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소식

동국대 한국불교문화포털, 순천 송광사 소장 희귀 자료 공개

등록일 2024.09.30. 작성자 최윤호 조회 368

송광사성보박물관 자료 제공, 삼성문화재단 후원

 

한국불교문화포털 홈페이지 메인

 

○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원장 정묵스님)은 전라남도 순천 송광사(주지 무자스님)가 삼성문화재단(이사장 김황식)의 후원을 받아 촬영한 조선시대 간행 목판과 중요 복장전적을 9월 30일 한국불교문화포털을 통해 공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아카이브 사업은 지난 5월에 입적하신 승보종찰 송광사 방장 남은당 현봉스님의 원력으로 시작했다. 송광사성보박물관이 ▲조선시대 목판 70종 ▲2015년에 인출된 인경본 60종 ▲중요 전적 30점을 제공했고, 삼성문화재단은 1만 7,500여 컷에 이르는 고해상도 디지털 촬영을 진행했다. 동국대 불교학술원은 삼성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해당 자료들의 서지와 해제 작업을 진행했으며, 해당 디지털 촬영 이미지들은 아카이브 서비스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 동국대 불교학술원은 2012년부터 2021년까지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으로 국내 사찰과 기관이 소장한 불교 고문헌을 조사 및 촬영하는 사업을 진행해 이를 아카이브 서비스로 제공했으며, 이번 송광사 사업을 통해 조선시대 사찰에서 간행한 불서 목판을 처음으로 아카이브에 공개할 예정이다. 특히 목판 이미지를 반전하여 제공함으로써 경전의 원문을 그대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또한, 인경한 촬영 이미지를 함께 서비스로 제공해 목판과 비교해 볼 수 있게 했다. 송광사 소장 목판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재질도 우수하여, 이번 아카이브를 통해 조선시대 사찰의 목판 인쇄술을 더욱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다.

 

○ 송광사 목판은 주로 16세기에서 17세기에 판각된 불서로 70종 3,900여 판이 현전한다. 내용별로 ▲보조국사 지눌(1158~1210)의 저술 ▲간화선 관련 선(禪) 전적 ▲강원 이력과목과 한자학습 등 승려 교육 전적 ▲정토·관음·지장 신앙서 및 불교의례서 ▲부휴 선수(1543~1615)를 비롯한 부휴계 적전(嫡傳)의 시문집 등이 있으며, 이는 조선 후기 불서 간행의 특징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이 중 1529년에 제작된 『인천안목』을 포함해, 6종 2,491판은 2016년 보물로 지정됐다.

 

○ 송광사 중요 전적 30점은 대각국사 의천(1055~1101)이 주도한 고려 교장(敎藏)* 전래본 5점을 비롯한 복장전적들로, 이들 대부분은 보물로 지정됐다. 특히 조선 전기 간경도감에서 중수(重修)한 고려 교장본과 전라도 광주목에서 고려 교장을 새로 판각한 조조본(雕造本) 등이 주목된다. 이러한 자료는 국내외 유일본 및 희귀판본으로, 서지학적 가치는 물론 동아시아 고승들의 문헌과 사상을 연구할 수 있는 불교학 자료로써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고려 교장(敎藏):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이 경‧율‧론 한역대장경에 대한 동아시아 학승들의 주석서와 찬술서를 집대성하여 간행한 전적을 총칭

 

○ 송광사는 16세기 말 정유재란, 1842년 대화재, 1950년대 전후 여순 항쟁과 한국전쟁으로 여러 차례 전소되었으나, 조선시대 전래 불서와 목판 대부분 온전히 남아 있다. 이번 송광사 기록유산 아카이브 공개를 통해 고려 재조대장경, 고려 교장, 조선 전기 간경도감 중수본 및 조조본, 조선 후기 사찰 목판 등 한국불교 출판 인쇄 문화의 전통을 면밀히 살필 수 있다.

 

○ 이번 사업을 후원한 삼성문화재단은 우리 문화와 예술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불교 문화유산 보존 사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해왔다. 1996년에는 해인사 고려대장경연구소 및 삼성전자와 함께 합천 해인사에 소장된 팔만대장경의 전산화 작업을 진행하여, 한문 원문을 모두 담은 CD-ROM을 제작했다. 이를 통해 누구나 방대한 세계기록문화유산에 쉽게 접근해 연구할 수 있게 되었으며, 팔만대장경의 총 글자 수가 약 5,280만 자에 이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1999년 말, 고려대장경연구소는 인터넷에서 팔만대장경 원문을 열람할 수 있는 사이트를 개설했고, 2012년부터는 동국대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에서도 이 자료에 대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동국대 불교학술원은 이번에 공개하는 송광사 자료를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https://kabc.dongguk.edu) 뿐만 아니라, 한국불교문화포털(https://buddhaland.dongguk.edu)의 '한국사찰 기록유산 컬렉션' 코너를 통해서도 대중에게 소개할 예정이다.

 

 

동국대학교 챗봇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