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2011학년도 약학대학 정원배정 신청서를 제출
'2009 대한민국 발명특허대전'에서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상을 수상
Hindustan University(인도)와 교환학생 파견에 관한 교류 협정을 체결
한국표준협회 주관 '2009년 국가 품질 경영대상' 교육부문 대통령 표창을 수상
혜화문 에스컬레이터 설치 공사 완공
University of Botswana(아프리카)와 교환학생 파견에 관한 교류 협정을 체결
일산의생명과학캠퍼스 착공식을 거행
본관3층 리모델링으로 student zone 조성 공사를 완공
중앙도서관 1개층 증축공사를 완공
Mahidol University(태국)와 교환학생 파견에 관한 교류 협정을 체결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제36대 이사장에 정련스님이 취임
교육과학기술부 주관 '해외우수연구기관 유치사업'에 선정 (40억원/ 6년)
중소기업청 주관 '신기술 창업집적지역 지원사업'에 선정 (20억원/ 2년)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산학협력중심대학'으로 선정 (179억원 지원)
교육과학기술부 '입학사정관 선도대학' 선정
University of Clarion, Thiel College(미국), College of Zhuhai University(중국)와 교환학생 파견에 관한 교류 협정을 체결
교육과학기술부 대학교육역량 강화사업에 선정 (13.03억원/1년)
Anna University(인도), National Taiwan normal University(대만)와 교환학생 파견에 관한 교류 협정을 체결
팔정도 조성공사를 완공
중소기업청 창업보육센터 신규건립지원사업에 선정
(중소기업청 30억원,경기도 6억원,고양시 15억원 등 총 51억원 지원)
California State University, San Bernardino, UC San Diego(미국)와 교환학생 파견에 관한 교류 협정을 체결
동국아트컴퍼니 학교기업 지원사업에 선정
산학협력관 및 기숙사 건립 기공식을 개최
의학전문대학원과 특수대학원인 법무대학원, 산업경영대학원을 개원
· 서울캠퍼스 입학정원을 조정 (철학,윤리,문화학부60→54, 수학과40→36, 물리학과35→30, 사회언론정보학부85→80, 경찰행정학과60→70, 바이오학부89→100, IT학부 275→290, 전기공학과75→64,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55→50)
· 서울캠퍼스 학제를 개편 (명칭변경 : 생명과학대학 → 바이오시스템대학, 기계공학과 →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
University of Philippines, University of Asia and The Pacific(필리핀)와 교환학생 파견에 관한 교류 협정을 체결
University of Dalat(베트남), ComparativeStudyofReligions(FVG) (벨기에), Shukutoku University, Musashino University(일본), Tatung University(대만)와 교환학생 파견에 관한 교류 협정을 체결
2008
Hokuriku University(일본), Ritsumeikan University (Ritsumeikan Asia Pacific University 포함) 와 교환학생 파견에 관한 교류협정을 체결
University of Babes-Bolyai (루마니아)와 교환학생 파견에 관한 교류협정을 체결
· 일반대학원 경제학과를 경제금융학과로, 전자상거래학과를 정보경영학과로 명칭 변경
· 경주캠퍼스 불교문화대학원 다도·사찰음식학과 다도·사찰음식전공을 신설
· 경주캠퍼스 사회과대학원 경영학과 세무관리전공을 회계학전공으로 명칭변경하고 법학과를 폐지
· 경주캠퍼스 입학정원을 145명 감축 (인문학부210→175, 외국어문학부150→145, 바이오학부71→85, 나노소재화학과35→30, 정보통계학과35→30, 안전환경시스템공학과70→35, 정보통신공학부80→60, 컴퓨터멀티미디어학부110→100, 에너지·환경시스템학부0→80, 정치행정학부110→90, 경상학부325→280, 호텔관관경영학부180→130, 자유전공학부60→39, 한의예과80→72, 간호학과50→70)
· 경주캠퍼스 학제를 개편 (나노소재화학과를 나노생명과학부에서 이공계열로 이동, 나노생명과학부를 바이오학부로 명칭변경하여 의생명학전공을 신설, 정보통신공학과를 이공계열에서 정보통신공학부로 모집단위 신설, 신환경에너지공학전공을 과학기술대학 이공계열 안전환경에너지시스템공학부에서 에너지·환경대학으로 신설하여 에너지·환경시스템학부 에너지변환전공, 신·재생에너지전공, 에너지·환경으로 재편)
· 경주캠퍼스 대학 및 학과(전공)명칭을 변경(법정·복지대학→사회대학, 철학전공→철학·논술전공, 나노생명과학부→바이오학부, 나노소재화학전공→나노소재화학과, 안전환경에너지시스템공학부→안전환경시스템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정보통신공학부, 국제관계학전공→정치외교학전공, 경제학전공→경제금융학전공, 전자상거래학전공→정보경영학전공)
· 경주캠퍼스 야간강좌를 폐지(경영학전공(야), 호텔관광경영학부(야))
· 서울캠퍼스 입학정원을 110명 감축 (불교학부80→75, 영어영문학부90→86, 철학전공30→23, 윤리문화학전공30→22, 독어문화학전공30→15, 물리학과40→35, 북한학전공40→20, 국제통상학전공80→70, 사회학전공40→35, 식물생명공학전공30→22, 환경생태공학전공30→22, 식품산업시스템전공30→26, 식품공학전공60→54, 의생명공학전공15 신설, 정보통신공학전공95→90, 전기공학과85→75, 기계공학과60→55)
· 서울캠퍼스 학제를 개편 (철학, 윤리문화학, 독어독문학과를 철학·윤리·문화학부로 통합, 이과대학 생명과학과를 공과대학 바이오학부 소속 전공으로 이동, 사회과학부를 정치행정학부, 경제통상학부, 사회·언론정보학부로 재편, 사회과학대학 광고홍보학과를 영상미디어대학으로 편제 이동, 경영대학 경영학부 국제통상학전공을 사회과학대학 경제통상학부 소속 전공으로 이동, 생명과학대학을 바이오학부와 식품과학부로 재편하고 바이오학부 의생명공학전공을 신설, 공과대학과 정보산업대학을 공과대학으로 통합하고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정보통신공학전공을 IT학부로 재편, 영상미디어학부를 영상미디어대학으로 신설)
· 서울캠퍼스 대학 및 학과(전공)명칭을 변경 (생명자원과학대학→생명과학대학, 영어영문학전공→영어문학전공, 독어독문학과→독어문화학전공, 산림자원학과→환경생태공학전공, 식품자원경제학과→식품산업시스템전공, 생명·화학공학과→화공생물공학과)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미국), Hogeschool Zeeland (네덜란드), 하얼빈 공과대(심천캠퍼스) (중국)와 교환학생 파견에 관한 교류협정을 체결
사무조직을 개편 (서울캠퍼스 : 사업개발팀→사업개발실, 기금조성팀→대외협력실, 입학처에 입학기획팀 신설, 글로벌기획팀과 국제교류팀을 국제교류팀으로 통합, 국제화추진단 산하에 외국인서비스센터 신설, 국제화추진단 산하의 외국어교육센터를 교양교육원 산하로 이동, 경주캠퍼스 : 전략기획본부에 경영관리팀 신설, 총괄지원팀을 총괄지원팀과 시설관리팀으로 분리)
2007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미국)와 복수학위 협정을 포함한 교환학생 파견에 관한 교류협정을 체결
30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인가신청서를 제출
Illinois State University(미국),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노르웨이), Indian Institute of India-Mumbai(인도), 북경대(중국)와 교환학생 파견에 관한 교류협정을 체결
· University of London (SOAS, Goldsmith College)(영국), Bath Spa University of College(영국), Technical University of Ostrava(체코), Oxford Center for Buddhist Studies, Oxford University(영국)와 교환학생 파견에 관한 교류협정을 체결
· 체코 상공회의소와 산학협력 협정을 체결하다.
동대신문사, 교육방송국, 출판부를 통합하여 동국미디어센터 (대학미디어팀, 출판사업팀)를 신설
University of Kansas(미국)와 교환학생 파견에 관한 교류협정을 체결
건학 101주년 기념행사를 거행
불교TV(주)와 교류협력사업 협정을 체결
· 경영부총장제도 신설 및 본부제, 팀제 도입 등 직제를 개편하고 교책연구기관을 신설
· 건학100주년기념사업회, 캠퍼스마스터플랜건설본부를 폐지
대학 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108프로젝트' 선포식을 거행
경영전문대학원을 개원하다.
사립학교법령 및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정관개정에 따라 대학평의원회를 구성
2006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이사회에서 제16대 총장으로 오영교 前 행정자치부 장관을 선출 (임기 : 2007.3.1~2011.2.28)
구조개혁선도대학 지원사업에 선정 (88억/3년)
(주)임젠과 줄기세포은행 설립을 위한 MOU를 체결
동국백년타임캡슐 봉안식을 거행 (2106년 5월8일 개봉예정)
경영전문대학원 설립인가 허가
수도권 대학특성화 지원사업에 선정 (25.6억/1년)
'경북 해양 신소재개발 역량강화 및 심층수 신산업 발굴사업'으로도 지역혁신특성화사업(RIS)에 선정 (43억2천만원/3년)
혜화문 주변 '걷고싶은 거리'를 준공
'지식기반사회와 불교생태학'을 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
건학 100주년 기념식, 동국백년개막식 개최
동국백년전을 5월 31일까지 개최
DMZ(비무장지대) 생태·평화국제학술대회를 개최
미당 서정주 시인의 미리쓴 동국백주년 기념축시를 공개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제35대 이사장에 영배스님이 취임
시화전 <百年의 만남>展을 개최 (건학 100주년 기념사업본부)
'동국의 건학정신과 불교교육의 근대화'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
(동국대학교 100주년 기념사업회와 불교문화연구원)
서울대학교와 학술교류협정을 체결 (학생교류 및 상호 학점인정, 교직원 상호교류, 공동연구 및 학술회의 공동 개최, 학술 자료, 출판물 및 정보의 상호 교환, 시설물의 상호 이용, 국제협력사업 공동 수행 등)
100주년 기념법회를 묘향산 보현사에서 남북합동으로 봉행
김일성종합대학과 학술교류의향서를 교환
·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입학정원을 40명 감축하고, 박사과정 입학정원을 40명 증원
· 일반대학원 석사 및 박사과정 사회복지학과와 광고홍보학과를 신설
· 경주캠퍼스 불교문화대학원 입학정원을 10명 증원하고, 인간학과를 장례문화학과와 불교상담학과로 개편 신설
· 경주캠퍼스 사회과학대학원 입학정원을 10명 감축
· 경주캠퍼스 단과대학 명칭변경 및 신설 (자연과학대학, 공학대학→과학기술대학, 법정대학→법정·복지대학, 상경대학, 관광대학→경영·관광대학, 사범교육대학<신설>, 자유전공학부<신설>)
· 경주캠퍼스 모집단위를 변경 (인문과학대학 유아교육과→사범교육대학 유아교육과, 인문과학대학 사회복지학부<사회복지학, 재활복지학>→법정·복지대학 사회복지학과, 자연과학대학 수학교육과, 가정교육과→사범교육대학 수학교육과, 가정교육과, 생명나노정보학부 정보통계학과→정보통계학과)
· 경주캠퍼스 학과(전공) 명칭을 변경 (미술학부(6개전공)→미술학과, 생명나노정보학부→나노생명과학부, 나노생명소재학전공→나노소재화학전공, 안전공학과→안전환경시스템공학과)
· 경주캠퍼스 정원을 감축 : 70명 (사회체육학과10, 법학과10, 사회복지학과30, 경제학전공10, 전자상거래학전공10)
· 경주캠퍼스 정원을 증원 : 70명 (자유전공학부 70)
· 서울캠퍼스 학부 입학정원을 65명 감축 (사회과학대학 경제학90→85, 국제학 35→폐지, 경영대학 회계학120→110, 정보산업대학 정보통신공학과100→95, 산업시스템공학과90→80)
· 서울캠퍼스 모집단위를 변경 (경영대학 경영학부 광고홍보학전공50→사회과학대학 광고홍보학과50) 서울캠퍼스 학과(전공) 명칭을 변경하다. (생물학과30→생명과학과30, 토목환경공학과60→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60)
· 서울캠퍼스 모집단위내 전공을 통합 (경영정보학부 정보관리학전공40과 e-비지니스전공40→경영학부 경영정보학전공80, 산업시스템공학부90 산업공학전공과 정보시스템전공→산업시스템공학과80]
· 금산중학교를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금산중학교로 교명 변경
· 금산고등학교를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금산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홍제중학교를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홍제중학교로 교명 변경
2005
하나로동국대한의원 개원
· 일반대학원 학위과정별, 계열별 입학정원을 학위과정별 입학정원으로 통합
· 전통사찰선식연구소를 신설
· 창업지원단을 창업보육센터로 명칭을 변경
국립극장과 협약을 체결
경기디지털아트하이브종합지원센터, (주)싸이더스와 산·학·관 협약을 체결
서울강남한방병원 일산불교병원으로 이전
법인 수익사업체 일산사업소 사업개시
4개 정부지원사업에 선정
1. 교육인적자원부 '2005년도 대학특성화사업' “영상문화콘텐츠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 혁신사업” : 20억7천/1년, “통합인문학 기반의 차세대 문화인재 양성사업” : 18억/4년
2. 산업자원부 '2005년도 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 “RFID(전자태그) 기반의 상품 라이프사이클 물류정보 통합관리 솔루션 개발” : 79억원/3년
3. 과학기술부 '2005년도 신규 우수연구센터' -기초의과학연구센터(MRC) “심혈관계질환 천연물 개발연구센터” : 61억원/9년
4. 보건복지부 '2005년도 한방바이오퓨전연구지원사업' : 22억 4천만원
일산 동국대병원+한방병원 진료개시식 개최
· 건학 99주년 기념행사를 거행
· 서울특별시 중구청과 협약을 체결
명성여자중학교를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중 학교로 교명 변경
대학발전교육개혁중앙위원회, 영상·정보통신분야특성화추진위원회, 교양교육연구위원회를 폐지
· 대학원 석사과정 인문사회계열 입학정원을 20명 감축하고, 박사과정 인문사회계열 입학정원을 20명 증원
· 석사과정 공학계열 입학정원을 20명 감축하고, 박사과정 공학계열 입학정원을 20명 증원
· 대학원 임학과를 산림자원학과로 명칭을 변경
· 영상정보통신대학원을 영상대학원으로 명칭을 변경
· 영상대학원에 문화콘텐츠학과를 신설하고, 네트워크관리학과를 폐지
· 영화영상제작학과를 영화영상학과로 명칭을 변경
· 불교대학원에 문화재콘텐츠학과를 신설하고, 불교사학과를 폐지
· 언론정보대학원 입학정원을 감원 (75→60)
· 산업대학원 입학정원을 감원 (87→57)
· 국제정보대학원 입학정원을 감원 (65→60)
· 경주캠퍼스 모집단위를 신설 (사회복지학부 사회복지학전공, 재활복지학전공)
· 경주캠퍼스 모집단위 명칭을 변경 [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생명과학전공,화학전공, 생명공학전공, 정보통계학전공)를 생명나노정보학부(생명과학전공,나노생명소재학전공, 생명공학전공, 정보통계학전공)]
· 경주캠퍼스 모집단위를 분리 [컴퓨터정보통신학부 (컴퓨터학전공, 정보통신공학전공, 멀티미디어공학전공), 안전공학과를 컴퓨터멀티미디어학부(컴퓨터학전공, 멀티미디어공학전공), · 공학계열(정보통신공학과, 안전공학과)]
· 경주캠퍼스 전자상거래학전공(야)을 전자상거래학전공(주간)으로 전환
· 경주캠퍼스 모집정원을 조정, 정원감축 : 100명 [국악과(-10), 생명나노정보학부(-20), 컴퓨터멀티미디어학부(-20),안전공학과(-10), 상경대학(야) 전자상거래학 (-40)] 정원증원 : 100명 [인문학부(+10), 사회복지학부(+30), 법정대학 (+10), 상경대학 전자상거래학(+30), 관광대학(야) (+20)]
· 서울캠퍼스 야간모집단위를 주간모집단위로 전환 [영어통·번역전공(야)40, 경제학전공(야)40, 회계학전공(야)30, 세무회계학전공(야)30, 정보통신공학과(야)40 주간전환]
· 서울캠퍼스 모집단위를 변경 (생명자원과학부 150→식물생명공학과 30, 산림자원학과 30, 식품자원경제학과 30, 식품공학과 60) 서울캠퍼스 전공(학과) 명칭을 변경하다. (광고학전공 50→광고홍보학전공 50, 식물자원학전공 30→식물생명공학과 30)
· 서울캠퍼스 모집단위내 전공을 통합 [경영학부(회계학60, 세무회계학60)→경영학부(회계학120)]
· 서울캠퍼스 모집단위 내 전공정원을 감원 [경영학부425(120)→405(100), (국제통상학(야) 50→40, 경영학(야) 70→60)]
· 서울캠퍼스 모집단위 정원을 감원 (전기공학과 95→85, 정보통신공학과 110→100)
· 서울캠퍼스 모집단위 정원을 증원 (법학과 120→130, 경찰행정학과 50→60, 미술학부 50→60, 문예창작학과 20→30)
구 중앙도서관을 리모델링한 만해관을 준공
· 직제를 일부 개편하고 부속교육기관(교양교육원, 국제교육원)을 신설
· 서울·경주캠퍼스에 부속기관 교수학습개발센터를 신설
· 서울캠퍼스에 부설연구기관 기능성콜로이드소재센터를 신설
· 언어연구교육원, 가상대학, 교육기획단, 불교병원개원추진단을 폐지
서울 중구청과 충무아트홀 체육시설 운영 협약을 체결
2004
대학교육협의회 시행 학문분야평가 현지방분평가 획득
(생물학, 신문방송학, 기계공학분야)
· 공학교육연구위원회를 폐지하고 공학교육연구센터를 신설
· 공연산업연구소를 폐지
에코포럼을 창립
학교법인 동국학원을 학교법인 동국대학교로 법인 명칭 변경
· 산업기술환경대학원을 산업대학원으로 명칭을 변경
· 불교대학원 장례문화학과내에 호스피스 전공을 신설
서울캠퍼스와 경주캠퍼스에 산학협력단을 신설
농협중앙회와 산학협력협정을 체결
·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공학계열 입학정원을 25명(166→141) 감축하고, 박사과정 인문사회계열 15명(92→107명), 예체능계열 5명(13→18명), 의학계열 5명(45→50명)을 증원
· 경주캠퍼스 특수대학원인 사회과학대학원에 사회체육학과를 신설하고 입학정원을 10명(85→75) 감축
· 경주캠퍼스 특수대학원인 불교문화대학원 장례문화학과를 인간학과로 명칭변경하고 입학정원을 10명(30→40) 증원
· 모집단위 분리를 시행 (인문학부120, 어문학부190(40)→국어국문학과30, 독어독문학과30, 일어일문학과30, 사학과30, 철학과30, 윤리문화학과30, 중어중문학과40, 영어영문학부 영어영문학전공50, 영어영문학부 영어통·번역전공(40), 자연과학부230→수학과40, 물리학과40, 화학과40, 통계학과40, 반도체과학과40, 생물학과30, 공과대학Ⅰ420→전자공학과105, 전기공학과95, 토목환경공학과60, 생명·화학공학과70, 기계공학과60, 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230(40)→컴퓨터·멀티미디어공학부120, 정보통신공학과110(40) )
· 모집단위 통합을 시행 (공과대학Ⅰ 건축공학전공30과 공과대학Ⅱ 건축학전공30→건축공학부60)
· 모집단위 내 세부전공 명칭을 변경 (생명자원과학부 생명자원산업유통학전공→식품자원경제학전공)
농협중앙회와 산학협력 기본협정을 체결
경주캠퍼스에 교통안전연구소를 신설
2003
건학 100주년 D -1000 일 기념행사를 개최
(“일류동국도약 기원의 밤 - 건학 100주년 100만등 달기”)
· 서울캠퍼스 디지털미디어기술연구소를 신설
· 경주캠퍼스 생명과학기술연구소를 신설
· 일반대학원 박사과정에 유아교육학과, 수학교육학과, 관광호텔경영학과, 조경학과를 신설
· 석사과정에 유아교육학과, 수학교육학과, 생명공학과를 신설하며, 박사과정과 석사과정에 농업경제학과와 산업공학과를 식품자원경제학과, 산업시스템공학과로 각각 명칭 변경
· 특수대학원인 경영대학원 호텔관광경영학과에 이벤트경영전공을 신설
· 특수대학원인 문화예술대학원에 예술치료학과를 신설하고, 예술치료학과에 미술치료전공을 신설
· 특수대학원인 국제정보대학원에 IT-Business학과를 신설
· 경주캠퍼스에 공학대학을 신설
· 모집단위의 분리를 시행 [공과대학(450)→공과대학Ⅰ(420)과 공과대학Ⅱ(30)]
· 모집단위의 통합을 시행 (국어국문학부+역사철학부→인문학부)
· 모집단위의 명칭변경을 시행 (문과대학→어문학부, 법정학부→정치행정학부)
· 모집단위내 세부전공명칭 및 기준인원을 조정 (불교아동학과 20→30, 인문과학대학420→인문학부200, 외국어문학부150 및 사회복지학과60, 사회체육학과 50→60, 자연과학대학560(40)→· 자연과학대학290과 공학대학270(40), 경상학부390(100)→380(90)
2002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신관 준공
'불교문화사상사교육연구단' BK21 사업 중간평가에서 인문분야 2위로 평가
동국대학교 의대·한의대부속 불교병원 준공
· 일반대학원 박사과정에 전자계산학과, 안전공학과를 신설하고, 박사과정 응용생물학과를 생물학과로 명칭 변경
· 전문대학원인 영 상정보통신대학원에 입학정원 15명의 박사과정을 신설하고 영화영상제작학과, 멀티미디어학과, 네트워크관리학과를 구성학과로 유지
·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에 간호학과를 신설하고, 석사과정 응용생물학과를 생물학과로 명칭 변경
· 특수대학원인 산업기술환경대학원의 입학정원을 15명 감축하고(입학정원 87명) 문화예술대학원의 입학정원을 30명 증원 (입학정원 130명)
· 특수대학원인 국제정보대학원에 영어통·번역학과를 신설하고 입학정원을 20명 증원 (입학정원 65명)
· 경주캠퍼스 특수대학원인 사회과학대학원의 지역정책학과를 폐지하고 국제관계학과 및 법학과를 신설하고 입학정원을 20명 증원 (입학정원 85명)
· 경주캠퍼스 특수대학원인 불교문화대학원에 장례문화학과를 신설하고 입학정원을 10명 증원 (입학정원 30명)
· 학과간 협동과정인 멀티미디어협동과정의 입학정원 10명을 감축하여 경주캠퍼스에 입학정원 10명의 전자상거래협동과정을 신설
· 불교대학의 입학정원을 1명 감원(교육부 BK21 관련 제도개혁사항 이행)
· 사회과학부 경제학전공(야) 10명 감원(50→40)하여 연극영상학부 연극전공 10명 증원 (35→45)
· 불교아동학과가 30명 감원(50→20)하고, 유아교육과 30명 신설
· 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에 멀티미디어공학전공 신설
· 모집단위 분리를 시행(문과대학→문과대학과 인문학부, 경영대학→경영대학과 경영정보학부, 정보산업대학→정보산업대학과 산업시스템공학부)
· 모집단위내 세부전공명칭 및 기준인원을 조정 (독일학과→인문학부(독일학), 영어영문학과→영어영문학부(영어영문학), 영어영문학과(야) 50→영어영문학부(영어·통번역(야) 40), 경영학부(정보관리학)→경영정보학부(정보관리학), 경영학부(정보관리학(야))→경영정보학부(e-비지니스), 화학공학전공→생명·화학공학전공, 멀티미디어공학전공 40→50, 자연과학대학 생물학전공→생명과학전공, 생화학전공→생명공학전공, 컴퓨터정보통신학부 정보통계학전공→자연과학부 정보통계학전공, 인문과학대학 440→420, 자연과학대학 450(40)→480(40), 상경대학 400(100)→390(100))
2년 연속(2001-2002) 정보통신부 IT학과 장비 지원 사업(대학원) 선정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획득
2001
중국 영파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중국 연변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4년 연속(98-2001) 정보통신부 정보통신우수시범학교로 선정
노르웨이 오슬로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중국 천진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개교 95주년 기념 보현보살 코끼리상 제막
·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입학정원 20명을 감축(자연과학계열 10명, 공학계열 10명 감축)
· 영상제작학과, 멀티미디어공학과, 네트워크관리학과를 폐지하여 입학정원 50명의 3개 학과로 구성된(영상제작학과, 멀티미디어공학과, 네트워크관리학과) 영상정보통신대학원(전문대학원)을 신설
· 일반대학원 박사과정에 정보관리학과, 중어중문학과를 신설하고, 독일학과를 독어독문학과로 토목공학과를 토목환경공학과로 명칭 변경
·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에 중어중문학과를 신설하고 토목공학과를 토목환경공학과로 명칭 변경
· 불교대학의 입학정원을 1명 감원 (교육부 BK21 관련 제도개혁사항 이행)
· 문과대학 국어국문학부 문예창작전공(15명)을 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로 소속 변경하고 20명 정원으로 별도 모집
· 사회과학대학 아시아지역학전공(40명)을 5명 감원하고 국제학전공(35명)으로 명칭 변경
정보통신부 IT학과 장비 지원 사업(대학원) 선정
2000
서울지방경찰청과 교류협정 체결
중국 북경 중의약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경주한방병원 경주캠퍼스내 한의학관에서 용강동으로 확장 이전(지하 2층, 지상 5층, 70병상)
본교 문과대학과 조선대학교 인문과학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에 신문방송학과, 영상제작학과, 멀티미디어공학과, 네트워크관리학과, 관광·호텔경영학과(경주)를 신설하고 석사과정 국민윤리학과를 윤리문화학과로 명칭 변경
· 일반대학원 박사과정에 독일학과, 일어일문학과, 북한학과, 반도체과학과, 기계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체육학과를 신설
· 불교대학원에 장례문화학과를 신설(30명)하고, 경주 지역개발대학원에 10명 증원
· 아시아지역 협동과정(15명)을 폐지하고 멀티미디어협동과정에 15명을 증원
· 교육대학원에 30명 증원
· 독어독문학과를 독일학과로 명칭변경하고, 중어중문학과 10명 감원
· 응용생물학전공(30명)을 생물학전공으로 명칭변경하여 자연과학부로 소속변경하고, 화학전공 10명 물리학전공 10명씩 감원하다. 법학과 20명 증원
· 북한학과를 주간으로 전환하여 사회과학부내의 전공으로 편입하고 사회과학부에 경제학전공을 추가
· 경제·통상학부내 경제학전공을 사회과학부내의 전공으로 소속변경하고 경제·통상학 부를 국제통상학부로 명칭 변경
· 경상대학을 경영대학으로 명칭 변경
· 기계·식품·화학공학부를 기계·화학공학부로 개칭하고 식품공학전공을 생명자원과학부로 소속변경
· 전자·전기공학부에서 10명 감원(전자공학 5명, 전기공학 5명)
· 정보산업대학 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내 컴퓨터멀티미디어공학전공, 정보통신공학전공을 컴퓨터공학전공, 멀티미디어공학전공, 정보통신공학전공으로 세분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역사교육과, 지리교육과 정원 각 10명씩을 줄여 체육교육과에 30명을 증원
· 연극·영상학부내 영화·TV전공을 영화·영상전공으로 명칭변경하고 연극·영상학부 20명 증원
· 경주캠퍼스 일어일문학전공 10명 감원하고 사회복지학과 10명 증원
· 불교미술전공을 불교회화전공으로 명칭변경하고, 미술학부 20명 증원하고 불교조각, 불교시각디자인전공을 신설
· 화학전공 10명 감원
· 경제학전공 10명, 국제통상학전공 15명, 경영학전공 주간 20명 야간 10명, 회계학전공 15명 감원하고 관광경영학부를 관광대학으로 분리
· 관광경영학부 60명을 증원하고 관광레저개발전공을 신설
본교 문과대학과 일본 큐슈산업대학 국제문화학부와 학술교류협정 체결
중국 상해 중의약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기획예산실
02-2260-3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