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소식

우리대학의 다양한 교내대회를 알아보자

등록일 2019.03.13. 조회 5520

학교의 모든 것이 새롭게 시작하는 3월, 개강을 맞이하는 우리대학에도 봄의 설렘이 가득합니다. 아직 겨울이 물러나지 않았는지 종종 쌀쌀한 바람이 불어오지만, 햇살 따듯한 자리에서 피어날 준비를 하는 새싹처럼 교정은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신입생들로 활기 가득합니다.

우리대학은 이런 신입생들이 마음껏 꿈꾸고 도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학생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입학처의 다양한 신입생 지원 프로그램과 예비대학, 교수학습개발센터의 다양한 교수법 및 학습지원, 다르마칼리지의 교양교육 프로그램 등 그 분야와 종류도 굉장히 다양한데요.

이번 기사에서는 이런 신입생·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교내대회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Do Dream 학습동아리] - 매 학기 진행
Do Dream 학습동아리는 동일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공동의 학습 목표를 가진 팀을 구성하여 자율적으로 함께 공부하는 학습 프로그램입니다. 매 학기 초 학생들로부터 신청을 받아 한 학기동안 주당 2시간 이상, 8주간 협동학습을 진행하면 학습동아리 지원금(30만원/팀)을 지급하고, 우수동아리를 선정하여 시상하고 있습니다.

Do Dream 학습동아리 활동은 기존의 조별학습이 가지고 있는 여러 문제점을 개선하고, 학생과 학생 사이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한편, 함께 공부하고, 함께 이야기하며 진행하는 협동학습을 통해 능동적 태도를 함양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키며 학습의 만족도 역시 상승시키는 프로그램으로 호평받고 있습니다.

같은 교과목을 수강하는 4명~6명의 학생이 모여 신청서를 내고, 매주 학습활동을 진행하여 보고서 제출만으로 지원금까지 받을 수 있는 Do Dream 학습동아리, 이번 기회에 참여해보면 어떨까요?

[동국튜터링] - 매 학기 진행
동국튜터링은 튜터(tutor, 가르치는 사람)와 튜티(tutee, 배우는 사람)로 구성되어 자율적인 협동학습을 하는 활동의 일환으로, 담당교수의 추천을 받은 우수한 학생(튜터)이 해당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튜티)의 학습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해당 교과목을 A학점 이상으로 이수한 학생이 담당교수님과의 상의를 통해 추천받고(혹은, 직전학기 평점 평균 3.7 이상으로 강좌 담당교수의 추천), 교수학습개발센터 튜터링 신청을 통해 선발되어 해당 강의를 듣는 학생들에게 기초학습부터 심화과정까지 학생의 입장에서 다양한 학습지원을 진행하는데요.

Do Dream 학습동아리와 마찬가지로 한 학기에 8주 이상, 주당 2시간 활동을 진행하면 학습지원금을 지급하며, 매 학기 우수 튜터를 선정하여 시상하고 있습니다.

지난 학기, 우수한 학점으로 강의를 수료하였다면, 이번에는 그 강의를 듣는 후배 수강생들과 소통하며 능동적 태도와 자신감을 함양하고, 학습능력을 발전시켜 보면 어떨까요?

[북삼매 독서PT대회] - 5월 진행
우리는 흔히 책을 집중해서 읽는 사람에게 ‘독서삼매경에 빠졌다’라는 말을 하는데요, 여기서 ‘三昧(삼매)’는 산스크리트어 Samadhi에서 유래한 말로 마음을 한 곳에 집중하는 불교수행법으로, 동국대학교 북삼매(Book三昧)는 Book(책)과 三昧(삼매)를 조합한 조어로, '동국인, 독서삼매경에 빠지다'라는 의미하며, 중앙도서관의 '동국인 책읽기' 캠페인을 상징하는 용어입니다.

북삼매 독서PT대회는 세계명작세미나 고전100서(https://dharma.dongguk.edu/?page_id=18335) 또는 자유도서로 ‘북리뷰 및 PT스토리보드 심사’를 통해 본선에 진출할 10팀을 선발하고, 팀별 프레젠테이션 발표를 통해 우수팀을 시상하는 동국대학교만의 독서대회입니다.

총 6팀(대상 1팀, 최우수상 2팀, 우수상 4팀. 총 상금 290만원)을 시상하며, 명작세미나 강의 수강과 함께 진행할 수 있는 대회인 만큼, 한번 편한 마음으로 참여해보는 게 어떨까요?

[북삼매 북리뷰 공모전] 우리대학은 자유, 관용, 창의 등 지성인으로서의 자질을 갖추기 위한 특색있는 공통교양과정을 운영하며 통합적 인재육성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2014년 교양교육 시스템을 전면 개편하며 전담 학부대학인 다르마칼리지를 개설하고, 학생들이 인문, 사회, 자연, 기술 등 모든 분야에 공통되는 지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양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특히 21세기 인류 문화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학문과 예술 분야 고전 학습을 비중 있게 진행하며, 대표적 프로그램으로 ‘세계명작세미나’수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북리뷰 공모전은 바로 이런 세계명작세미나 수업과 연계하여 세계명작세미나 고전 100서를 읽고 3장 이내의 북리뷰를 최대 3개까지 접수하여 우수한 리뷰를 시상하는 대회인데요, 5개 세미나(지혜와 자비 명작 세미나, 존재와 역사 명작 세미나, 경제와 사회 명작 세미나 자연과 기술 명작 세미나, 문화와 예술 명작 세미나)중 전체 대상 1명, 부분별 최우수상 1명, 우수상 2명씩 총 16명의 학생들에게 300만 원 규모의 시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수업을 들으며 읽어야 하는 책을 읽고 리뷰를 쓰면 상까지 주는 중앙도서관 북삼매 북리뷰 공모전, 이번 학기 세미나를 듣는다면, 꼭 도전해보시기를 바랍니다.

[다르마칼리지 에세이 경진대회] 앞서 언급한 세계명작세미나 수업은 다르마칼리지에서 진행하고 있는데요, 5대 세미나 수업에서 학생들이 수행하는 세미나의 최종결과물은 5페이지 내외의 자신의 생각을 담은 ‘에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에세이 경진대회는 이런 명작세미나의 결과물인 ‘에세이’를 통해 참여할 수 있는 대회인데요, 각 명작세미나 수업별로 교수님이 우수한 학생 1명을 추천하고, 추천받은 글을 심사하여 우수한 학생을 시상하는 대회입니다.

이처럼 우리대학만의 특성인 세계명작세미나와 연계한 여러 대회, 수업도 듣고, 열심히 적은 글을 통해 우수한 학점도 받고, 대회에 참여해 수상도 할 수 있으면 금상첨화 아닐까요?

[EAS영어발표 경진대회] - 4월
EAS 영어발표(Presentation) 경진대회는 EAS(English for Academic Success)1 과정 수강생의 영어 커뮤니케이션, 발표 등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열리는 대회로, 2014년부터 5년째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난 학기(2018-2)와 이번 학기(2019-1)에 EAS1강좌를 수강한 학생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데요, 팀별로 특정 주제에 대해 팔표자료를 작성하고, EAS수강레벨(A, B, C)별로 팀(2~4인)을 구성하여 참여할 수 있습니다.

EAS수업을 들으며 제대로 영어실력을 향상시키고, 실천적 의사소통역량을 기르고 싶다면, 외국어로 진행하는 프레젠테이션 대회에 참여해 상금과 총장 명의 상장을 노려보세요!

[프로그래밍 경진대회] - 5월
소프트웨어, 이제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요청입니다!

우리대학 학생이라면 공통교양 과목으로 ‘소프트웨어와 미래사회’, ‘컴퓨팅사고’과목을 수강해야 하는데요, 프로그래밍 경진대회는 프로그래밍에 관심있는 재학생이 각 그룹(컴퓨터공학 전공, 공학 전공, SW연계전공, 비전공 학부재학생)별로 자신의 실력을 확인할 수 있는 대회입니다.

별도의 자격요건 역시 참여할 수 있는 이 대회는 C, C++, C#, JAVA, Phython 등 다양한 언어와 다양한 개발도구를 사용하여 참여할 수 있는데요, 지원에 별다른 자격요건이 없고, 수상인원이 많은 만큼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실력을 뽐내보는 건 어떨까요?

[강의계획서 우수사례 공모전] - 5월
체계적인 강의계획서는 수업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하는 안내서 역할을 수행하여 학생들의 선택권을 보장함과 동시에 수업의 질을 높여주는 도구입니다. ‘강의계획서 우수사례’공모전은 강의를 우수하게 설계하고 있는 교수님을 발굴하고, 사례를 공유하여 이런 우수사례를 확산시킬 뿐 아니라, 강의계획서 작성의 중요성에 대한 교수, 학생의 인식을 변화시켜 대학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추천하는 강의계획서와 추천하는 이유를 적은 1,500자 내외의 에세이 작성을 통해 응모할 수 있는 강의계획서 우수사례 공모전. 자신이 수강한 과목 중 추천할 만한 강의계획서, 추천할 만한 수업이 있다면 적극 참여해보는 게 어떨까요?

 

웹진기자 신승제 (법학과 17)

동국대학교 챗봇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