익히도록 한다
[KOR4089] 고전과콘텐츠(캡스톤디자인) Classics and Contents(Capstone Design)
한국의 고전문학을 문화콘텐츠의 원천 소재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한국적 스토 리와 캐릭터 개발의 주요 원천으로 주목 받았던 신화, 설화, 소설 등 고전서사는 물론 향 가와 시조를 비롯한 옛노래, 여행과 체험을 기록한 한문산문 등 고전문학 전반을 대상으 로 콘텐츠 분석과 현재적 활용을 위한 기획을 수행한다.
[KOR4111] 크리에이티브 논픽션(캡스톤디자인) Creative non-fiction(Capstone Design)
크리에이티브 논픽션은 단순히 기록을 하는데 바탕을 둔 논픽션에 글의 스토리텔링을 부각시킨 장르의 작품을 의미한다. 사실, 과학, 일상 체험 등 정확한 사실에 생명력을 불 어넣어 스스로 빛나게 만든 장르를 말한다. 이 강의에서는 르로프타주, 회고록, 구술록, 여행기, 답사기, 탐방록, 역사 등 이야기를 갖춘 논픽션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픽션과 논 픽션의 경계를 허물고 이야기 중심의 글을 텍스트로 삼아 분석·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작품을 기획·창작한다.
[EGC3065] 포스트코로나 시대와 일본의 서브컬처 Post-Corona Era and Japanese Subculture
서브컬처는 당대의 사회를 반영하며 동시에 새롭게 구성하는 상상력을 동시에 보여준다 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어떠한 시대가 될 것이며, 우리는 어떠한 새로운 상상력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까? 본 수업에서는 일본 서브컬처의 역사를 통해 대중을 매혹시키는 스토리와 캐릭터를 눈과 새로운 상상력을 확장시키는 방법으로서 일본의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방송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박광현 국어국문문예 창작학부 교수 문화학
  • 서사문화실습(캡스톤디자인)
김택경 사학과 교수 동아시아 근현대사
  • 역사자료의이해와활용
김태진 일본학과 교수 일본정치
  • 포스트코로나시대와 일본의 서브컬처
김일환 국어국문문예 창작학부 교수 한국고전 문학
  • 고전과콘텐츠(캡스톤디자인)
  • 크리에이티브논픽션(캡스톤디자인)

진출분야

  • KOCCA(한국콘텐츠진흥원)를 비롯한 콘텐츠관련 각종 스토리 작가 지원사업 및 공모전 참여
  • 프리랜서 크리에이터
  • 일반/만화 출판사, 웹툰·웹소설 플랫폼, 영화사, 방송사, 애니메이션업체, 게임사, 광고기획사, 캐릭터 제작업체, 공연(연극/뮤지컬) 업체 등 이야기산업 분야 전반
  • 일반기업 및 공공기관의 콘텐츠 기획/개발 부서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사회변동기행정엑스퍼트

책임교수 한마디

It is always wise to look ahead, but difficult to look further than you can see. 우리는 새로운 산업혁명의 시대를 통과해가고 있습니다. AI혁명, 빅데이터 혁명 등이 그것입니다. 우리는 이 도도한 물결의 어디에 서 있는지, 그 끝이 어디인지 가늠할 수 없습니다. 행정학과의 마 이크로디그리 과정과 함께 하면서 4차 산업혁명이 공공분야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우리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공부해보시기 바랍니다.

교육과정 개요

행정학과의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은 4차 산업혁명이 우리 사회와 정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 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 이론, 방법론 등을 강의합니다.

교육목표

정책형성, 정책분석, 공공경제론, 행정법은 행정학도로서 반드시 배울 주요 과목이다. 현재 사회는 기술변화에 따른 사회변혁기의 초입에 있다. 이러한 사회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행정 인력을 양성할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 등 기술변혁, 사회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행정 전문성 을 가진 행정학도를 양성하고자 한다.

교과목 소개

[PUB4055] AI 시대의 행정법 Administrative Law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본 강좌는 인공지능, 즉 AI의 도입에 따른 정책 변화에 주도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미 래의 공무원 및 정책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행정법 이론과 판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이를 위해 4차산업혁명 시대의 특징을 살펴본 후 행정법의 의의 및 이의 기본 원리에 대하여 이해하고 행정법 상 주요한 운영 체계에 대하여 파악하도록 한다. AI시대 의 실생활에서 행정법이 지니는 의의에 대하여 학습하도록 한다.
[PUB4056] 4차 산업혁명과 공공경제학 Public Econom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본 강의는 4차 산업혁명의 풍부한 복잡성과 역설을 풀기 위해 최첨단 경제 분석과 사회 과학을 적용합니다. 본 강의는 기술 동인, 인간 생태계에 대한 심오한 영향 및 지속 가능 한 인간 개발의 잠재력을 통해 대담하고 상쾌하며 유익한 여행으로 수강생들을 안내합 니다. 수강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4차 산업혁명이 단순히 두려워하거나 생존해 야 할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기술, 분야 및 아이디어의 이 극적인 충돌은 새로운 개척자 세대가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번창할 수 있도록 "받아들인 규칙"과 훌륭한 새 길을 다시 쓸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이 과정은 학생들이 파괴와 변혁의 차 이점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td>
[PUB2011] 정책형성론과 AI(어드벤처디자인) Policy formation and AI
정책형성과, AI(인공지능)에 따른 여러 정책 변화에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대처함과 동시 에 공무원 및 국가의 정책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정책형성 이론을 모색하려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징을 여러 면에서 살펴보고 정책형성의 의의와 그 기 본원리에 대하여 이해하고 정책상 주요한 운영 체계에 대하여 파악하도록 한다. AI시대의 실생활에서 정책형성론 측면에서 내포된 의의에 대하여서도 학습하고자하며 AI 융복합시대의 정책 행위의 의미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정책들의 기본적인 운영 원 리 및 적용 원리에 대하여 이해한다. 향후 정책들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등 구체적인 내 용을 통해 학습에 정책적 측면의 역량을 늘려보도록 한다.
[SOC4004] 사회변동론 Social change theory
이 강좌는 사회학에서 가장 본질적인 주제 가운데 하나인 사회변동을 다룬다. 사회변동 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일어날 수 있지만, 본 강좌에서는 기술변동과 사회변동 사이의 역동적 관계에 초점을 둔다. 이 강좌는 다음과 같이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먼저, 첫 8주 동안은 사회변동에 관한 다양한 고전 및 현대 사회학 이론들을 고찰하고, 그 이 론들이 제시하는 변동의 원인과 유형들을 파악한다. 나머지 7주는 이러한 이론적 이해 를 현재 거론되고 있는 사회변동에 적용하는데 할애된다.
[PUB4054] 정책분석과 빅데이터 Policy Analysis and Big Data
본 과목은 정책형성 후 정책대안을 선택하기 위한 정책분석에 대해 학습한다. 정책을 결 정하기 위해서는 정책대안을 체계적으로 탐색한 후 각각의 정책대안에 대한 장단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최적의 정책대안을 선택해야 한다. 본 과목에서 학생들은 정책대안 선택 및 최적의 정책을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분석 도구에 대해 학습한다. 특히 4차 산업 혁명의 중요한 분석도구인 빅데이터가 정책분석과정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 지에 대 한 이론 및 실무적 지식을 학습한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김민휴 행정학과 교수 도시정책, 스마트시티
  • 4차 산업혁명과 공공경제학
  • AI시대의 행정법
주창범 행정학과 교수 조직이론
  • 정책형성론과 AI(어드벤처디자인)
오영민 행정학과 교수 공공정책 및 관리
  • 정책분석과 빅데이터
김상문 사회학과 교수 사회학
  • 사회 변동론

진출분야

  • 정부 중앙부처 공무원,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공기업, 정부연구소 등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디지털공인탐정

책임교수 한마디

4차산업혁명 시대의 셜록홈즈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요? 아마도 사이버공간을 자유 롭게 넘나들며, 디지털포렌식을 하는 그런 모습을 하고 있지는 않을까요? 디지털 공인탐 정 Micro Degree 과정은 OECD 국가 가운데 우리나라만 유일하게 허용되지 않았던 공인 탐정업이 미래사회의 유망신산업으로 폭발적 성장이 전망되는 가운데, 디지털 포렌식을 접목한 융합교육과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합니다.

교육과정 개요

공인탐정은 떠오르는 새로운 유망 전문직이 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유망 직종의 전문직 을 배출하는 디지털 공인탐정 Mircro Degree를 이수함으로서 공인탐정 분야에서 디지털 범죄 또는 디지털포렌식 전문가로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탐정업. 민간 조사업 뿐만 아니라 민간보안업체, 로펌 등에서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을 것입니다.

교육목표

공인탐정 Micro Degree의 교육 목표는 선진국처럼 한국 탐정도 다양한 업무를 할 수 있는 인 재로 양성하는 것입니다. 유능한 탐정 육성을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디지털포렌식 조사, 디 지털포렌식 실무, 형사소송법, 범죄수사론, 형사사법입문 등의 교육이 이루어집니다. Micro Degree 개발로 탐정업이 활성화되고 우리나라의 탐정업의 경쟁력도 높아질 것입니다.

교과목 소개

[PAS4018] 범죄수사론 Criminal Investigation
범죄수사의 역사, 이론 및 실습을 소개하고, 조사과정의 기본절차 및 수사실무기법의 적절한 활용법을 학습한다.
[TSF2003] 범죄학 Criminology
이 과정에서는 범죄학에서 다루어지는 기초적인 개념과 이론적인 틀을 이해함으로써 각종 범죄의 다양성에 대해 깊이 알고, 각종 범죄이론의 해석, 작용 및 대책들에 대하여 논의한다.
범죄수사의 역사, 이론 및 실습을 소개하고, 조사과정의 기본절차 및 수사실무기법의 적 절한 활용법을 학습한다.
[PAS4005] 형사소송법 Criminal Procedures
이 교과목은 형사소송의 각 단계에서 국가형벌권의 정당한 행사를 위한 헌법적, 형사소 송법적 절차와 소송주체의 권리, 의무에 대한 이해의 증진을 목표로 한다.
[PAS2013] 디지털포렌식개론 Criminal Investigation
이 강좌는 컴퓨터 보안의 응용ㆍ실무 분야인 디지털포렌식에 대해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디지털포렌식은 디지털 데이터가 범죄의 증거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조 사과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강좌는 디지털 증거에 대한 기본개념 및 조 사방법을 소개하고, 사례분석 및 실습 등을 통하여 컴퓨터 보안의 실무능력을 증진시키 는데 의의가 있다.
[PAS4026] 디지털포렌식실무 Practical Affairs in Digital Forensics
디지털포렌식 실무 능력을 학습한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김연수 융합보안학과 교수 범죄학
  • 범죄학
이완희 융합보안학과 교수 범죄학
  • 범죄수사론
김대원 융합보안학과 강사 법학
  • 형사소송법
정두원 경찰행정학과 교수 정보보호
  • 디지털포렌식개론
  • 디지털포렌식실무

진출분야

  • 사이버 수사관, 민간공인탐정, 디지털 포렌식 전문가, 민간조사전문가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사회복지상담실천

책임교수 한마디

사회복지상담학과에는 사회복지와 더불어 상담에 관심을 가지는 학생들이 점점 더 많이 입학하고 있습니다. 상담은 그 자체로 중요한 분야인 동시에 사회복지분야에서도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를 대하는데 필요합니다. 사회복지상담실천 마이크로디그리과정은 사회복지와 상담 중에서 본인이 어디에 관심이 있는지 아직 혼란스럽거나, 상담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는 학생의 경우에 고려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회복지상담실천 마이크로디그리과정은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를 대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상담 기술과 실천을 학습함과 동시에, 사회복지분야 안에서 보다 전문적인 상담 실천 분야인 의료, 학교, 교정, 군, 지역사회 세팅에서의 상담실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에 사회복지상담실천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수강하는 것은 여러분이 사회복지상담 및 상담 분야에서 진로를 결정하고 나아가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교육과정 개요

교육과정의 특징

  • 급변하는 사회 환경 하에서 정신병리적 문제를 가지거나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 가하고 있음. 본 사회복지상담실천 교육과정은 의료, 학교, 군, 교정시설, 지역사회 등 다양한 세팅에서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전문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학문적 기반을 제공 하고자 함
  • 서로 다른 두 가지 학문, 즉 인간 자체 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가지는 ‘상담학’과 환경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가지는 ‘사회복지학’을 접목함
  • 개인과 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이 가지는 다차원적인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 루는 실천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함

교육목표

사회복지상담실천 마이크로 디그리 교육과정 개설 목적은 다음과 같음

첫째, 실용성 측면. 사회복지상담학과 재학생들이 사회복지사 자격증과 함께 청소년상담사 자 격증을 동시에 취득하여 ‘상담’ 전문성이 요구되는 진로 설계를 지원함. 관련하여 청소년상담 사, 의료사회복지사, 정신건강사회복지사, 학교사회복지사, 교정사회복지사, 군(軍)사회복지사 로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병원, 정신건강복지센터, 학교에 상담복지실천전문가로 진출하기 위해 대학원 진학이나 추가 자격증 취득을 통한 취업을 지원하고자 함
둘째, 학문의 발전 측면. 사회복지현장에서 사회복지사는 점차 행정가, 관리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고 요구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 이 감소해 옴. 이는 증거기반 실천을 통한 효과적 서비스 제공, 전문적 서비스 제공, 서비스 질 의 향상을 가로막는 장벽이 되어 옴. 그러나 최근 사회문제로서 정신건강 문제가 심화되면서 여러 세팅에서 아동청소년, 만성질환자, 지역사회주민 등의 정신건강을 다룰 수 있는 전문지 식과 실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 사회복지상담실천 마이크로 디그리 교육과정은 지 역사회에서 정신건강 문제를 다루는 영역의 실천 지식을 창출하고 공유하는데 기여할 것임

 

교육과정 목표

첫째, 정신건강 문제를 가지는 개인의 문제와 욕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심리사회적 지원 을 제공하는 사회복지상담실천가 양성
둘째, 정신건강 문제를 가지는 개인이 직면한 환경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협력을 통해 자원을 연계하는 사회복지상담실천가 양성
셋째, 지역사회, 병원, 학교, 군, 교정시설 등 다양한 세팅의 특성을 이해하는 사회복지상담 실천가 양성

교과목 소개

[CAW2002] 상담학개론 Introduction to Counselling
사회복지상담학과의 입문과목으로 상담학의 역사, 상담학의 근간을 이루는 주요 이론, 상담현장에서의 주요한 쟁점들을 다루며 상담학이 다른 유사학문분야와 어떻게 구별되 는지에 대해 학습한다.
[CAW4031] 집단상담 Group Counseling
집단상담의 전반적인 절차, 기법, 특성 등의 이론을 습득하고 설명하며, 실습을 통해 집단상담을 체험해 봄으로서 자기 통찰을 높이고 집단상담 기술을 활용한다.
[CAW4024] 사회복지실천론 Theories of Social Work Practice
개별 사회사업의 개념, 기본원리와 배경, 원조과정의 지식과 기술, 개별 사회사업가의 자 질과 역할을 탐구해서 문제 상황에 처해있는 인간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CAW4003] 사회복지실천기술론 Social Work Practice Skills and Techniques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필요한 기본지식과 실천기술에 대한 현장 감각을 익힐 수 있도 록 사회복지 실천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이해, 전문가로서 자신의 태도, 가치, 윤리를 점검하고 실천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도록 한다.
[CAW4011] 정신건강사회복지론 Mental Health in Social Welfare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기초와 실천방법을 다루고 있으며, 실천 이슈에 대한 내용을 학습 하여 인권과 권리중심 실천을 이해한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김동훈 사회복지상담학과 겸임교수 사회복지실천, 상담
  • 상담학개론
  • 집단상담론
이해님 사회복지상담학과 교수 사회복지실천
  • 사회복지실천론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손가현 고려사이버대학교 초빙교수 사회복지실천 정신건강
  • 정신건강사회복지론

진출분야

취업. 사회복지상담실천분야는 상담에 대한 전문성과 대상 특성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다음과 같은 분야로의 진출이 가능함 • 사회복지사 –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 등

  • 사회복지사 –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 등
  • 청소년상담사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지역유스센터 등
  • 정신건강사회복지사 - 정신건강복지센터, 사회복지기관, 정신의료기관 등
  • 의료사회복지사 - 국공립 의료기관, 상급종합병원 등
  • 학교사회복지사 – 초등학교 및 중·고등학교
  • 교정사회복지사 - 법무부 산하 교정시설
  • 군(軍)사회복지사 – 국방부 및 군대
 

진학. 또한 보다 깊은 이해를 위해 상담학 혹은 사회복지학 대학원 과정으로 진학할 수 있음. 동국대학교에도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대학원 과정이 있음

  •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명상심리상담학과
  •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 동국대학교 미래융합대학 일반대학원 상담코칭학과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법심리학

책임교수 한마디

법심리학 마이크로 디그리 교육과정은 국내 최초로 법심리학 융합인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인간행동에 대한 심리과학적 접근에 기반하여 범죄수사, 범죄원인 분석, 범죄데이터 분석, 디지털 역량과 리더십을 갖춘 창의융합 인재를 양성하는 목표를 지향합 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형사사법 분야에서 요구되는 미래 지향적 역량을 갖추고자 하는 학 생들의 관심과 도전을 기대합니다.

교육과정 개요

법심리학 마이크로 디그리 교육과정은

  • 형사사법 절차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창의적 이고 융합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 인간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를 토대로 수사 및 재판 장면에서 발생하는 의사결정의 특성과 오류를 이해하고, 범죄 통계에 기초한 범죄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통찰하는 능력을 기르며, 정 보와 데이터를 활용할 줄 아는 인재를 기르고자 합니다.

교육목표

형사사법 분야에서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사회적 요구 특성에 부응하는 창의융합적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서 현장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이슈에 필요한 전공 역량을 키우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형사사법 분야에서 의사결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미래의 지도자를 배 출하고자 한다.

교과목 소개

[CRS4012] 법심리학 Introduction to Forensic Psychology
법심리학은 범죄 수사, 재판, 교정 등 형사사법절차 전반에서 인간 행동과 관련된 문제 를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학문이다. 목격자 기억, 수사면담, 허위자백, 거짓탐지, 재판과 의사결정, 양형, 범죄 위험성 평가 등 법적 장면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심리학적 방법 론을 적용한 연구들을 통해서 실무 적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본다.
[POS4007] 수사심리학 Investigative Psychology
수사심리학은 심리과학의 원리와 이론을 범죄수사에 적용하여 보다 과학적인 범죄수사 기법을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수사 절차에서 발생하는 인간의 기억 문 제, 목격자 및 피해자 면담기법, 피의자 신문기법, 자백의 발생 기제, 증거의 활용, 거짓 말 탐지, 진술의 신빙성 판단 등에 대해서 학습한다.
[INS4020] 디지털포렌식개론 Introduction to Digital Forensic
디지털포렌식개론은 디지털 증거를 수집, 식별, 분석, 검증 및 표현하는 기술과 절차에 대해 소개한다. 디지털 증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타임라인 분석, 사용자 프로파일링, 범죄 행위 식별 등을 수행하는 방법을 익힌다.
[CRS4002] 범죄데이터분석고급 Advanced Crime Data Analysis
이 교과목은 범죄데이터에 대한 기초적인 분석능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고급·분석기법 을 통해 범죄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범죄데이터마이닝 기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CRS4018] 판단과 의사결정 Psychology of Decision Making
판단과 의사결정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일어 나는 다양한 현상들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수사, 재판 등 법적 장면에서 발생 하는 의사결정의 문제들에 대해 과학적으로 조명해보고자 한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조은경 경찰행정학부 교수 범죄과학
  • 법심리학
  • 수사심리학
  • 판단과 의사결정
조영일 경찰행정학부 교수 범죄과학
  • 범죄데이터분석고급
정두원 경찰행정학부 교수 산업보안
  • 디지털포렌식개론

진출분야

  • 경찰청, 법무부, 민간기업, 정보기관 등에서 분석 및 판단능력을 요구하는 분야에 진출할 수 있습니다.
  • 특성화 기반 미래형 신직업 분야의 예시로 선정된 수사면담 전문가, 사이버포렌식전문가, 진술분석관, 디지털 증거 수사 전문가, 범죄 프로파일러, 데이터분석 전문가 등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비지니스데이터애널리틱스

책임교수 한마디

비즈니스 데이터 애널리틱스 마이크로디그리는 빅데이터 분석에 관심 있는 자연계열 학생 들 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계열 학생들도 다섯 개의 교과목으로 첨단 AI 분야의 교육과정에 참여하고 학위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즉, 우리학교 비 전의 핵심목표인 “4차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인재양성”을 위해 학생들이 인문 사회지식와 공학지식을 연결할 수 있도록 융합적 교육과정을 제공할 것입니다. 여러분 들이 최근 가장 주목받는 직업인 비즈니스 데이터 분석가의 경력을 시작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미래의 비즈니스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되기를 희망하는 많은 학생들의 지원을 바랍니다.

교육과정 개요

비즈니스 데이터 애널리틱스 마이크로디그리는 비즈니스 데이터 분석을 특성화한 교육과정입 니다. 본 과정은 데이터 애널리틱스에 대한 지식을 마케팅, 인적자원관리, 생산/서비스 운영관리, 재무관리, 회계 등의 경영분야 필수 기능들에 접목한 응용을 주로 다룹니다. 자연계열 및 인문사 회계열 재학생들의 수요를 반영한 경영학과 AI를 융합한 폭넓은 사례 및 실무 경험을 제공합니 다. 본 과정을 통해 비즈니스 애널리틱스의 최신 이론과 통합적 지식을 산업계, 공공기관, 비영리 기관 등 모든 조직의 경영의사결정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관련 직무 진출을 도 모할 수 있습니다.

교육목표

비즈니스 데이터 애널리틱스 마이크로디그리의 교육목표는 1) 빠르게 변화하고 발전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인공지능에 대한 기초 및 전문지식을 학습하고 2) 다양한 학 문 분야와의 융합교육을 통해 3) 여러 사회 문제의 해결 방안을 탐색하고 연구하여 인류 사회 및 국가 발전에 공헌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입니다.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경영 데이터 수집, 분석, 시각화를 위한 이론과 실무 교육 및 다른 학문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 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를 양성하는 것이 추구하는 인재상입니다.

교과목 소개

[MGT2016] 비즈니스 데이터 애널리틱스 프로그래밍 언어: R & Python Programming for Business Data Analytics: R & Python
현대 시대의 경영자는 의사결정에 필요한 대부분의 데이터를 받아볼 수 있는 시스템을 보유하였지만, 데이터의 양이 너무나 방대하여 그것들이 어떠한 함의점을 갖는지 파악 하기 대단히 어렵다. 미래 경영자로서 학생들은, 더 이상 '감(感, gut feelings)'에 의존하 여 의사결정하는 관리자가 아닌, '과학적' 경영을 행할 수 있는 관리자로 거듭날 수 있도 록 Big Data 분석 및 ML(Machine Learning)을 위한 기초적인 데이터 분석 방법 및 과정 을 습득한다.
[MGT2017] 비즈니스 데이터 애널리틱스 개론 Introduction to Business Data Analytics
비즈니스 데이터 애널리틱스는 특정 기술, 역량 및 관행이 적용되어 비즈니스 데이터의 지속적인 탐색 및 조사를 수행하는 학문 분야이다. 비즈니스 데이터 분석의 목표는 증거 기반의 개선된 의사 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는 비즈니스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것이다. 본 교과목은 조직에서 비즈니스 데이터 분석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 개념과 도구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며 더 나은 비즈니스 의사 결정을 위해 Python 환경에서 기본 적인 비즈니스 분석 도구를 적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MIS4065] 데이터 애널리틱스 Data Analytics
본 강의의 목표는 비즈니스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분석도구와 분석 프 로그래밍 언어의 기초를 학습하고 이를 통한 비즈니스 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비즈니 스 인사이트를 확보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고하는 것이다. 특히, 본 강의에서는 비즈니스 애널리틱스 기법 중 무감독학습기법과 비정형 데이터 분석기법 중심의 비즈니스 데이터 분석방법을 학습한다.
[MIS4073] 딥러닝응용 Advanced Deep Learning
인간을 포함한 모든 사물을 스마트한 자율객체로 구현하는 것이 4차 산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스마트한 자율객체의 구현을 위해서는 시스템이 인간과 같은 뇌구조를 가지고, 이를 통해 스스로 사물을 인식하고, 경험에 의해 학습을 하는 자율성이 확립되어야 한다. 본 교과에서는 자율개체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의 머신러닝과 딥러닝에 대해 학습한다. 자율성을 실현할 수 있는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핵심 개념, 이전의 연산기반과는 달리 새로운 AI 방식이 인간 두뇌와 같은 인공 신경망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하고 훈련시켜 인간과 같은 역량을 가질 수 있게 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ACG2016] 회계 데이터애널리틱스 Accounting Data Analytics
회계 데이터애널리틱스는 기업의 회계정보와 공시정보의 텍스트분석을 하여 재무, 투자, 영업활동을 이해한다. 이러한 분석은 학생들에게 기업의 성과측정, 투자자의 가치평가, 더 나아가 독립된 검증인의 회계정보 검증과정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정구혁 경영학과 교수 인사조직
  • 비즈니스 데이터 애널리틱스 프로그래밍 언어: R & Python
최현도 경영학과 교수 운영관리
  • 비즈니스 데이터 애널리틱스 프로그래밍 언어: R & Python
정 욱 경영학과 교수 운영관리
  • 비즈니스 데데이터 애널리틱스 개론
김경재 경영정보학과 교수 기계학습
  • 데이터애널리틱스
남기환 경영정보학과 교수 기계학습
  • 딥러닝응용
박청규 회계학과 교수 회계
  • 회계 데이터 애널리틱스

진출분야

  • 비즈니스 데이터 애널리틱스의 지식과 경험을 갖춘 인재는 경영 컨설팅 업계, 금융계 (은행, 카드사, 보험사, 핀테크 기업 등), 빅데이터 및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스타트업, 광고 에이전시, 민간 산업계 (제조, 물류, 서비스, 유통, 통신 등), 공공기관 및 비영리 기관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지속가능 생물생산학

책임교수 한마디

새롭게 떠오르는 블루오션 시장, 1) 치유식물, 2) 뉴패러다임 신소재 식품, 3) ESG 환경 입니다.

교육과정 개요

현대인에게 식물 생산의 새로운 정의, 신소재 식품산업의 뉴 패러다임, 안정적 생물생산을 위한 ESG기반 토양 및 대기환경에 관련한 세 개 학과(생명과학과, 식품생명공학과, 바이오환경과학 과)의 핵심 분야를 마이크로디그리로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교육목표

  • 현대인류의 식물의 다목적활용 이해
  • 식량안보 및 맞춤형 신소재 식품 활용 분야 이해
  • 지속가능 생물생산 중심의 ESG 환경 분야 이해

교과목 소개

[BIO2024] 현대식물학 Plant Science in 21th Century
식물이 현대 인간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 정리한 학문이다. 특 히, 식물의 식용, 약용, 특용 등 다양한 방면에서 현대 인간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 으로 알아본다. 본 강좌에서는 식물생산의 학문적인 이론과 실제를 기반으로 현대 생활 속 식물을 이해하고 다양한 식물관리와 식물활용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학습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식량생산의 지속가능성 재고와 주요 식물생산을 위한 생물공학적 이 해를 병행하도록 한다.
[BES4041] ESG토양환경학 Soil-ESG
현대인의 생활반경을 둘러싸고 있는 토양환경의 지금까지 오염 상황을 소개한다. 과거 의 오염특성과 오늘날 오염특성의 차이를 이해하며 아울러 과거의 규제중심적인 환경개 선노력과 오늘날 ESG기반의 지속가능한 정부-기업 간 노력에 대해서 학습할 수 있다. 토양 미세플라스틱 오염 특성을 예로 들어 실제 ESG 적용 가능 기준들을 리스트해볼 수 있다. 국내외 ESG-토양환경 관련 사례들을 학습하며 토론하는 플립드 러닝 학습을 진행한다.
[FOO4039] 신소재식품학 Novel Foods
생명공학기술, 나노기술 등 신기술의 발달과 식품의 국제교역량 증가, 소비패턴의 변화 에 따라 새로운 식품원료를 활용한 ‘노블푸드(Novel Food, NF)’, 즉 신소재식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환경문제를 포함한 지속가능성 재고를 위한 고민은 신소재 식품 의 도입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본 강좌는 신소재 식품 기술로 일컬어 지는 다양한 기 술과 그 안전성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소재 식품의 다양한 적용 실례를 경 험함으로써 식품산업 분야의 지속가능성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다양한 최신 이론을 학 습함은 물론, 국내외 신소재 기술 적용 케이스를 다루고, 실습도 병행한다.
[BES4042] ESG대기환경학
환경 비전공자가 환경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으며, 특히 대기환경학을 기 반으로 환경에 대한 과학적 접근방법을 소개한다. 도시와 농촌 간 대기오염물질 영향을 이해할 수 있으며, 특히 농업 유래 암모니아 가스로부터 생성된 미세먼지 전구체를 통해 도시의 미세먼지 확산 특성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스마트폰 기반의 대기환경 어플리케이 션의 대기환경질 지표값을 세부적으로 이해하며, Hysplit과 같은 대기오염 모델링을 운 영해 본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이병무 생명과학과 교수 식물학
  • 현대식물학
이상용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 토양 및 대기환경학
  • ESG토양환경학
  • ESG대기환경학
박유헌 식품생명공학과 교수 식품안전
  • 신소재식품학

진출분야

  • 기업별 ESG 경영부서
  • 국가 연구소
  • 신성장 분야 창업 등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머신러닝

책임교수 한마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는 머신러닝을 필두로 하는 인공지능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산업 분야에서는 인공지능과의 융합을 통한 혁신을 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급격한 수요 증가에 비해 각각의 산업 분야에서 머신러닝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 는 인력 공급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만 들어진 머신러닝 마이크로디그리는 다양한 전공을 가진 학생들이 각자의 전공분야에 맞 추어 머신러닝 이론을 접목시킬 수 있는 머신러닝 응용 역량을 양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머신러닝을 이해하고, 익히고, 활용해보고자 하는 여러분! 머신러닝 융합 인재에 도전해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교육과정 개요

머신러닝 마이크로디그리는 다양한 전공을 가진 학생들이 각자의 전공분야에 맞게 머신러닝 이론을 접목시킬 수 있는 머신러닝 응용 역량을 양성시키는 것을 목표로, 인공지능기초수학, 인공지능프로그래밍기초와실습, 인공지능개론, 머신러닝, 인공지능공개SW설계의 5개 교과 목으로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다.

교육목표

머신러닝 마이크로디그리는 다양한 전공을 가진 학생들이 각자의 전공분야에 맞게 머신러닝 이론 을 접목시킬 수 있는 머신러닝 응용 역량을 양성시키는 것을 교육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한국 내 다 양한 산업분야에서 머신러닝을 바탕으로 사회 및 국가 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우수 융합인재를 배출 하고자 한다.

교과목 소개

[AIB2001] 인공지능기초수학 Fundamental Mathematic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본 교과목은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의 수학적 토대가 되는 선형대수, 확률론 및 미적분의 기초적인 내용을 다룬다. 벡터와 행렬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기울기(gradient), 고유값, 특이값을 배운다. 확률변수와 확률분포로부터 조건부확률, 기대값, 우도 확률, 베이즈정 리, 정보 이론 등을 학습한다.
[EGC4040] 인공지능프로그래밍기초와실습 Introduc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ming in Practice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프로그래밍 능력과 AI 이해/활용 능력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Python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한 능력을 학습하고 AI의 기초 개념과 활용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IC2005] 인공지능개론 Introduc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컴퓨터가 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공지능의 기본적인 개념 및 기법을 소개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 분야와 응용 분야에 대해 강의한다. 지식의 표현 및 추론, 탐색에 의한 문제 해결 방법 등을 공부하고, 전문가 시스템, 확률적 추론, 기계 학습, 신경망, 자연언어처리 등 인공지능 분야의 여러 가지 기초 이론과 연구 등을 소개한다.
※ 2023년부터 교과목 개설 예정
[AIC4002]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컴퓨터가 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핵심인 기계학습의 기본적인 개 념 및 기법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는 지도/비지도학습의 개념, 회귀, 분류 모델 등의 지 도학습 모델, 클러스터링, 차원감소 기법 등의 비지도 학습 모델 등 기계학습 분야의 여 러 가지 기초 이론을 소개한다.
※ 2023년부터 교과목 개설 예정
[ASW4014] 공개SW프로젝트 Open Source Software Project
공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과 사회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또한, 기존의 공개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새로운 공개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전과정을 경험한다. 공개소프트웨어 개발환경에서 공개소스를 기반으로 팀단위 협업프로그래밍 과제를 수행하여 유용한 소프트웨어를 제작하고 이를 공개한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박성식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교수 인공지능
  • 인공지능기초수학
손윤식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교수 컴퓨터공학
  • 인공지능프로그래밍 기초와실습
김준태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교수 컴퓨터공학
  • 인공지능개론
장혜령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교수 인공지능
  • 머신러닝
정진우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교수 컴퓨터공학
  • 공개SW프로젝트
김지희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교수 인공지능

※ 상황에 따라 교수진은 변경될 수 있음

진출분야

  • 개발자/관리자: 머신러닝 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대기업, 중소벤처기업, 연구기관, 공공 기관, 금융업계 등에 기술 개발 또는 관리 인력으로 취업
  • 창업: 머신러닝 분야 벤처 사업 수행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산업데이터사이언스

책임교수 한마디

산업 데이터사이언스 마이크로디그리는 프로그래밍(인공지능프로그래밍기초와실습)+ 수학(공학선형대수학)+분석기법(머신러닝)+현업적용(데이터기반품질경영, 산업데이터분석) 등의 과목을 이수함으써 실제 산업현장에서 데이터사이언티스트로 성장할 수 있는 기틀 을 마련하는 것이 이 과정의 목표입니다.

교육과정 개요

산업 데이터사이언스 마이크로디그리에서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데이터사이언티스트가 되기 위한 인공지능프로그래밍 및 선형대수학의 기초 지식 을 바탕으로 기계학습의 기본적인 개념 및 기법을 학습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산업 현장의 적용 방법을 접하게 됩니다.

교육목표

산업 데이터사이언스 마이크로디그리에서는 데이터 수집, 분석을 위한 이론적 수업 및 실제 데이터 활용을 통하여 분석적 사고력을 배양하는 한편 학습자의 전공 지식과 결합하여 창의 적 적용력을 함양함으로써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 정보화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합니다.

교과목 소개

[EGC4040] 인공지능프로그래밍기초와실습 Introduc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ming in Practice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프로그래밍 능력과 AI 이해/활용 능력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Python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한 능력을 학습하고 AI의 기초 개념과 활용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RI4024] 공학선형대수학 Engineering Applications of Linear Algebra
미적분학및연습Ⅰ과 미적분학및연습Ⅱ를 이수한 공학, 정보산업 전공 학생들에게 벡터 공간의 개념도입과 전공에서의 활용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AIC4002]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컴퓨터가 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핵심인 기계학습의 기본적인 개 념 및 기법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는 지도/비지도학습의 개념, 회귀, 분류 모델 등의 지 도학습 모델, 클러스터링, 차원감소 기법 등의 비지도 학습 모델 등 기계학습 분야의 여 러 가지 기초 이론을 소개한다.
※ 2023학년부터 교과목 개설 예정
[AID4003] 데이터기반품질경영 Data Driven Quality Management
본 과목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품질공학기술에 대하여 학습한다. 주요 내용은 품질경 영시스템, 샘플링검사 등의 통계적 품질관리 기법, 관리도 기법과 공정능력분석을 통한 통계적 공정관리, 신뢰성의 개념과 분석 기법, 6시그마의 개요와 추진 기법 등을 다룬다.
※ 2023학년부터 교과목 개설 예정
[AID4013] 산업데이터분석 Industrial Data Analysis
본 교과목은 실험 설계 및 시뮬레이션, 이상 감지 등을 포함하여 산업 및 제조 프로세스 에서 획득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기본 지식과 도구를 다룬다. 광범 위한 응용사례들은 제조 품질 관리, 의료 산업의 프로세스 최적화, 오류 모니터링 및 보 안 감시 등을 다룬다.
※ 2023학년부터 교과목 개설 예정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손윤식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교수 프로그래밍 언어 및 소프트웨어 보안
  • 인공지능프로그래밍 기초와실습
조덕빈 수학과 교수 수치해석
  • 공학선형대수학
장혜령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교수 인공지능
  • 머신러닝
정 욱 경영학과 교수 데이터기반품질경영
  • 데이터기반품질경영
손영두 산업시스템공학과 교수 데이터사이언스
  • 산업데이터분석

※ 상황에 따라 교수진은 변경될 수 있음

진출분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데이터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졸업 후 진로는 어느 특정 분야로 한정 지을 수 없을 만큼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모든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데이터사이언티스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비즈니스 분석가 : 데이터 분석 Tool을 이용하여 마케팅, 판매 전략을 기획
  • 데이터 분석가 : 데이터를 정제하고 분석하여, 예측 분석을 수행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서베이방법론전문과정

책임교수 한마디

‘서베이방법론 전문과정’과 함께 자신만의 전문성을 키워보세요!

교육과정 개요

‘서베이방법론(survey methodology) 전문과정’ Micro Degree는 ‘서베이리서치(조사연구)’와 ‘데이터사이언 스’의 융합학문인 ‘서베이앤데이터사이언스 연계전공’의 교과목 중 서베이리서치 관련 핵심 과목들(총 15 학점)로만 구성된다. 이는 통계학, 사회학, 경영학, 광고홍보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정치외교학, 교육학, 식품산업관리학, 행정학 등의 제1전공(주전공) 학생들이 ‘서베이리서치(조사연구)’를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지만, 제1전공과 함께 ‘서베이앤데이터사이언스 연계전공(최소 41학점 이수)’을 제2전공으로 이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거나 학업 부담을 느끼는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서베이(surveys)는 대학, 중앙 정부 및 지자체, 정부산하 공공기관, 연구기관, 언론사, 공사, 기업 등 우리 사 회 거의 모든 곳에서 학문적인 연구, 정부 정책 수립 및 평가, 각종 사회 현황 및 실태 파악, 중앙정부 및 지 자체 통계조사, 사회조사, 여론조사, 시장조사, 광고조사, 보건조사, 환경오염조사 등의 중요한 목적을 위 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서베이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방법론을 의미하는 ‘서베이방법론 (survey methodology)’은 1930년대부터 미국 등을 중심으로 통계학, 사회학, 언론학, 정치학, 경제학, 심리학, 경영학, 교육학, 보건학, 의학, 약학 등 분야의 많은 학자들과 전문가들에 의해 사회적, 산업적 조사환경 변 화에 맞춘 실증적인 이론과 실제의 활발한 연구를 통해 고유한 학문 영역으로서 계속 발전해왔으며, 최근 국내외에서 그 중요성과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를 반영하듯 현재 미국, 유럽 등의 유수 대학들에서 서베이방법론 학위과정(Degree Program in Survey Methodology)을 개설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조류에 맞추어 개설된 ‘서베이방법론 전문과정’ Micro Degree는 국내외 ‘서베이방법론’ 연 구의 산실인 ‘동국대 서베이앤헬스폴리시리서치센터’가 모태이며, 동국대 내의 일부 학과(전공)에 개설되는 1~2개에 불과한 ‘서베이 관련 강좌(조사방법론 강좌)’와 직접 연계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이 구성되었다. 따 라서 이 과정의 졸업자는 자신의 제1전공 분야에서 서베이 수행을 위한 실무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되므로 대 학원 진학이나 취업 시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교육목표

최근의 사회적 격변, 산업 혁신, 정보통신기술 발달, 개인 생활환경과 패턴의 변화 등에 의해 서베이환경(조 사환경)은 빠른 속도로 바뀌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서베이환경 변화를 간파하면서 보다 적절한 서베이방 법론(조사방법론, survey methodology)을 이용하여 사회, 정치, 경제, 경영, 보건, 복지, 의료, 교육, 문화 등 다 양한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과학적이고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서베이리서치 전문 인력의 양성이 국가적, 사회적으로 중요하다. 이에 본 교육과정에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서베이 리서치를 수행할 수 있는 실무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교육한다.

교과목 소개

[SUR2001] 서베이리서치 개론 및 실습 Introduction to Survey Research
서베이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과학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전과정을 일컫는 서베이 리서치(조사연구) 는 국내외의 국가기관, 대학교, 연구기관, 언론사, 기업 등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전문적이고 중 요한 학문 영역이다. 서베이는 각기 고유한 목적에 따라 공통적인 진행절차에 의해 이루어지며 다양 한 서베이방법론이 사용된다. 본 강좌에서는 학문적인 이론과 실제를 기반으로 한 서베이방법론의 기초를 전반적으로 다룸으로서 서베이 리서치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외의 주요 서베이들의 실제 예제들이 흥미로운 시청각 자료와 함께 소개되며 문답식 수업, 컴퓨 터/인터넷 실습도 병행된다.
[STA4038] 표본설계 Sample Design
표본조사의 기본개념과 모집단으로부터 실제로 표본을 추출하는 추출방법, 즉 단순임의추출법, 층 별임의추출법, 집락추출법, 계통추출법, 확률비례추출법 등을 배우며 이들 추출법에 근거한 모수 의 추정방법들을 다룬다. 실습을 통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어떻게 추출하는지 실제로 경험한다.
[STA4037] 표본조사방법론 및 실습 Survey methodology and Practice
이론, 실습 수업 및 체험 학습 등을 통하여 각종 정부통계조사, 사회조사, 여론조사, 마케팅조사 등 의 목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표본조사가 실제로 어떠한 절차에 따라 진행이 되는지 체계적으로 배 운다. 표본조사의 기초 정보 수집을 위한 핵심 그룹 활동, 표본추출틀 준비, 자료수집방법 및 표본 크기 결정, 설문지 설계, 사전조사 실시, 조사원 선발 및 교육, 현장조사 실시, 설문 자료의 코드화 및 분석, 보고서 작성 등을 강의한다.
[SUR4005] 설문지설계방법론및실습 Questionnaire Design and Evaluation
조사표(설문지)에는 해당 서베이의 구체적인 진행 목적이 묵시적으로 담겨져 있으며, 해당 서베이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얻고자하는 자료들이 구체적인 질문들(questions)로 표현되어 있다. 그런데 국 내에서 국가통계조사, 여론조사, 실태조사, 시장조사 등을 위해 실제로 사용되는 조사표들을 점검하거 나 확인해보면, 흔히 잘못 만들어지거나 부정확한 응답이 얻어질 수 있는 문항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는 조사표 설계를 위한 체계적인 정규 교육이나 훈련을 받지 않는 비전문가들이 조사표를 만 들거나 작성하기 때문이며, 무엇보다도 조사표 설계의 전문성이나 중요성을 간과하기 때문에 발생하 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사표는 “조사표 설계(questionnaire design)”의 용어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설계’라는 표현 이 들어가 있으며, 이는 조사표 설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거나 조사표 설계 실무 교육 과정을 밟은 인력들이 진행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강의는 ‘표본조사방법론 및 실습’ 수업을 통해 조사표 설계의 기초를 공부한 학생들을 대상으 로 하며, 전문적 수준의 조사표 설계와 평가를 위한 실무 능력을 키운다.
[SUR4002] 서베이 자료 분석과 활용 Survey Data Analysis and Practical Use
본 과목은 1, 2, 3학년 과정에서 배운 통계이론, 표본설계, 조사방법론 등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전공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수집되는 서베이 자료를 실제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서베이 리서치는 학술적 연구의 목적뿐만 아니라 정 치여론, 행정서비스, 광고나 홍보, 보건/의료 서비스, 소비자/마케팅 연구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서도 흔히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서베이 자료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그 실용적 가치가 매 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수강자들은 실제 자료를 통해 통계이론, 자료수집, 분석논리에 대해 이해하 고, 자신의 전공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관심사에 대한 대표적 서베이 자료나 자신이 직접 수집한 서베이 자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계기법을 동원하여 분석하고 해석한 후 그 결과를 보고 하는 과정을 실습하게 된다. 이를 통해 통계의 논리와 서베이의 전 과정을 경험적으로 이해하고, 분석 기법을 올바로 적용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키우며, 분석결과를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능력도 배양하게 될 것이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김선웅 통계학과 교수 조사통계학/ 서베이방법론
  • 서베이리서치 개론 및 실습
  • 설문지설계방법론및실습
박소형 통계학과 강사 조사통계학/ 서베이방법론
  • 표본설계
  • 표본조사방법론 및 실습
홍성준 SW교육원 겸임교수 조사통계학/ 서베이방법론
  • 서베이 자료 분석과 활용

진출분야

대학원, 중앙 정부 및 지자체, 연구기관, 언론사, 공사, 기업 등에서 필요로 하는 수준 높은 이론적 지식 배 양은 물론이고 현장에 요구되는 서베이전문가로서 실무지식을 축적하게 함으로써 이론 중심 교육의 한계 를 극복하고 학부교육의 내실과 질적 제고를 도모한다. 따라서 졸업생은 자신의 주전공 분야는 물론이고, 학문 연구, 정부 정책 수립 및 평가, 각종 사회 현황 및 실태 파악, 중앙정부 및 지자체 통계조사, 사회조사, 여론조사, 시장조사, 보건조사, 환경오염조사 등의 광범위한 분야로 선택적인 진출이 가능할 것이다.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사회과학분야를 위한 데이터사이언스

책임교수 한마디

전공을 불문하고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모두에게 필요한 기술입 니다. 정치외교학과도 예외는 아닙니다. 선거, 여론조사 등의 분석도 모두 데이터를 수집 하고 분석하는 행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정치현상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능력, 정부의 정책을 비판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도 데이터의 활용없이는 논리적인 주장이 어렵겠죠?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주변의 모든 것들이 데이터가 되는 이른바 데이터 의 시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석유라고 부르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정치외교학과에서 운영하는 '사회과학 전공자를 위한 데이터 사이언스 마이크로 디그리' 과정은 그 동안 비이공계 학생들에게 접근장벽이 높아 쉽게 교육기회 를 제공받지 못했던 학생들을 위해 개발된 과정입니다. 모든 수업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와 컨텐츠는 정치 및 사회와 관련되어 있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함과 동시에 사회과학 전공자들로 구성된 교수진으로 보다 정치학 특성에 맞는 데이터 교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 분석 및 활용능력을 겸비한 사회과학 전공자는 취업시장에서 가장 매력있는 구직자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회과학 전공자를 위한 “데이터 사이언스 마이크로 디그리”매력있지 않나요?

교육과정 개요

사회과학전공자를 위한 데이터 사이언스 마이크로 디그리 과정은 기존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교과목이 가지고 있던 단점, 특히 비이공계 학생들에게만 유독 진입 장벽이 높았던 교과목들을 사회과학 전공자들의 수준과 특성에 맞게 개편, 보완하여 사회과학 전공자들 에게 특화된 형태의 교육을 제공하는 데 그 주안점을 두고 있습니다. 총 7개 교과목이 본 마이크로 디그리 과정에 포함되어 있으며 모든 과정은 사회과학 전공자들을 위한 컨텐츠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교육목표

본 마이크로 디그리 과정은 사회과학에서 사용하는 이론 및 논리와 연관성이 있는 교육방법을 통해, 관련 데이터를 수집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을 그 첫 번째 목표로 두고 있습니 다. 둘째 사회과학 분야에 있어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분야의 활용이 미비한 점을 감안하여, 보다 창의적인 교육방법을 개발·적용하여 사회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문제 해결을 주도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주력하는 과정입니다. 또한 정치 현상 이해를 위한 교과목과 정치현상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과목을 동시에 배치하여 보다 균 형있는 교육을 추구합니다.

교과목 소개

[POL4071] 정치학의 연구방법 Research Methods in Political Science
이 과목의 수강생은 정치현상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본질과 목적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서는 그와 같은 연구를 체계적으로 추구하는 데에 필수적인 절차와 기법을 학습한다. 주 된 강의내용은 정치현상에 대한 과학적 탐구의 가능성과 한계, 설명과 예측을 위한 개 념·모형·이론·가설 및 변수, 자료수집의 전략, 자료분석의 기법 등이다.
[POL2030] 정치자료를통한빅데이터분석입문 Big Data Analytics and Politics: Introduction
입문과 실습 두 개의 연결된 강의의 첫 강좌이다. 이론의 차원에서는 빅 데이터의 개념과 함께, 통계이론 전반을 수식 없이 학습한다. 통계 이론의 학습은 수리적 접근은 가급 적 배제하고, 통계적 접근법에 대한 친절한 이해와 더불어, 상황에 따른 분석적 접근을 예제를 통해 학습한다. 본 강좌의 목표는 학생들이 배우고 자신의 궁금한 문제해결에 실 제 적용할 수 있는 기법의 학습이다. R 프로그램과 간단한 Python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배우게 된다.
[POL4086] 정치자료를통한빅데이터분석실습 Big Data Analytics and Politics: Practice
입문강좌와 연결된다. 분석입문 강좌의 선 수강이 가급적 권장되지만, 수강요건은 아니다. 본 강좌에서는 [입문] 강좌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R 프로그래밍을 심화 학습한다. 다만, 프로그래밍 용어를 기계적으로 암기하고 학습하는 방식은 지양한다. 학생들이 실제의 예제를 통해 분석하고 스스로 결과를 해석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정치학 및 경제, 사회 분야의 실제 논문에 게재되었던 다양한 데이터를 재현해보고, 새롭게 분석하게 된다. 궁극적으로 입문-실습 두 강좌를 통해 R과 Python 프로그램에 더더욱 친숙해 지도록 한다.
[POL4090] 소셜미디어와 정치사회여론분석 Analysis of Public Opinion using Social Media
본 강좌는 다음의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전통적인 여론조사방법 수업을 통해 현대 한국사회의 여론조사방법을 이해하고 문제점을 파악한다. 둘째,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통한 여론동향의 파악이다. 소셜미디어 등의 빅데이터를 이용, 전통적인 여론조 사방식의 문제점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대한 탐색한다.
[POL4069] 정치과정의이해 Government and Political Process
본 강좌는 정치사회적 여러 집단 내지 세력이 정책형성과 집행에 미치는 여러 가지 정치 기능과 역할의 관계구조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민주정치의 근간을 이루는 정당, 선거, 이익집 단, 여론, 선전 등에 관한 일반이론을 습득하게 하여 정치현실에 대한 분석 및 이해를 돕는다
[POL4084] 게임이론을통한정치분석 Game Theory In Political Science
본 강좌는 개인과 집단의 사회적 선택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로서 게임이론의 기초를 학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딜레마 (dilemma)상황에서 개인이 자신의 목적을 최대한으로 성취하기 위하여 각각의 선택에 수반되는 위험과 비용, 잠재적 이익 등을 고려하여 행위하는 전략적 행위 (strategic behavior)의 분석과 이해에 강좌의 주안점을 둔다.
[POL4091] 사회과학 전공자를 위한 머신러닝 입문 Machine Learning for Social Science
본 강좌는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빅데이터, 머신러닝, 그리고 AI 등의 기술이 사회과 학 분야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학습하고 이를 응용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머신러닝 등의 기법이 가져오는 사회과학의 변화와 그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 필수 4과목(12학점) + 선택 3과목 중 1과목(3학점) = 15학점 이수

※ 필수 과목 : 정치학의 연구방법, 정치자료를통한빅데이터분석입문, 정치자료를통한빅데이터분석실습, 소셜미디어와 정치사회여론분석

※ 선택 과목 : 정치과정의이해, 게임이론을통한정치분석, 사회과학 전공자를 위한 머신러닝 입문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김준석 정치외교학과 교수 정치이론
  • 정치학의 연구방법
  • 정치자료를 통한 빅데이터분석 입문
  • 정치자료를 통한 빅데이터 분석실습
  • 게임이론을 통한 정치분석
박명호 정치외교학과 교수 비교정치/ 정치과정
  • 정치과정의 이해
안효종 정치외교학과 강사 미국정치
  • 소셜미디어와 정치사회여론 분석
  • 사회과학전공자를 위한 머신러닝 입문

진출분야

중앙정부 및 국회, 지방정부, 의회 등의 데이터 분석담당,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기업, 여론조사 기관, 신문사, 일반기업의 데이터 분석가 등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국제개발정보과학

책임교수 한마디

세계는 지금 전례 없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국제사회는 더없이 긴밀한 협력과 연대를 필요로 합니다. 4차 산업혁명은 앞으로 우리가 살아갈 세계의 모습을 크게 바꾸어 놓을 것 이며 그 가운데 공간정보기술이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더불어 개도국이 당면한 질병과 빈곤, 재해와 재난과 같은 다양한 문제는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지고 해결해야 할 문제 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가까운 시기에 맞이할 새로운 직업 세계에서 공간정보기술 은 가장 필수적이고도 중요한 소양과 역량이 될 것이며, 국제사회가 안고 있는 다양한 현안 을 발굴하고 해결할 수 있는 더 많은 글로벌 지역전문가를 요구하게 될 것입니다.
국제개발정보과학 Micro Degree는 ‘국내에서 유일한 공간정보과학(GIS)과 국제개발학 의 융합 교육과정’입니다. 공간정보과학 기반의 차별화된 국제개발 교육과정을 통해 여 러분은 국내 유일의 ‘글로벌 국제지역 전문가’이자, ‘국제개발 공간정보 전문가’로서 경 쟁력을 갖추고, 더 넓고 새로운 진로ㆍ진출의 기회를 얻게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교육과정 개요

국제개발정보과학 Micro Degree 교육과정은 미래 공간을 주도하는 글로벌 융합형 인재 양성이라는 비전 아래 공간정보과학 기반의 차별화된 국제개발 교육과정을 토대로 개도 국 현장 중심의 국제개발 인재를 양성을 추구합니다. 이를 위해 개도국이 처한 지역사회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는 이론과 논리학습, 그리고 공간정보과학(GIS) 활용 소양과 역량 강화에 교육과정의 초점을 두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공간정보과학을 기반으로 개도국의 지속가능개발과 국제사회협력을 추진할 수 있는 ‘글로벌 국제지역 전 문가’ 및 ‘국제개발 공간정보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국제개발정보과학 Micro Degree 교육과정 운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공간정보과학 기반의 차별화된 국제개발 교육

  • GIS, 원격탐사, 재난ㆍ방재지도 제작 등 공간정보과학 소양 교육
  • 공간정보과학과 국제개발 융합교육

2. 실습ㆍ프로젝트 기반 수업과 교과-비교과 연계 시스템

  • 액션 러닝(AL),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 등 혁신교수법 적용 교육 수업
  •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재난 및 재해지도 제작 등 실습 중심 수업
  • 국제화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개도국 현장 탐방 수업

3. 1:1 맞춤형 지도 및 One-Stop 교육지원

  • 국제개발정보과학의 효율적 교육과정 이수 지도
  • 전담 교수와 학생의 1:1 매칭형 취업 및 진학 지도

교육목표

공간정보과학 소양을 갖춘 개도국 현장 중심의 국제개발 인재 양성

  • 개도국이 처한 지역사회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 및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논리와 더불어 공간정보 과학 기반의 방법론 및 관련 재난지도 제작 방법론 등에 대한 역량 강화
  • 공간정보과학을 기반으로 글로벌 개도국의 지속가능하며 통합적인 개발을 추진할 수 있는 국제개발 공간정보 전문가 양성

비전, 목표, 인재상, 핵심역량

교과목 소개

[GEO2042] 국제개발지리학 Geograph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최근 글로벌 공간의 변동과 더불어 부상된 국제개발협력 및 개발지리학 분야의 기원과 발전을 이 해하고 현재 주요 과제 및 쟁점을 지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한다.
[GEO4065] 글로벌경제지리 Global Economic Geography
글로벌 경제공간의 변동과 국가 및 로컬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를 중심으 로 다국적 기업, 해외직접투자, 기술의 혁신 등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하고 이해한다.
[GEO4063] GIS와 공간분석 GIS and Spatial Analysis
이 수업은 GIS공간분석 및 통계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독립적인 학습 및 연구 능력을 향상시키기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수업은 국내·외 지역에서 발생하는 사회·인문·경 제·자연현상에 대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공간분석 및 공간통계방법들을 소개한다.
[GEO4068] 원격탐사와 영상판독 Remote Sensing and Image Interpretation
이 수업은 원격 탐측(Remote Sensing, RS) 기술을 통해 취득한 영상(Image)을 해석하여 국·내외 지역의 자연 및 인문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원격탐사의 정 의 및 원리, 전자기스팩트럼의 개념, 원격탐사의 역사, 사진측량법과 다양한 영상처리 방법들을 배 움으로써 지리학에서 바라보는 자연 및 인문현상에 대해 자세히 배우게 된다.
[GEO4066] 자연재해와 방재 Natural disasters and prevention
자연재해 분야에서 방재계획을 수립 시행하는 기초학문으로써 재난의 정의와 개념, 방재학 분야 의 전반적인 개념을 정립하는데 학습의 중점 목표를 둔다. 지진, 악기상, 산사태, 화산 등 강족 재 해의 기본적 요소들을 고찰하고, 국내외 재난사례, 단계별 재난관리와 재난관리를 위한 접근방법 의 필요성을 학습하고 이해한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이승철 지리교육과 교수 경제지리 및 개발지리
  • 국제개발지리학
  • 글로벌경제지리
양병윤 지리교육과 교수 GIS 및 원격탐사
  • GIS와 공간분석
  • 원격탐사와 영상판독
오정식 지리교육과 교수 지형 및 자연재해
  • 자연재해와 방재

진출분야

국제개발정보과학 마이크로디그리를 취득함으로써 국제개발협력과 공간정보과학 분야로 진로 선택이 가능합니다. 본 교육과정을 통해 공간과학기술 부문의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기사,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공간데이터분석 부문의 빅데이터 분석기사 등의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소양을 갖출 수 있으며,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국토연구원, 국가정보원, 국토해양부, 공간정보품질관리원, GIS 및 측량 관련 업체 등으로 취업이 가능 합니다. 또한 공간정보과학 소양을 기반으로 하여 국제개발에 대한 이론 및 방재 관련 교육 과정을 통해 공간정보 국제개발전문가로서 UNESCO, ODA NGO, KOICA, 수출입은행, 기업 해외전문가 국제개발 컨설턴트, 대학 개발협력업무 분야로 진출이 가능합니다.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응용데이터사이언스

책임교수 한마디

응용 데이터사이언스 마이크로디그리는 데이터사이언스 응용을 위한 최소의 과목이수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교과목을 구성하였으며, 이 마이크로디그리를 수료하면 적 어도 데이터 분석을 어떻게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알게 됩니다.

교육과정 개요

응용 데이터사이언스 마이크로디그리에서는 데이터프로그래밍 및 선형대수학의 기초 지 식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전략, 정보 기술 및 모델링 방법을 결합한 데이터사이언스 분야 를 학습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비즈니스 문제들을 사례로 접하게 됩니다.

교육목표

응용 데이터사이언스 마이크로디그리에서는 데이터 수집, 분석을 위한 이론적 수업을 통하여 분석적 사고력을 배양하는 한편 학습자의 전공 지식과 결합하여 창의적 적용력을 함양함으로써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 정보화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합니다.

교과목 소개

[EGC5033] 데이터프로그래밍기초와실습 Introduction to Data Programming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들어 대부분의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이 필수로 요구 되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엑셀의 기초 및 데이터 분석에 쓰이는 대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인 R을 배우고 이를 활용해 데이터 분석에 대한 기초와 시각화, 공공데이터 분석 등 데이터를 분석하고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능력을 키운다.
[PRI4024] 공학선형대수학 Engineering Applications of Linear Algebra
미적분학및연습Ⅰ과 미적분학및연습Ⅱ를 이수한 공학, 정보산업 전공 학생들에게 벡터 공간의 개념도입과 전공에서의 활용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AIC2003] 데이터사이언스개론 Introduction to Data Science
본 교과목은 비즈니스 전략, 정보 기술 및 모델링 방법을 결합한 데이터 과학을 소개한 다. 데이터 과학의 이점과 기회뿐만 아니라 조직, 구현 및 윤리적 문제를 검토한다. 학 생들은 모델링 방법, 분석 소프트웨어 및 정보 시스템에 대한 개요를 익히게 된다.
[AIC4002]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컴퓨터가 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핵심인 기계학습의 기본적인 개 념 및 기법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는 지도/비지도학습의 개념, 회귀, 분류 모델 등의 지 도학습 모델, 클러스터링, 차원감소 기법 등의 비지도 학습 모델 등 기계학습 분야의 여 러 가지 기초 이론을 소개한다.
※ 2023학년부터 교과목 개설 예정
[AID4006] 데이터분석과응용 Data Analysis and Application
본 교과목의 목표는 신경망, 자연어 처리, 비지도 학습 및 최적화 기술과 같은 다양한 데 이터 분석 기술을 전문적인 판단과 함께 적용하여 복잡하고 도전적인 다양한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이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비즈니 스 문제들을 사례로 다룬다.
※ 2023학년부터 교과목 개설 예정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이우진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교수 데이터사이언스
  • 데이터프로그래밍기초와실습
  • 데이터사이언스개론
이영섭 통계학과 교수 데이터사이언스
  • 데이터분석과응용
조덕빈 수학과 교수 수치해석
  • 공학선형대수학
장혜령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교수 인공지능
  • 머신러닝

※ 상황에 따라 교수진은 변경될 수 있음

진출분야

4차산업혁명 시대에 데이터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졸업 후 진로는 어느 특정 분야로 한정 지을 수 없을 만큼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모든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데이터사이언티스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 비즈니스 분석가 : 데이터 분석 tool을 이용하여 마케팅, 판매 전략을 기획
  • 데이터 분석가 : 데이터를 정제하고 분석하여, 예측 분석을 수행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메타버스

책임교수 한마디

메타버스란, 가상과 현실이 상호작용하며 그 속에서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면 서 가치를 창출하는 세상을 의미합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는 전 세계 메타버스 시장 규모를 2025년에는 2800억 달러(약 315조원)에 이를 것이며, 메 타버스 시장이 커질수록 게임과 메타버스 산업은 물론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해 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메타버스는 다양한 범용기술이 복합 적용되어 구현되며, 이를 통해 현실과 가상의 경계 가 소멸되고 확장현실(XR), 빅데이터, 클라우드·네트워크, 인공지능 등의 기술들이 전 산 업에 다양한 용도로 영향을 미치며 혁신을 유도하는 범용기술에 해당됩니다. 이 메타버 스 혁명은 기존 인터넷 시대의 한계점을 새로운 혁신으로 극복하며, 특정 산업에 국한되 지 않고, 전 산업과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메타버스는 전 산업 에 확대 적용 중이며, 진화된 플랫폼도 지속적으로 등장하여 개발자 생태계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지금은 메타버스의 전성시대이며, 여러분들은 지금 메타버스에 올라탈 시간이 되었습니다. 전 산업분야에 메타버스와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메타버스·인공지능 융합인재 가 될 수 있도록 본 전공에서는 메타버스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을 제공합니다.

교육과정 개요

메타버스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은 창의 혁신형 글로벌 AI융합 전문인재 양성이라는 교육목표와 비전 아래 가상융합경제를 창출할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기술인 메타버스 교육과정을 토대로 메타버스 신기술 분야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의 기본 이론과 개념을 이해하고, 가장 기초가 되는 메타버스 프로그 래밍과 그래픽디자인 기초 과정을 거쳐서, 메타버스 콘텐츠 설계를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인공지능과 메타버스 기술의 융합과정을 학습하게 됩니다, 또한 이를 통해 다양한 산 업분야에 메타버스와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메타버스·인공지능 융합인재 양성 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교육목표

메타버스·게임 산업의 발전에는 현대의 디지털 문화를 이해하고 메타버스·게임 플랫폼 개발 을 위한 인공지능 이론, 융복합적 기술 분석과 실무 수준의 메타버스·게임 시스템 개발 능력 을 겸비한 시스템 및 응용 개발자와 같은 고급 인공지능 융합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중요합 니다. 이러한 시대적 발전 흐름에 맞추어 조성된 엔터테인먼트 테크놀러지 전공의 메타버스 마이크로디그리는 다양한 인공지능 기반의 공학적 요소와 문화적 요소 등이 융합하여 이루어 진 융복합적 학문을 교육하는 교육과정입니다.
본 마이크로디그리에서는 엔터테인먼트와 기술의 종합체인 메타버스·게임 플랫폼을 구축하 기 위한 인공지능 융복합 기술 기반의 창의적 개발 능력과 지도자적 자질을 갖추어 새로운 메 타버스 시대의 인류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시대적 동량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융복 합 이론과 기술 그리고 실무 경험을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교과목 소개

[AIC2011] AI콘텐츠융합개론 Introduction to AI Contents Convergence
융합시대를 주도할 메타버스와 게임기술의 현황을 학습하고 메타버스와 게임기술의 이해와 향후 차세대 관련분야의 발전방향에 대해 탐구한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이 메타버스와 게임분야에서 활용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 강좌에서는 또한 인공지능시대에서 엔터테인먼트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해당 산업의 장르별 역사와 현황 및 전망을 학습한다. 특히, 장르별 제작과정과 밸류체인, 마케팅 등 엔터테인먼트산업 비즈니스에 필요한 경영학적 이론들도 학습한다.
[AIE2001] 메타버스프로그래밍 Metaverse Programming
본 교과목에서는 게임 엔진을 사용하여 메타버스와 게임 프로그래밍 기술과 방법론을 다루고 이를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방법을 다룬다. 이 과정에서 다루는 주 제에는 기본 2D, 3D 개념, 변환 및 조명 파이프라인, 카메라 관리, 개체 포함하기, 개체 그리기, 입력, 특수 효과, 충돌 감지, 사운드, 파티클 시스템 및 텍스처링 등을 소개한다. 강좌에서는 실제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기획하고, 이를 엔진을 활용하여 제작해 봄 으로써 엔진을 활용한 프로그램개발의 전반적인 과정을 경험해 보게 된다.
[AIE2006] 메타버스콘텐츠디자인 Metaverse Contetns Design
디지털 환경의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 콘텐츠설계의 최신 동향과 트렌드를 조망하고, 다 양한 분야의 융합적인 아이디어 도출과 콘텐츠 분석을 통해 콘텐츠 기획 및 아이덴티티 설계, 크리에이티브 전략, 주제와 스타일 등 시각적 표현에 대한 습득과 메타버스 콘텐 츠를 설계한다.
※ 2023학년부터 교과목 개설 예정
[AIE2005] 컴퓨터그래픽디자인기초 Fundamentals of Computer Graphic Design
컴퓨터 그래픽디자인의 기본이 되는 디지털 이미지 개념과 생성 원리, 구현 방법을 이해 한다.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한 디자인 사례 분석과 제작실습을 통해 Design Process와 결과물의 질적 향상 방법을 탐구한다. 게임과 메타버스 플랫폼의 다양한 활용과, 디자인 적 감각을 함께 융합하여 수준 높은 그래픽 결과물 제작능력을 함양한다
[AIE4016] 메타버스공간UI/UX디자인 Metaverse Space UI/UX Design
본 교과목은 메타버스 공간UI/UX 설계 및 디자인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학습한다. 본 수 업을 통해 메타버스공간의 대한 이해와 디자인 씽킹, 휴먼컴퓨터 상호작용, 사용자 테스 트의 기초 방법론을 소개하고 실습을 통해 익힌다.
※ 2023학년부터 교과목 개설 예정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조경은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교수 게임 및 메타버스 지능
  • AI콘텐츠융합개론
정달영 공연예술학과 교수 예술경영
김범주 유니티 코리아 메타버스 자문위원 메타버스
김찬현 ㈜조이시티 메타버스 자문위원 그래픽디자인
성연식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교수 슈퍼인텔리전스
  • 메타버스프로그래밍 (팀 티칭)
강기완 (주)네오소닉스 게임기술 자문위원 게임공학
이영숙 영상문화콘텐츠 연구원 교수 게임/애니메이션
  • 메타버스콘텐츠디자인
이창환 프레임웍스(주) 메타버스 자문위원 컴퓨터공학
이영숙 영상문화콘텐츠 연구원 교수 게임/애니메이션
  • 컴퓨터그래픽디자인기초
장준호 산업시스템공학과 교수 UI/UX, 인간공학
  • 메타버스공간UI/UX디자인
김범주 유니티 코리아 메타버스 자문위원 메타버스

※ 상황에 따라 교수진은 변경될 수 있음

진출분야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메타버스 ·게임 등의 엔터테인먼트 테크놀러지 산업의 중요성이 확대됨에 따라, 최근 고품질의 엔터테인먼트 플랫폼과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 는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및 응용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대한 비중이 커지고 있습 니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엔터테인먼트 테크놀러지를 전공한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 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메타버스 마이크로디그리를 이수한 졸업생들은 다음과 같은 응용 분야의 산업체 및 연구소에서 연구 개발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 하게 됩니다.

  • 엔터테인먼트 테크놀러지 연구개발 전문가 : 인공지능, 3D ·4D 인터랙티브 효과, 휴먼 컴퓨터 인터랙션, 오감기술, 컴퓨터시뮬레이션, 확장현실 등의 유관 분야
  • 메타버스 ·게임 시스템/프로그래밍 전문가 :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 개발, 메타버스 ·게임 프로그래밍, 메타버스 ·게임 인공지능응용 기술 등의 유관 분야
  • 메타버스 ·게임 콘텐츠 개발자 : 홍보용/학습용 콘텐츠 제작, e-learning, 쇼핑몰, 광고 등의 유관 분야
  • 메타버스 및 인공지능융합 관련 기업 개발자/기획자
  • 메타버스 및 인공지능융합 관련 연구소 등의 연구원
  • 메타버스 및 인공지능융합 관련 벤처기업 창업
  • 메타버스 기술 활용이 필요한 전 산업분야 기업체의 연구원/회사원
  • 미국 CMU ETC 등 인공지능 및 엔터테인먼트 테크놀러지 관련 국내외 대학원 진학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ESG 경영

책임교수 한마디

  • ESG란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말로 기업 활동에 친환경,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개선을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자는 의미임
  • 기업의 재무적 성과만을 기준으로 삼던 기존의 경영과 달리, 장기적 관점에서 친환경, 지역사회와의 소통, 공정한 경영방식 등 사회적 가치의 창출하는 ESG 경영이 기업경영의 중요한 목표가 되고 있음

교육과정 개요

‘ESG 경영’은 기업 경영과 환경 보전, 기후변화 대응, 지역공동체 발전을 연계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학습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 환경과학 분야와 법학 분야의 새로운 학문융합을 통한 관련 인재 양성 교육과정임 이다.

  • 기업 경영과 환경 보전, 기후변화 대응, 지역공동체 발전을 연계하는 ESG 경영 교육
  • ESG를 통해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목표 실천을 위한 융합 교육
  • 환경과학 분야와 법학 분야의 새로운 융합 교육

교육목표

  • ‘ESG 경영’마이크로 디그리는 기업 경영과 환경 보전, 기후변화 대응, 지역공동체 발전을 연계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학습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 환경과학 분야와 법학 분야의 새로운 학문융합을 통한 관련 인재 양성 교육
  • 지속가능한 지구환경 보전을 실천하기 위해 ESG 경영 및 평가에 대한 이해를 갖춘 인재 양성

교과목 소개

BES2015 환경계획학 캡스톤디자인 Environmental Planning Capstone Design
환경생태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계획의 제반 개념과 이론을 습득하여 실제 토지이용계획, 국토공간계획, 자연환경보전계획, ESG 경영과의 관계 등 다양한 환경계획을 검토하고 시행하는 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LAW2050 회사법 Corporation Law
회사기업, 특히 주식회사에 관하여 설립에서부터 해산·청산에 이르기까지의 법적 제문제점을 해석학적인 측면은 물론, 비교법적·입법론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주식회사의 정관과 기관구조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주식회사제도에 있어서 중심적 규정이라고 할 수 있는 기관, 자금조달, 계산에 관하여 강의함으로써 학생들이 주식회사제도 전체에 관하여 이해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전문적 소양, ESG 경영에 대한 이해 등을 배양시킬 수 있도록 한다.
BES4028 환경법과 환경정책 Environmental Law & Environmental Policy
정책변동의 발생에 따른 바람직한 정책과정의 이해를 위해 국내외 환경정책결정 이론을 강의한다. 또한 전통적 공공정책 결정 과정과 환경거버넌스 이론, ESG 경영관의 관계 등을 고찰한다.
BES2006 환경화학 Environmental Chemistry
토양-물-대기환경 내에서 환경오염물질의 기초적 화학반응과 이동 및 이에 영향을 주는 환경인자 등에 대해 학습하고 ESG 경영과의 관계 등을 이해한다.
BES4042 ESG 대기환경학 ESG Atmospheric Environment
환경 비전공자가 환경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으며, 특히 대기환경학을 기반으로 환경에 대한 과학적 접근방법을 소개한다. 도시와 농촌 간 대기오염물질 영향을 이해할 수 있으며, 특히 농업활동에서 유래된 암모니아 가스로부터 생성된 미세먼지 전구체를 통해 도시의 미세먼지 확산 특성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스마트폰 기반의 대기환경 어플리케이션의 대기환경질 지표값을 세부적으로 이해하며, Hysplit과 같은 대기오염 모델링을 운영해 본다. 또한 ESG 경영과의 관계 등의 이해 폭을 넓힌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오충현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 환경생태학
  • 환경계획학캡스톤디자인
이훈종 법학과 교수 회사법
  • 환경계획학캡스톤디자인
윤화영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 환경법 정책학
  • 환경법과 환경정책
조시경 법학과 부교수 환경공학
  • 환경화학
이상용 바이오환경과학과 조교수 토양물리화학
  • ESG 대기환경학

진출분야

1. 기업 ESG 경영 컨설팅 분야

  • 기업 ESG 경영 도입을 위한 경영 컨설팅
  • 노동법 규제 대응 및 인사·노무 관련 이슈 관리
  • ESG 공시 인증/ ESG 채권 인증 관련 회계처리
 

2. 기업 ESG 담당

1) ESG 전략팀
  • 전사적인 ESG 전략 수립 및 고도화 과제 수립, 추진
  • ESG 보고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작성 및 발간
  • 사회적 가치 측정 및 ESG 투자 Risk 검토 및 관리
  • 구성원 ESG 내재화 활동 추진
  • ESG 관련 외부기관 평가 준비 및 대응

2) 환경기술팀
  • 탄소중립, 기후변화 대응 담당자
  • 온실가스 감축사업, 재생에너지 전략 수립
  • CDP 등 탄소 공시 업무
  • 탄소세 등 국내외 동향 파악 및 대응
  • 기후변화 및 친환경 관련 규제 파악 및 대응

3) 법무·감사팀
  • 자산운용 및 감사, 사업 관련 법률 이슈 검토 보고서 작성
  • 내부감사 및 각종 점검업무 수행
  • 경영권, 기업지배구조 관련 법률 및 규제 대응
  • 기업의 각종 계약 체결 지원 및 계약사항 관리
 

3. ESG 평가인증기관

  • ISO 등 ESG 평가인증제도 수립 및 운영
  • 기업의 ESG 평가인증 및 관리, 컨설팅
  • ESG, 산업기술 관련 지도 및 강의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디지털 비즈니스

책임교수 한마디

Digital Business Micro Degree는 데이터분석과 경영학을 합친 교육과정입니다. 디지털 비즈니스의 개념을 이해하고 실습을 위한 이론과정들을 학습한 후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분석기술을 다룹니다. 데이터 기반의 비즈니스 혁신에 관심이 있는 자연계열 학생과 인문, 사회, 예체능 계열의 학생들이 5개의 교과목을 이수하고 Micro Degree를 취득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과정입니다. 최근에 사회적으로 매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머신러닝와 비즈니스의 융합에 관심이 있는 학생에게 제공하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융합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igital Business에 관심 있는 많은 학생들이 이수하기를 기대합니다.

교육과정 개요

대중들이 스마트폰을 들고 다닌 이후, 모든 사람의 족적이 인터넷에 남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고객들의 데이터들을 찾고 분석해 인사이트를 발견하는 것이 4차 산업시대의 핵심 역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Digital Business Micro Degree에서는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머신러닝, 구글 애널리틱스, SNS 기반 기법 등을 통해 데이터를 확보하고 확보한 고객 데이터를 활용해 최적의 고객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융합적 교육과정을 수강할 수 있습니다.
즉, 실무에 유용한 교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마케터뿐 아니라 기획, 회계와 같은 직무에서도 디지털 비즈니스 지식이 있으면 개발자에게 어떠한 DB를 요청할 것인지, 개발의 방향성도 같이 공유하면서 프로젝트를 완성시킬 수 있는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교육목표

1.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요소인 빅데이터, AI와 경영학의 융합 교육을 통한 경쟁력 있는 융합형 인재 양성
2. 실무 중심의 실습 교과 구성을 통해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 지향 인재 양성
3. 관련 전문가의 강의 참여와 자문을 활용한 교과과정 운영을 통한 디지털 비즈니스 전문인력 양성

교과목 소개

ISE2021 데이터분석입문 Introduction to Data Analysis
본 과목에서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적인 내용인 데이터의 성질, 독립변수의 선택, 결측값 처리, 탐색적 자료 분석, 데이터의 표현 등에 대하여 다룬다. 더불어 회귀, 분류, 군집화의 정의를 알아보고 이들을 데이터 분석에 목적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간단한 알고리즘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한 위 내용들의 대한 실습을 병행하여 현실 문제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을 함양한다. 본 강의를 통해 디지털 비즈니스의 기초인 데이터 분석의 기초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ASW4012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컴퓨터가 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핵심인 기계학습의 기본적인 개념 및 기법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는 지도/비지도학습의 개념, 회귀, 분류 모델 등의 지도학습 모델, 클러스터링, 차원감소 기법 등의 비지도 학습 모델 등 기계학습 분야의 여러 가지 기초 이론을 소개한다.
MIS4069 데이터마케팅 Data Marketing
소비자 상호 작용 및 참여를 통해 수집되는 빅데이터는 소비자의 심리와 행동을 나타내는 매우 중요한 데이터이고, 빅데이터로 부터 추출할 수 있는 소비자 및 시장에 대한 통찰력은 비즈니스 및 마케팅 실무의 핵심 요소이다. 본 교과에서는 데이터 마케팅의 특성과 데이터 마케팅 전략의 개발에 대해 학습한다. 사례연구와 실습을 통해 고객의 심리를 예측하고 신속한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 중심 마케팅을 실천해 본다. 본 강의를 통해 디지털 비즈니스를 위한 데이터 기반 마케팅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MIS4054 빅데이터와비즈니스애널리틱스 Big Data & Business Analytics
최근의 빅데이터 열풍은 기본적으로 비즈니스 데이터에 대한 분석의 중요성에 기반하고 있다. 본 교과에서는 정형, 비정형의 기업 데이터에 대한 분류, 예측, 군집화, 연관관계분석 등의 고도화된 분석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경영혁신방안과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최근의 빅데이터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비즈니스 애널리틱스 기법에 대해 학습한다. 본 강의를 통해 비즈니스 데이터의 분석과 활용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
빅데이터관리 Big Data Management
데이터 중심 비즈니스 경영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데이터아키텍처전문가, 경영빅데이터분석사 등의 새로운 데이터과학 전문인력에 대한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본 교과에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SQL 등의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기법과 하둡, 맵리듀스, 피그, 하이브 등의 빅데이터 관리를 위한 기법을 학습한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손영두 산업시스템공학과 교수 산업시스템공학
  • 데이터분석입문
김준태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교수 컴퓨터공학
  • 머신러닝
소영재 경영정보학과 외래강사 MIS
  • 데이터마케팅
김경재 경영정보학과 교수 MIS
  • 빅데이터와 비즈니스 애널리틱스
민금영 경영정보학과 외래강사 MIS
  • 빅데이터관리

진출분야

본 과정의 진로는 민간, 공공, 비영리 기관의 취업과 경영정보학과 등 디지털 비즈니스 관련 학과의 대학원 과정 진학 등이 있다. Digital Business 전문가를 원하는 여러 기관과 기업에 취업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경영 컨설팅 업체, 금융기관의 데이터 관련 부서, 4차 산업혁명 관련 스타트업, 민간 기업의 데이터 분석 부서, 공공기관과 비영리기관의 데이터 분석 부서에 취업이 가능하다.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바이오빅데이터분석

책임교수 한마디

일반인들이 떠올리는 생물학 전공자의 이미지와 달리 현대 생물학에서 빅데이터 분석은 이제 점점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등 각종 오믹스 학문의 대두로 인하여 생물학 데이터의 규모는 대형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를 분석하기 위한 산업 수요도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본 과정은 그러한 사회의 수요에 걸맞는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교육과정 개요

바이오빅데이터분석 마이크로디그리는 최근들어 대형화 되어 가고 있는 바이오 데이터 분석 이론을 학습하고 관련 실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인 데이터 분석 이론에 대한 학습을 기반으로 바이오 빅데이터의 특성, 바이오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학습하고, 최근의 인공지능 학습법이 바이오 빅데이터에 적용되는 사례 등을 학습하여 바이오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가 되기 위한 이론 및 실습을 교육하는 과정입니다.

교육목표

  •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본 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활용하여 실제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인재 양성
  • 바이오 데이터 분석을 위한 통계학적 이론 및 실습을 통해 생명과학/헬스케어/제약 등 다양한 연계 분야로 진출하더라도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 함양
  • 대형화되어 가고 있는 바이오 빅데이터의 특성 및 사례, 분석 상의 유의점에 관한 이해를 통해 바이오 빅데이터에 특화되어 있는 분석 전문가 배출
  • 인공지능 이론을 기반하여 이를 바이오 빅데이터 분석에 활용하는 실습을 통해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바이오 빅데이터 분석가를 양성

교과목 소개

BIO2016 데이터생물학 Data biology
데이터생물학은 현재까지 축적된 엄청난 유전체 정보의 생성량으로부터 의미있는 정보분석 결과를 도출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아울러 의료서비스 확대와 바이오 산업육성을 통해 관련분야의 발전과 함께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최신 생명과학 분야에서 만들어지는 데이터 사례, 바이오빅데이터의 특성 및 차별성을 학습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본 교과목을 통해 일반 빅데이터와 다른 바이오 빅데이터의 특성을 학습하게 된다.
BIO4038 생물자료분석 Data Analysis in Biology
본 강좌는 생명과학에서 필요로 하는 실험을 설계하는 방법,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 통계학적 분석 방법, 다양한 현대 생명과학 분야의 논문을 비평적으로 읽는 방법 등을 배우게 된다. 학생들의 발표와 교수의 이론 강좌가 병행된다. 본 교과목을 통해 바이오 빅데이터 분석의 실제 통계 분석 방법론을 익히게 된다.
AIC2003 데이터사이언스개론 Introduction to Data Science
본 교과목은 비즈니스 전략, 정보 기술 및 모델링 방법을 결합한 데이터 과학을 소개한다. 데이터 과학의 이점과 기회뿐만 아니라 조직, 구현 및 윤리적 문제를 검토한다. 학생들은 모델링 방법, 분석 소프트웨어 및 정보 시스템에 대한 개요를 익히게 된다. 본 교과목을 통해 빅데이터 분석의 일반적인 방법론을 익히게 된다.
BSI4003 인공지능생물학
인공지능 방법론은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면서 모든 분야에 널리 활용되지만 특히, 바이오, 의료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생물학 빅데이터에 인공지능 기법을 이용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기 위한 다양한 인공지능 기법 및 이론을 학습한다.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수강생들이 직접 생물학 문제를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하는 실습 및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바이오 빅데이터 분석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방법 등을 함께 학습하게 된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이민호 생명과학과 조교수 데이터생물학
  • 데이터생물학
  • 인공지능생물학
장원희 생명과학과 교수 발생학
  • 생물자료분석
이우진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조교수 데이터사이언스
  • 데이터사이언스개론

진출분야

  • 국공립 연구기관, 기업 부설 연구소: 바이오 빅데이터 분석 연구원, 바이오 융합 분야 연구
  • 바이오 데이터 분석 개발자: 헬스케어, IT 기업, 제약회사, 생명보험회사
  • 신약개발, 헬스케어, 생명과학 벤처 창업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불교디지털콘텐츠

책임교수 한마디

인류의 삶이 디지털문명 구조로 변화됨에 따라 문화의 향유와 공유 역시 디지털문화로 전환되어,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세계화와 문화산업의 디지털 선도화를 이끌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절실히 필요로 합니다. 장구한 우리나라 역사와 문화의 한 축을 이룬 불교문화는 미래에도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거듭날 수 있는 미래산업 발전에 중요한 문화자원입니다. 불교디지털콘텐츠 Micro Degree는 불교문화의 디지털콘텐츠화를 위한 불교문화의 원형 이해와 소프트웨어 운영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에 본 과정을 수강하시는 학생 여러분은 학문적 소양과 기술을 습득한 전문인, 철학적 사고로 논리적 판단과 비판 능력을 소유한 문화인, 자신뿐만 아니라 국가와 사회의 발전을 함께 도모할 줄 아는 지혜와 자비를 갖춘 지도자가 될 것입니다.

교육과정 개요

디지털 시대로의 변화에 부합하는 디지털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불교문화의 원형을 이해하여 인문학적 소양을 기본적으로 쌓아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메타버스·영상 프로그램 등 디지털콘텐츠 프로그램 운영과 설계가 가능한 디지털프로그램에 관련된 기술적 지식과 실행 기술의 습득이 필요하다. 또한, 트랜스·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는 디지털콘텐츠 개발에 앞서 인류의 존속과 존재적 가치를 확고히 하는데 철학적 사유와 통찰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 불교디지털콘텐츠 교육과정은 디지털콘텐츠 전문인으로서의 인문학적 지식과 실무 능력을 갖출 수 있는 이론 교육과 인류의 가치를 지속 가능케 하고, 디지털 기술의 효과적인 활용 방법을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함양에 주안점을 둔 교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목표

불교디지털콘텐츠의 교육목표는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 불교문화를 기반으로 디지털문화콘텐츠를 발전시키고 가능케 하여, 우리나라 전통문화를 세계화하고 국가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에 불교디지털콘텐츠 교육과정에서는 불교문화의 원형을 활용하여 디지털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스토리텔링·콘텐츠 활용과 프로그램 기획이 가능한 독창적·창의적 지식인, 디지털콘텐츠의 플랫폼 구현을 위한 디지털 역량을 갖춘 창작인, 사회와 소통하는 화쟁형 철학인, 자신과 국가와 사회를 위해 도전적이고 진취적인 삶을 이끄는 지혜와 자비심을 가진 선도인 양성을 추구한다.

교과목 소개

BIS2036 불교문화의 이해 Understanding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불교문화는 불교의 종교적 사상과 국가와 사회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정신적, 물질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불교문화는 불교뿐만 아니라 국가의 역사를 지닌 전통문화이기도 하다. 본 강의에서는 불교가 인도를 거쳐 중국으로부터 우리나라에 전해져 정착하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예술, 의식주 등 다양한 분야의 불교문화 이해를 돕고자 한다. 아울러 불교문화 이해의 이론 지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문화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디지털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스토리텔링 자원을 탐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BIS4057 명상과 가상현실 Meditation and Virtual Reality
본 강좌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속 불교의 역할과 미래에 대한 분석과 전망이다. 강의에서는 인공지능을 비롯한 첨단기술의 발전 양상과 본질을 이해하고, 불교적 관점에서 다양한 해석을 시도한다. 그 과정에서 과학기술의 발전을 불교적으로 수용하고 동시에 불교적 통찰을 과학기술의 발전 방향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불교적 소양을 갖춘 수강생들이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에 창의적으로 적응하고, 새로운 불교문화를 창출하면서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하도록 일조한다.
KOR4104 고전문학과 현대매체 Korean Classics and Modern Media
고전문학 가운데 TV드라마나 영화 등 영상콘텐츠, 연극이나 뮤지컬 등 공연콘텐츠, 웹툰/웹소설이나 유튜브 등 디지털 콘텐츠로 재현된 사례와 그 성격 등을 살펴, 고전의 현대적 활용의 양상을 이해한다. 아울러 story(이야기)의 원천으로서 고전문학의 가치와 함께 이를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작품 선별과 기획, 연출 등의 현대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강의이다. PBL 강의방식을 도입하여 학기 중에 실제로 진행되고 있는 고전문학 및 전통문화 기반의 공모전에 직접 응모하도록 한다.
ASW2010 융합기초프로그래밍 Convergence basic programming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프로그래밍 능력과 AI 이해/활용 능력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수학, 데이터, 시각화, AI 등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응용/융합을 중심으로 한 입문단계 프로그래밍 교과이다. 본 강의에서는 Python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한 능력을 학습하고 AI의 기초 개념과 활용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IE2006 메타버스콘텐츠디자인 Metaverse Contetns Design
디지털 환경의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 콘텐츠설계의 최신 동향과 트렌드를 조망하고, 다양한 분야의 융합적인 아이디어 도출과 콘텐츠 분석을 통해 콘텐츠 기획 및 아이덴티티 설계, 크리에이티브 전략, 주제와 스타일 등 시각적 표현에 대한 습득과 메타버스 콘텐츠를 설계한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김일환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조교수 고전문학
  • 고전문학과현대매체
박성식 AI융합학부 조교수 인공지능
  • 인공지능프로그래밍 기초와 실습
양성철(보일) 불교학부 외래강사(해인사승가대학 학장) 철학
  • 명상과 가상현실
이영숙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부교수 융합콘텐츠
  • 메타버스콘텐츠디자인
한수진 불교학부 강사 불교문화
  • 불교문화의 이해

진출분야

  • 콘텐츠 기업체 : 콘텐츠 산업 분야인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지식정보, 캐릭터/라이선스 등의 사업체에서 직무 또는 프리랜서로 활동
  • 정부 및 공공기관 : 콘텐츠진흥원, 박물관, 문화원,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불교문화정책 기획 및 전문적 대응
  • 불교 관련 분야 : 불교방송/언론사, 종단, 불교문화재연구소, 불교문화산업체 등에서 디지털콘텐츠 제작, 기획, 마케팅, 운영 및 관리 등 불교문화 디지털콘텐츠 전문가로 활동
  • 교육분야 : 문화재학과, 미술/음악/영상 등의 예술대학, 문화센터 등에서 디지털콘텐츠 교육전문가로 활동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불교문화콘텐츠

책임교수 한마디

문화콘텐츠는 인문학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불교문화는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한 부분입니다. 그러므로 불교문화는 우리나라 전통문화에 내포된 의식과 역사성을 밝히는 중요한 원천이 되므로,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불교문화에 관한 학문적 지식 습득이 필요합니다. 또한, 이를 콘텐츠로 변용 가능한 디지털 기술도 겸비해야 합니다. 더욱이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은 디지털 윤리 의식 함양을 위한 철학적 사유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불교문화콘텐츠 Micro Degree 교육과정은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불교문화의 이론 및 문화콘텐츠 개발에 활용 가능한 영상콘텐츠 제작과 기획 기술을 습득하고, 철학적 사고와 비판 능력을 기르는 유익한 교육의 기회가 될 것입니다.

교육과정 개요

우리나라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자원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시대와 국가와 사회라는 시공간적 흐름의 전개 과정을 거치며 형성된 불교문화의 역사와 의미, 발전과정, 무형·유형문화(재)에 대한 이해와 탐구가 필요하다. 게다가 지금의 시대적·사회적 생활방식은 1인 방송매체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도 디지털콘텐츠의 활용이 늘어나, 문화를 포함한 생활방식 전반에 걸쳐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어 디지털 윤리 의식도 더불어 요구되고 있다.
불교문화콘텐츠 Micro Degree 교육과정은 불교문화콘텐츠의 제작·기획·운영·관리에 필수 요소인 불교문화의 인문학적 지식을 함양하고, 불교문화를 영상콘텐츠로 전환할 수 있도록 영상 제작 원리를 이해하고 소프트웨어 기술 습득과 활용법을 익히며,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디지털 시대가 불러올 윤리적 문제를 탐구하여 이를 대응 할 수 있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와 판단 및 비판을 할 수 있는 철학적 사유의 기회를 제공하여, 문화콘텐츠 개발 분야의 전문적인 화쟁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교육목표

본 교육과정은 문화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인문학적 자료 수집과 분석을 불교문화를 중심으로 전개하고, 문화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영상 제작 기술의 이론과 운영 기술 습득의 기회 및 교육 제공을 목표로 한다. 아울러 본 과정을 통해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문화콘텐츠 기획과 제작 능력을 갖춘 도전적이고 진취적인 문화콘텐츠 전문인, 불교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인문·예술·산업기술 등과 융합하여 국가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화쟁형 인재 및 인간과 이를 둘러싼 디지털 세계의 윤리 문제에 대응 가능한 지혜와 자비심을 갖춘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고자 한다

교과목 소개

BIS4002 계율학 Study of Buddhist Precepts and Rules
계율은 불교인이 준수해야 하는 윤리와 규범으로 자발적인 도덕 윤리와 타율적인 규범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불교교단이 성립됨에 따라 교단 질서 유지를 위한 수행자의 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규율이 제정되어, 계율은 불교교단의 질서 유지를 위한 역할을 하고, 역사와 사회에 따라 시대정신을 살려 다양하게 해석되고 발전하면서 불교문화 형성에 근간이 되고 있다. 따라서 계율학을 통해 불교의 윤리, 사회, 문화 제반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가능하여, 불교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불교교단의 생활 규범에 관한 학문적 탐구와 지식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BIS4017 선문화론 Seon Culture Theory
현대인의 다양한 삶의 영역에 깃든 선문화와 관련된 이론 및 실제를 살펴보고 바람직한 선문화의 내용 및 방법들을 고찰하여, 불교문화 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인문학적 자원을 탐구한다.
BIS2036 불교문화의 이해 Understanding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불교문화콘텐츠는 불교적 가치를 지향하여, 불교의 문화유산과 생활양식 및 이와 관련된 사회적 제반 현상 등을 소재로 제작된 창의적 산물인 문화콘텐츠이다. 본 강좌는 불교문화재(성보)의 이해와 활용법, 사찰의 구성 요소인 법당·전각 등의 주요 건축물, 불상·불화·의식구·음악·무용 등 불교예술, 음식·의복·주거방식 등 생활양식에 관한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스토리텔링 자원 및 이를 활용하여 산업화한 문화콘텐츠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불교가 지니고 있는 무한한 창작의 소재를 발굴할 수 있도록 안내할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불교문화를 콘텐츠화하여 어떻게 알거리, 볼거리, 먹을거리, 놀거리로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인지 탐구해볼 것이다.
BIS4057 명상과 가상현실 Meditation and Virtual Reality
본 강좌는 빅테이터, 인공지능, 가상현실을 명상수행에 활용하는 융합기술에 대해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돕는데 초점을 두고, 인공지능을 비롯한 첨단기술의 발전 양상과 본질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 과정에서 디지털 과학기술의 발전을 불교적으로 수용하고 동시에 불교적 통찰을 과학기술의 발전 방향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불교적 관점에서 다양한 해석을 시도한다.
HIS4046 디지털역사문화콘텐츠(캡스톤디자인) Digital History and Cultural Contents(Capstone Design)
역사정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영상화와 스토리텔링을 결합한 콘텐츠 구성 및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신성현 불교학부 교수 계율학
  • 계율학
김택경 사학과 조교수 역사학
  • 디지털역사문화콘텐츠(캡스톤디자인)
박청환(정덕) 불교학부 교수 인도선
  • 선문화론
양성철(보일) 불교학부 외래강사(해인사승가대학 학장) 철학
  • 명상과 가상현실
한수진 불교학부 강사 불교문화
  • 불교문화의 이해

진출분야

  • 문화산업분야 : 광고 대행사, 산업방송 채널, 공연 기획사, 잡지·신문사, 문화 재단, 앱 개발사, 박물관, 지방자치단체, 도서관 등 사업체 및 공공기관
  • 문화기업 창업 및 프리랜서 : 유튜버, 애니메이션·영화·드라마·뮤지컬 작가
  • 종무행정 분야 : 사찰 운영 기관(종무소, 교육원 등), 군법사, 불교 NGO 활동, 포교사
  • 교육·연구분야 : 불교학과·문화재학과·예술대학·문화센터·불교 교육기관, 대학·불교종단 소속 연구소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어카운팅데이터사이언스

책임교수 한마디

회계분야를 둘러싼 법률과 경제환경의 변화에 따라 어카운팅은 많은 발전을 이루어왔습니다. 정보의 제공이라는 회계의 고유한 기능이 최근 4차 산업혁명과 하이테크로 인하여 비약적인 발전을 이룰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찾아내지 못했던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진다면 회계분야와 회계서비스는 경험하지 못했던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고 투자자를 포함한 정보의 수요자들은 훨씬 예측가능한 환경에서 경제활동을 영위하게 될 것입니다. 어카운팅데이터사이언스는 데이터사이언스와 회계학을 합친 교육과정이며 회계분야와 데이터사이언스에 관심이 많은 자연계열 학생과 인문, 사회, 예체능 계열의 학생들이 5개의 교과목을 이수하고 Micro Degree를 취득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과정입니다.

교육과정 개요

  • 어카운팅 데이터 사이언스 Micro Degree는 회계와 관련된 과목들과 함께 데이터분석, 딥러닝/머신러닝 등 관련된 과목들을 함께 배우며 융합적인 사고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 회계 분야와 데이터 분야를 함께 접목해야 하므로 선제적으로 회계원리를 이수하여 기초를 쌓고 데이터 관련 입문과목을 수강한 후 회계데이타애널리틱스 과목을 수강할 수 있는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교육목표

  • 어카운팅 데이터 사이언스 Micro Degree는 빠르게 변화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추어 회계 관련 지식과 기술을 익히고, 이를 데이터 사이언스에 적용해 다양한 자료를 수집/분석하며, 회계업무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합니다.
  • 이 교육과정을 통해서 회계 정보의 분석뿐만 아니라 분석한 정보를 이용해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교과목 소개

  • 어카운팅 데이터 사이언스 Micro Degree는 회계 데이터를 분석하는 융합과정입니다. 본 과정은 파이선 등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하며 회계학분야로의 응용을 그 목적으로 합니다. 회계학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회계와 IT등의 분석과 응용을 위한 전문화된 교육과정을 제공합니다.
  • 다른 데이터사이언스 과정과 차별화되는 회계분야에서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분석 및 응용을 제공합니다.
DBA2014 회계원리 Principles of Accounting
회계원리는 회계의 입문 과목으로 회계학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이론들에 대해 배울 수 있으며 기초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회계 정보의 생성과정과 분석방법에 대해 배우는 과목이다. 회계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사이언스가 목표이므로, 이를 위해서는 기초적인 회계지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야 하기에 이 과목이 Micro Degree 과정을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MGT2017 비즈니스 데이터 애널리틱스 개론 Introduction to Business Data Analytics
본 교과목에서는 가치를 창출하는 비즈니스 분석 기회를 파악, 평가 및 포착하는 방법을 학습하기 위해 기본적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에 기반한 데이터 분석의 원리를 배우고 실습을 통해 체험한다.
MIS4065 데이터 애널리틱스 Data Analytics
본 강의는 최근의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열풍에 부응하기 위하여 비즈니스 데이터의 분석기법을 실습을 통해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텍스트분석 등의 비정형 데이터 분석기법과 군집분석, 연결망분석 등의 무감독 학습기법에 대한 비즈니스 응용방안과 활용사례를 학습한다.
MIS4073 딥러닝응용 Advanced Deep Learning
인간을 포함한 모든 사물을 스마트한 자율객체로 구현하는 것이 4차 산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스마트한 자율객체의 구현을 위해서는 시스템이 인간과 같은 뇌구조를 가지고, 이를 통해 스스로 사물을 인식하고, 경험에 의해 학습을 하는 자율성이 확립되어야 한다. 본 교과에서는 자율개체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의 머신러닝과 딥러닝에 대해 학습한다. 자율성을 실현할 수 있는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핵심 개념, 이전의 연산기반과는 달리 새로운 AI 방식이 인간 두뇌와 같은 인공 신경망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하고 훈련시켜 인간과 같은 역량을 가질 수 있게 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ACG2016 회계 데이터애널리틱스 Accounting Data Analytics
이 과목을 통해서 기업의 회계정보와 공시정보의 텍스트 분석을 하여 재무, 투자, 영업활동을 이해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이 Micro Degree의 최종 목표인 회계 데이터를 이용한 프로그래밍에 꼭 필요한 것이며, 이 과목을 통해서 프로그래밍을 위한 데이터에 대한 이해와 지식 습득이 가능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격적으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래밍에 대해 배우기 전에 먼저 이수 되어야 할 과목이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조광희 회계학과 교수 재무회계
  • 회계원리
정 욱 경영학과 교수 운영관리
  • 비즈니스 데이터 애널리스틱스 개론
김경재 경영정보학과 교수 기계학습
  • 데이터애널리틱스
남기환 경영정보학과 조교수 기계학습
  • 딥러닝응용
유현수 회계학과 겸임교수 회계데이타애널리틱스
  • 회계데이터애널리틱스

진출분야

  • 어카운팅 데이터 사이언스의 지식과 경험을 갖춘 인재는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 공인회계사, 세무사, 경영 컨설팅 업계, 금융계(은행, 카드사, 보험사, 핀테크 기업 등), 빅데이터 및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스타트업, 광고 에이전시, 민간 산업계(제조, 물류, 서비스, 유통, 통신 등), 공공기관 및 비영리 기관 등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전자물리바이오

책임교수 한마디

생명과학과 물리학 연구는 서로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발전해 왔습니다. 현미경의 발명은 세포의 구조 관찰을 가능하게 했고, 입자가속기는 DNA와 단백질의 구조를 밝히는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했습니다. 최근, 위의 두 학문분야 연구자들은 서로 협업하여 제4의 물질로 불리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데 성공하였고 암치료 정복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자물리바이오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통하여 학문을 넘나드는 통합 사고력을 높이고, 특히 생명과학과 물리학이 융합된 분야에 진출하려는 학생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교육과정 개요

생명과학 또는 물리학 관련 전공을 이수중인 학생이 각각 전자물리영역과 세포생물학 영역을 교차 이수함으로써 두 학문이 융합된 전자물리바이오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융합과목은 세포생물학 및 실험, 생물물리, 전자기학개론, 파동공학 등 4과목을 필수과목으로 한다. 필수 수강 이외에 최신생명과학 동향 및 세미나 등을 통하여 학계와 산업체의 전문가로부터 관련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권장한다.

교육목표

  • 물리학과 생명과학 전공 학생들이 상호 교차 전공과목을 이수하여 물리전자바이오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전문 지식 함양: 세포의 성장과 사멸 등 생명체의 기본 작용원리를 학습하고 물리학 장비의 작동원리 및 세포와의 상호작용을 이해함
  • 전자물리바이오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이수하고 물리바이오 융복합 분야에 진출: 바이오메디컬 분야 대학원(의생명공학, 바이오전자물리 전공 등) 진학 또는 산업체(바이오전자 장비제조, 세포 및 조직 분석 업체 등)에 진출

교과목 소개

BIO2011 세포학 및 실험 Cell Biology and Lab
세포는 박테리아부터 인간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명체의 구성단위이다. 따라서 생명활동을 조절하는 기작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핵심이다. 본 강좌에서는 세포의 분자 구성과 이들의 작용,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에 대한 구조 및 기능 차이, 세포막의 구조와 기능, 세포신호전달, 세포 분열 등 세포생물학의 핵심 주제를 고찰한다. 플라즈마와 양성자빔을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유전자 발현 변화를 분석한다. 실험에서는 암세포 등의 세포배양 및 성장 분석, 핵산의 분리 및 증폭, 세포사멸 분석 등 강의에서 다룬 주제와 관련된 기초실험을 실시한다.
BIO4032 생물물리학 Biophysics
생물물리학은 생명체와 그를 구성하는 세포 내 구성요소에 대한 물리학적 화학적 원리에 대한 이해를 구하는 학문이다. DNA와 RNA를 포함하는 핵산과 단백질 등의 생물고분자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학습하며, 이들 생체분자들의 구조적 특성이 어떻게 생물학적 기능과 연계되어지고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학습한다. 전자기파를 포함하는 다양한 물리화학적 요인이 이들 생물학적 분자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하고, 또한 현대 생명과학에서 활용되어지는 생물물리학적 기법의 기본 원리에 대해 소개한다.
PSS2005 전자기학개론 Introduction Electromagnetism
본 강좌는 일반물리학과 일반생물학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전기와 자기현상에 대한 기초과정을 다룬다. 전기에서 전기장, 전위, 물질 속에서 전기장 및 전기 현상, 정자기학의 법칙, 전자기 유도 현상, 맥스웰 방정식, 전자기파의 발생 및 물질 속에서의 전자기파의 전파의 기본개념을 다룬다. 전자기파를 발생하는 의료장비의 작동원리를 학습한다.
PHY4036 파동광학 Wave Optics
본 강의는 전자기학을 기반으로 빛의 본질, 전자기파, 파동의 원리, 빛의 전파, 기하광학으로 구성된 파동과 광학에 관련된 물리학을 학습한다. 생명체에 적용되는 파동의 종류와 이들의 장단점을 학습한다. 전자기파를 암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세포사멸 현상을 파동의 작용원리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김선정 생명과학과 교수 분자세포생물학
  • 세포생물학 및 실험
성정석 생명과학과 교수 분자면역학
  • 생물물리학
양우철 물리반도체과학부 교수 물리학
  • 전자기학개론
정권범 물리반도체과학부 교수 응집물질물리학
  • 파동광학

진출분야

  • 연구직: 국내 및 해외 대학원에 진학하여 보다 깊이 있는 학문을 접하고 연구함으로써 국・ 공립기초과학 연구소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플라즈마 산업기술원, 생명공학연구원 등) 및 국내외 대학 교수로의 진출이 가능하다.
  • 산업체: 병원, 제약회사, 생명과학 관련 회사, 농식품 회사, 화장품회사, 벤처회사 등의 연구원 또는 행정직으로 진출할 수 있다.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지능형통신

책임교수 한마디

심화되는 글로벌 기술경쟁 속에서 미래 네트워크 주도권을 선점하고 코로나19 이후 가속화되는 비대면, 디지털화에 대응하고 미래 신성장 사업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4차 산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차세대 정보통신 기술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ICT 융합 전문 인력이 필요합니다. 지능형 통신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은 통신과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하여 원하는 모든 곳에서 사람과 사물 구별 없이 통신할 수 있는 미래 초현실 시대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교육과정 개요

최근 산업계 전반에 걸쳐 4차 산업혁명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으며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정보통신 기술은 다양한 타 산업과 융합하여 활용 범위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계의 융합 기조에 따라 여러 가지 기술을 다양하게 응용한 융복합 학문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능형 통신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인 초연결 초지능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써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핵심 교육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지능형 통신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은 인공지능과 통신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과 사회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정보통신 및 인공지능을 위한 기초수학을 배우고, 파이썬 프로그래밍 및 인공지능 기초 개념에 대해서 배운 뒤, 통신의 기본 개념과 인공지능 기술 및 응용에 대해서 공부한다. 또한 4차 산업혁명과 최신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공부함으로써, 정보 기술의 발전 방향을 이해하고 ICT 융합 전문 인력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한다.

교육목표

지능형 통신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은 수학, 소프트웨어 등 기초적인 내용부터 인공지능, 통신 기술과 함께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등 최신 기술을 두루 포함하고 있으므로 미래 신산업의 핵심 기술을 습득하고 급변하는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사회 수요에 부합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ICT 융합 전문 인력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교과목 소개

INC2025 정보통신수학 및 실습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athematics and Practice
본 과목은 정보통신 공학과 관련된 기본적인 공학수학을 다루며, IoT,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수학적 기초를 확립하기 위해 다항식 함수, 삼각함수, 복소수 등을 다룬다. 지능형통신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에서는 본 과목을 통해 통신 기술을 이해하기 위한 수학이론과 인공지능을 위한 기초수학을 배운다. 또한 본 과목에서는 파이썬을 이용하여 수학이론을 코딩해보고 그 결과를 그림으로 관찰함으로써 수학적인 지식이 깊지 않은 학생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EGC4040 인공지능프로그래밍 기초와 실습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ming Basics and Practice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프로그래밍 능력과 AI 이해/활용 능력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Python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한 능력을 학습하고 AI의 기초 개념과 활용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능형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에서는 본 과목을 통해 파이썬 프로그래밍과 인공지능 관련 툴들을 배우며 프로그래밍 실력을 향상시키고 인공지능의 기본 개념에 대해서 학습한다.
INC4110 통신이론 Communication Theory
통신은 정보를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보내는 방법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광범위한 분야이다. 본 강좌에서는 전화, 라디오, 텔레비전, 무선랜, 이동통신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다룬다. 지능형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에서는 본 과목을 통해 통신의 기본 개념과 무선랜, 이동통신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들에 대해 언급함으로써 통신 기술이 실생활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이해하도록 한다.
CSE4036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컴퓨터가 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공지능의 기본적인 개념 및 기법을 소개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 분야와 응용 분야에 대해 강의한다. 지식의 표현 및 추론, 탐색에 의한 문제 해결 방법 등을 공부하고, 전문가 시스템, 확률적 추론, 기계 학습, 신경망, 자연언어처리 등 인공지능 분야의 여러 가지 기초 이론과 연구 등을 소개한다. 지능형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에서는 본 과목을 통해 인공지능의 이론과 응용에 대해서 더 심층적으로 공부한다.
EGC4034 4차 산업혁명과 5G 무선통신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5G Wireless Communication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해 이해하고 해당 산업혁명의 인프라가 될 5G 무선통신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산업혁명과 무선통신의 역사에 대해 배우고, 4G LTE 기술과 5G NR 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무선통신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이해한다. 지능형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에서는 본 과목을 통해 인공지능 및 통신 기술들이 4차 산업학명 및 최신 통신 시스템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공부하고 향후 지능형 통신 기술이 어떻게 발전해나갈지 예측할 수 있는 통찰력을 키운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이기송 정보통신공학과 부교수 ICT융합
  • 정보통신 수학 및 실습
손윤식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조교수 프로그래밍언어
  • 인공지능프로그래밍 기초와실습
임민중 정보통신공학과 교수 통신
  • 통신이론
김준태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교수 인공지능
  • 인공지능
황승훈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무선 및 이동통신
  • 4차 산업혁명과 5G 무선통신

진출분야

최근 산업계 전반에 4차 산업혁명이 화두로 떠올랐으며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인 초연결 초지능은 제조업, 건설업, 금융업, 유통업, 농축산업, 의료산업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와 융합이 되어 활용 범위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지능형 통신은 초연결 초지능 시대를 열기 위한 기반 기술 중 하나이므로 다양한 산업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 개발자: 정보통신 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대기업, 중소벤처기업, 연구기관
  • 기획자: 인공지능 및 정보통신 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대기업, 중소벤처기업, 연구기관
  • 연구원: 인공지능 및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는 연구기관, 대기업
  • 창업: 4차 산업혁명 분야 및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는 분야의 벤처 창업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IoT기술

책임교수 한마디

IoT 기술 마이크로디그리는 지식재산기반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수요지향형 모듈 교육과정입니다. 인공지능, 제어, 초연결의 측면에서 IoT 기술들을 다루고 있으며 관련 기술을 학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지식재산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IoT 기술 활용능력까지 배움의 역량을 발전시키고자 합니다. 또한 스스로 생각하고 발전할 수 있는 IoT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IoT 공모전, 경진대회 등의 비교과 프로그램들도 준비하고 있으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교육과정 개요

IoT기술은 최근 인공지능과 5세대 이동통신 등과 융합하여 사물지능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IoT 기술 마이크로디그리는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창의혁신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학생-산업계 수요기반 모듈형 교과과정과 문제해결형 IoT-지식재산 융합 교과과정을 바탕으로 교과과정이 구성되어 있다.

교육목표

IoT 기술 마이크로디그리는 IoT 기술 분야의 창의 혁신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에게 모듈형 IoT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과 산업체의 수요기반 교육을 제공하며 IoT-지식재산 융합 교과과정을 통해 창의적인 문제해결형 인재양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운영한다.

교과목 소개

INC2033 어드벤처디자인 Adventure Design
본 과목은 공학 설계문제를 정의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및 이를 구현하는 과정을 통해 공학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교육한다. 또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해 아두이노를 이용한 회로 설계 및 소프트웨어 코딩교육을 진행한다.
EGC7026 기술창조와 특허 Teaching Invention and Patent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과학기술과 지식재산에 관한 내용에 학부생이 이해하기 쉽도록 기초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사례와 특강을 통하여 이해를 높이도록 한다.
INC2035 멘토프로그램(지식재산을 통한 사물인터넷 기술의 이해) Mentor Program(IoT and Intellectual Property)
지식재산에 대한 기초지식을 이해하기 쉬운 수준에서 다루며, 기술트렌드에 부합하는 사물인터넷 기술과 지식재산이 어떻게 결합되는 지 사례를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INC4108 산학융합종합설계 (지식경영 프로젝트) Industry-Education Convergence Comprehensive Design(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Project)
IoT 분야에서 창출된 기술적인 지식재산권 거래, 라이선스, 수익화에 대해 다룬다.
INC4113 지능형 IoT 플랫폼 및 특허분석 A2IoT platform and patent
A2IoT의 개념, 등장배경, 표준화 응용분야 요소기술 플랫폼 등에 대한 기초지식을 쌓고 A2IoT 관련 특허를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INC4114 지능형 IoT 시스템 설계 및 지식재산권 A2IoT System design with intellectual property
오픈소스 디바이스 소프트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 등을 활용한 IoT 시스템 설계 방법을 배우고 팀프로젝트를 통해 통합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지식 재산권 관련 기본 지식을 교육하고 팀프로젝트를 하는 동안 IoT 관련 기술적 특허 이슈를 도출한다.
주니어세미나 (IoT 소프트웨어와 라이센스) Junior Seminar (Software and License)
IoT 소프트웨어 기술의 가치와 보호 방법, 보호되는 기술들에 대해 학습하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수익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김은정 정보통신공학과 외래강사 정보통신
  • 어드벤처디자인
김효성 정보통신공학과 겸임교수 특허
  • 기술창조와 특허
최병석 정보통신공학과 교수 컴퓨터네트워크
  • 지능형 IoT 플랫폼 및 특허분석
  • 지능형 IoT 시스템 설계 및 지식재산권
김웅섭 정보통신공학과 부교수 소프트웨어
방영석 정보통신공학과 겸임교수 특허
  • 멘토프로그램 (지식재산을 통한 사물인터넷 기술의 이해)

진출분야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은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기술 분야로 다양한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크고, 향후 5년간 평균 3배 정도의 시장 성장률이 예상되는 분야이다.
글로벌 ‘자율사물’ 시장은 2017년 기준 2,895억 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이후 연평균 16.7% 성장률을 보이며, 2022년에는 약 6,274억 달러 규모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자율사물’ 시장은 2017년 기준 6조 3,735억 원 규모로 추정되며, 이후 연평균 17.7% 성장률을 보이며, 2022년에는 약 15조 317억 원 규모까지 2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진출할 수 있는 분야는 다음과 같다.

  • 기업체 : 자율주행로봇, 무인자동차, 드론 등의 차세대 핵심 산업인 자율사물분야, 컴퓨터비젼, 딥러닝 등의 인공지능 시스템 분야, 가전산업과 관련된 전자, 통신 관련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지능형제어시스템, 사물통신 등의 산업체, 교육/해양/국방사회안전/의료복지/제조 분야 등의 자율사물 활용 산업체
  • 연구소 또는 학계 : 자율사물지능, 인공지능, 통신, 네트워크 관련 분야의 국가 및 민간 연구소, 정부 및 공공기관 또는 학계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공학

책임교수 한마디

디지털 바이오 헬스케어 공학 마이크로디그리는 포스트 팬데믹 시대를 맞이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원격 의료 및 디지털 치료제 개발의 수요에 발맞춰 이에 대응하는 바이오 융복합 창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입니다. 현대의 의료 체계는 생명과학, 생명공학, 의학 등 바이오 분야에 초점이 맞춰져 있던 기존의 의료 접근법을 벗어나 점차 개인별 맞춤 비대면 진료 및 치료 방법이 요구되면서 소프트웨어, 전자공학 등 다양한 공학적 개념들이 함께 적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바이오 헬스케어 공학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통하여 미래의 원격 혁신 의료 및 헬스케어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다각도로 접근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더 나아가 동국대학교 인재들이 사회 진출 후 디지털 바이오 헬스케어 공학을 활용한 다양한 분야에서 선구자적 인재로 도약할 수 있도록 그 능력을 함양시키고 양성하고자 합니다.

교육과정 개요

디지털 바이오 헬스케어 공학 분야의 주요 흐름인 원격 의료와 디지털 치료제 개발을 통한 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 및 진단을 구현하고자 함. 이를 위하여 생체분자생물학, 면역공학 및 실험 등의 바이오 분야와 바이오메디컬 센서공학, 바이오메디컬 반도체 공학 및 실험, 불교 융합 의공학 설계 및 제조실습 등의 의공학 분야의 융합 전공 교과 운영을 통하여 순수 바이오 관련 기초 교과 및 의공학 기초 기술을 가르치고 이를 응용한 원격 이료 및 디지털 치료제 관련 사업에 필요한 다양한 전공 관련 교과를 운영하고자 함.

교육목표

  • 디지털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 선도를 위한 바이오 융복합 기술기반 혁신 인재 양성
    - 원격 의료 및 디지털 치료제 산업분야 관련 전문 인력 양성
    - 순수 바이오 분야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전자 공학 등 다양한 공학적 명제에 대한 이해도를 가진 전문 인력 양성
  • 창의적 사고방식으로 디지털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미래형 고급 혁진 인재 양성
  • 자신의 능력을 끊임없이 계발하여 잠재된 자신의 재능을 펼칠 수 있는 전문형 실무 인재 양성
  • 맡은 바 임무에 강한 책임감과 주인의식으로 최선을 다하고 타인과 공유와 협력으로 집단 지성을 이루어 다양한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해 나가는 프로패셔널한 인재 양성

교과목 소개

BME2034 바이오메디컬 센서 공학 Biomedical sensor engineering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공학의 한 부분인 원격 의료, 정밀 의료 및 진단, 모니터링 등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에 대하여 학습한다. 센서를 구동할 수 있는 물리, 화학적 원리에 대하여 학습하고, 정밀, 예방, 예측, 개인맞춤형 의료에 활용될 수 있는 센서에 대하여 예측해본다.
BME4049 생체분자생물학 Biomolecular Biology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공학의 바이오분야에 해당하는 과목으로써 생명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기능적 이해를 위한 세포생물학적,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수준을 습득함으로서 의생명공학에 필요한 기초적인 능력을 함양하는 교과과정이다.
BME4050 면역공학 및 실험 Immunological Biotechnology & Experiments
개인맞춤형 정밀의료시대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본 지식인 인체의 면역학적 기본 원리를 수학하는 과목으로써 인체내 면역체계의 구성요소들과 이들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다양한 면역학적, 생리학적 기전을 이해하고 실험적 기법을 습득함으로써 면역학을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바이오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교과과정이다.
BME4062 바이오메디컬 반도체 공학 및 실험 Biomedical semiconductor engineering and experiments
반도체는 다양한 전자소자를 구성하는 물질이자 소자로서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공학의 의공학 분야에서 다양한 계측, 제어 등에 반드시 필요하다. 게다가 디지털을 기반으로 하는 의생명공학 관련 하드웨어 기기를 이해하고 응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알아야하는 학문 분야임. 때문에 반도체와 관련 기본 원리 및 소자의 동작 등에 대하여 배우고 분석하여 바이오 메디컬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BME2036 불교 융합 의공학 설계 및 실습 Biomedical engineering design and manufacturing on the basis of Buddhism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공학의 핵심인 의공학 기기 개발의 바탕이 되는 디지털 설계 방법 및 다양한 제조 공정에 대하여 학습한다. 나아가 의공학 기기 개발에 필요한 디지털 설계 및 제조 공정의 실습을 응용하여 불교 문화재를 디지털 설계 및 제작해보는 실습을 진행한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김진식 의생명공학과 조교수 전자공학
  • 바이오메디컬 센서공학
  • 바이오메디컬 반도체 공학 및 실험
양승훈 의생명공학과 조교수 면역생화학
  • 생체 분자 생물학
  • 면역공학 및 실험
방석영 의생명공학과 조교수 기계공학
  • 불교 융합 의공학 설계 및 제조 실습

진출분야

  • 디지털 바이오 헬스케어 기반 정착을 위한 국가기반 또는 정부출연연구소
  • 디지털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을 주도하는 각종 대기업
  • 원격의료 및 디지털 치료제를 적용하고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한 환자 맞춤형 진료를 추구하는 대형 병원 및 병원 부설 연구소
  • 바이오 및 의공학 학문을 활용하여 디지털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의 학문적 증진을 추구하는 대학 및 기업 부설 연구소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

인공지능철학

책임교수 한마디

‘인공지능(AI) 철학’ Micro Degree는 지능, 윤리, 마음(의식), 인식론, 자유의지에 대한 지식과 이해에 관한 인공지능과 그 의미 탐구에 관심이 있는 인문, 자연, 사회, 공학, 예체능 계열의 학생들이 5개 과목을 이수하고 Micro Degree를 취득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과정입니다. AI는 다른 과학보다 철학과 더 긴밀한 과학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AI는 행동, 의식, 인식론, 심지어 자유의지와도 많은 개념을 공유하기 때문입니다. AI의 철학은 기술 철학의 분야로서 특히 인공지능 기술은 인공 동물이나 인공 사람[트랜스 휴먼 또는 포스트 휴먼], 또는 인공 생물, 인공 생명 등의 생성과 관련이 있으므로 철학자들에게도 상당한 관심거리입니다. ‘인공지능(AI) 철학’ Micro Degree는 AI의 철학을 다루면서도 AI의 관점에서 철학과 AI에 공통되는 몇 가지 개념을 분석하고, AI의 실무자에게 그들이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에 대한 조언을 포함합니다. AI와 철학의 관계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이수하기를 기대합니다.

교육과정 개요

인공지능(AI) 철학 Micro Degree는 철학과 교과과정 내에서 설치한 학위 과정이다. 개설된 다섯 과목은 모두 AI 철학의 주요 질문, 즉 기계가 지능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가? 사람이 생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인간의 지능과 기계의 지능은 같은 것인가? 인간의 뇌는 본질적으로 컴퓨터인가? 기계가 인간과 같은 의미로 마음, 정신 상태, 의식을 가질 수 있는가? 상황이 어떤지 느낄 수 있는가? 등에 해답을 시도하고, 또한 AI의 개념을 분석하고 때로는 어떤 개념이 일관성이 있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에 대해 논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인공지능(AI) 철학 Micro Degree는 AI의 관점, 즉 철학적 이론이 인간 수준의 인공 시스템을 배제하지 않고 신념을 갖고 추론하고 계획하는 시스템 설계의 기반을 제공할 때에만 AI에 유용하다는 관점에 기반하여 설계되었으나 부분적으로 이를 뒤집고, AI 연구자, 인지과학자 및 철학 연구자의 다양한 관심을 학습할 수 있게 디자인하였다.

교육목표

인공지능(AI) 철학 Micro Degree는 인공지능의 철학적 이론과 과학적 현실 가능성에 대한 이론과 실제, 그리고 문제점까지, 1970년대 이후 대부분의 AI 연구가 특정 문제에 AI 이론과 기술을 적용하는 데 있는 실정은 물론이고, 인간 수준의 AI가 추구되는 때 AI와 관련이 있는 철학적 질문들을 두루 탐구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한다.
AI 철학 Micro Degree는 ‘인공지능 연구에 왜 철학인가?’를 중심으로 AI를 기반으로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GNR 혁명시대에 새롭게 전환(turn)되는 철학의 유행, 즉 실재론 철학, 메디올로지, 마음의 철학 등을 또한 학습한다. 그리고 인공지능 개발과 직접 관련이 있는 인지과학과 최근의 몸(체화) 인지과학을 이해하고, 이들 과학에서 말하는 발제(enaction), 창발론(emergent) 등을 동양철학(특히 불교)의 의식 기원론과 결합하여 이해함으로써 새로운 사회 수요에 부합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I 철학 Micro Degree의 5개 과목을 통해 AI와 철학이 공유하는 행동, 목표, 지식, 믿음, 의식 등과 같은 많은 개념에 관해 아티팩트를 디자인하는 디자이너 입장의 AI와 좀 더 추상적인 관점을 취하는 철학 사이의 관계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인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교과목 소개

PHI2051 인공지능 시대의 과학, 철학, 종교 Science, Philosophy, and Religion inthe Age of AI
이 강좌는 현재 AI의 개발과 미래 AI 시스템에 의해서 나오는 철학적 문제를 다룰 것이다. 이 강좌는 세 개의 주제로 구분이 된다. (1) AI와 관련된 과학 (2) AI에서의 철학적 문제 (3) AI에 의해서 발생하는 종교적 문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물을 것이다: 어떤 철학적 물음이 AI의 성공 또는 실패로 인해서 발생하고 답변될 수 있을까? 그리고 AI는 종교를 이해할 수 있을까?
PHI4081 철학과 기술 Philosophy and Technologies – from past to emerging technologies
이 강좌는 이미 생겨난 기술에서부터 이머징 테크놀로지까지 기술에 의해서 생겨나는 철학적 문제에 대해 탐구한다. 우리는 우선 과거부터 최첨단에 이르는 각종 기술을 이해할 것이고 나아가 그러한 기술에 관련된 주제를 다루고 있는 전통적인 철학 문헌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철학적 논의가 어떻게 우리가 기술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지 그리고 기술이 우리의 철학적 선입견에 어떻게 도전하는지에 대해서 고려할 것이다. 이 강좌를 통해 학생들은 새롭게 등장하는 기술이 일으키는 다양한 철학적 문제에 대해서 알게 될 것이고 기존의 철학적 이론과 개념을 새로운 주제와 문제에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해 배우게 될 것이다.
PHI4085 불교우주론과AI의철학 Buddhism cosmology and Philosophy of AI
이 강좌에서 말하는 ‘인공지능(AI)’은 환경을 인식하고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최대화하는 모든 시스템인 ‘지능형 에이전트’를 가리킨다. ‘인공지능의 철학’은 인공지능과 지식, 윤리, 의식, 인식론, 자유의지에 대한 지식과 이해에 대한 의미를 탐구하는 기술철학의 한 분야로서, 인공 동물이나 인공 사람(트랜스휴먼 또는 포스트휴먼)의 창조와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철학계의 상당한 관심사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크게 주목받는 철학 중 하나가 바로 불교 우주론, 즉 불교의 시간과 공간 및 인생에 관한 철학이다. 따라서 이 강좌는 ‘지능형 에이전트’ 개발 영역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불교 우주론 철학을 ‘인공지능의 철학’과 연결하여 살펴보고, 이 영역에서 불교 우주론이 어떻게 AI와 연결·결합되는지를 소개하며, ‘인문학의 비즈니스화’에 연결되는지 등을 토론한다.
PHI4075 포스트휴머니즘과 인간의 삶 Living in the Post-Human Society
이 강좌는 인간을 기존과는 다른 존재로 만드는 포스트휴먼 테크놀로지 또는 트랜스휴먼 기술과 그 사회적 영향을 철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포스트휴머니즘 사상의 논쟁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과학, 기술, 사회, 철학의 교차 지점을 사유하고, 인간중심적 휴머니즘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시대를 위한 대안적 사유와 상상력을 훈련한다.
PHI4080 인지과학의 철학 Philosophy of Cognitive Science
이 강좌는 인지과학에 대한 이해와 인지과학에서 발생하는 철학적 문제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는 인지와 뇌의 과학적인 탐구와 관련된 다양한 철학적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인지의 본성, 인지과학의 방법론 그리고 사회에서 인지과학의 역할에 대한 물음에 대해 고찰해볼 것이다.

운영 교수진

성명 소속 직위 전공분야 교과목명
김영진 철학과 조교수 서양철학
  • 인공지능시대의 과학·철학·종교
  • 인지과학의 철학
심지원 철학과 조교수 서양철학
  • 철학과 기술
  • 포스트 휴머니즘과 인간의 삶
장운혁 철학과 외래강사 서양철학
  • 철학과 기술
  • 포스트 휴머니즘과 인간의 삶
유흔우 철학과 교수 동양철학
  • 불교우주론과AI의철학
김진영 철학과 외래강사 서양철학
  • 인지과학의 철학

진출분야

  • 철학이나 인공지능 관련 대학원, 데이터·정보 관련 대학원, 과학사·과학철학·뇌과학·생명의료·인공지능의 대학원 융합과정으로 진학하여 해당 분야의 전문 연구원 등이 될 수 있다.
  • 인공지능 개발 산업체, 게임 캐릭터 개발 회사, 자율주행 개발업체, 헬스케어IT, AI-의료·바이오, 로봇산업, 스마트 디바이스 등 인공지능을 활용한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여 인공지능 관련 기획자 및 기술자가 될 수 있다.

 

  • 문의

    본관 3층 301-328호 교무팀

  • 전화

    02-2260-3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