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연구

동국대 이진우 연구팀, 2022년 Nanoscale Horizons 최우수 논문 선정

등록일 2023.09.06. 조회 1234

 

이진우 연구팀 업적

(왼쪽부터) 동국대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 이진우 교수,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박사과정 정영주, 현대자동차 전자소자연구팀 김병욱,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동국대학교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 이진우 교수와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가 주저자로 참여하여 출판한 논문이 국제학술지 Nanoscale Horizons 편집위원회가 선정한 2022년 최우수 논문으로 결정됐다. (논문명: Biomimetic reconstruction of butterfly wing scale nanostructures for radiative cooling and structural coloration)



Nanoscale Horizons (IF: 9.7)는 나노공학 분야 국제학술지로 2022년 총 140편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이진우 교수가 출판한 논문이 이 중에서 가장 뛰어난 업적을 인정받아 2022년 최우수 논문으로 선정됐다. 특히, 이번 연구는 동국대학교, 서울대학교, 카이스트, 일본 동경대, 현대자동차 그룹 등이 참여해 대규모 국제 공동 연구의 의미를 더했다.

 

연구진은 열대지방의 나비종인 Archaeoprepona demophon이 날개 비늘의 나노 구조로 인해서 날개의 온도를 낮추며 색상 구현을 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러한 나비의 날개 비늘 구조를 분석해 나노 구조를 재현/개선함으로서 복사 냉각 기술을 개발했다. 복사 냉각이란 주입되는 복사 에너지보다 외부로 방사 시키는 복사 에너지가 많아 그 차이로 인해 열이 빠져나가 냉각을 하는 친환경 소재 기술이다. 따라서 전기나 에어컨의 냉매를 사용하지 않으며 연구진은 복사냉각을 사용하여 최대 8.45도 까지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복사 냉각 기능 뿐만 아니라 나비 날개의 나노 구조를 모사하여 표준 컬러 프로파일 (sRGB)의 91.8%의 다양한 색상을 구현했다.

 

이진우 교수는 “출판사에서 최우수 논문으로 선정되는 것은 굉장히 이례적인 일이며 대단한 영광”이라며 “앞으로 더욱 더 활발한 연구 활동을 통해서 탄소 중립 기술 발전에 이바지할 계획”이라며 각오를 밝혔다.

 

한편, 이번 수상은 <Nanoscale Horizons 2022 Outstanding Paper Award> 특별 사설 (DOI: 10.1039/D3NH90014B (Editorial) Nanoscale Horiz., 2023, 8, 560-567)로 Nanoscale Horizons에 23년 5월 온라인 게재됐다.

 

동국대학교 챗봇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