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과대학

공과대학은 전공분야의 실력 뿐 아니라 국제적 감각과 도덕성을 두루 갖춘 미래지향적 엔지니어로 키우기 위해 학교의 모든 시스템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공과대학 소개 이미지

전자전기공학부

홈페이지 바로가기

교육목표

전자전기공학에 대한 제반 이론과 응용력을 습득토록 하여 날로 발전하는 학문적 내용에 신축적으로 대응하고 다양한 사회요구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전자전기공학도의 양성을 기본 목적으로 하며, 나아가 사회에 대한 책임감 및 봉사하는 마음자세를 갖추어 인류의 문화발전은 물론 전문지식을 유익하게 활용하여 국가 발전과 사회에 공헌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여 전 세계의 전자전기 기술을 선도하는 우리나라의 위상에 걸맞은 전자전기공학 기술 인력 배양에 일익을 담당하기 위해 전자전기공학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교육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주기적으로 검토 수정하여 학부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 한다.

 

- 기초과학, 수학을 기초로 한 전공지식을 확실하게 습득하여, 자신의 직업에서 창의적 설계, 경제적 구현, 현실적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경제, 사회, 환경적 주제들에서 공학적 문제점을 인식하고 자신의 직업에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소통 능력과 팀웤, 그리고 리더십 능력을 습득하여 자신의 직업에서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21세기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에서는 학문영역들의 경계가 모호해지며 상호 밀접한 보완관계를 형성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해진 까닭에 어느 한 가지 학문만으로 독자적으로 이용되고 연구되어지기는 극히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분야의 학문을 이해하고 응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이해가 필수 불가결이다. 특히 공학 분야에서는 반도체, 컴퓨터, 정보통신, 디스플레이, 로보틱스, 영상 및 음성 분야, 에너지 관련 기술 등 다양한 전자전기공학 분야 학문과 기술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이에 기반한 연구 개발이 지금과 같은 제조 기반 산업사회의 비약적 발전을 이루는데 가장 큰 핵심적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전자전기공학은 우리의 일상생활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여러 가지 편리한 가전기기, 인력과 경비의 절감, 능률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사무 자동화 및 공장 자동화 시스템, 정보 문화생활의 총아인 컴퓨터와 정보통신 시스템 등에 관련된 기본 이론, 그 설계와 제조 및 운용기술을 연구한다. 또한 가장 편리한 에너지중의 하나인 전기에너지의 생산과 분배, 그리고 그 효율적 이용에 대하여 연구하며, 핵융합 이용에 의한 첨단기술의 개발, 초전도기술과 에너지 저장기술의 응용, 풍력에너지, 태양에너지, 연료전지 및 바이오에너지 등의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응용, 저공해 환경 설비 개발, 전기자동차, 고속전철, 자기부상 열차 등 첨단수송기기를 연구한다. 전자전기 산업은 기술 집약적 첨단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기술발전 속도가 갈수록 가속화되고 있으며 벤처 산업의 요람이 되며 21세기 정보지식산업의 핵심인 정보기술, 나노기술 등의 핵심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국내 대기업의 중요 수출항목인 반도체, PDP/LCD/AMOLED, 무선통신 단말기, 자동차, 선박 등을 생산함에 있어서도 전자전기공학은 필수적인 분야이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전기공학 분야의 기술 수준은 한 나라의 경제 수준을 결정할 수 있을 정도로 비중이 큰 산업이다. 또한 건설, 기계, 항공 산업에서 전자전기공학 분야는 급속도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미래 산업에 있어서 전자전기공학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분야이며 전자전기기기의 무선화, 고속화, 소형화, 대용량화의 추세에 맞춰 전자전기공학 분야의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있다. 새로운 전자전기 응용기술의 등장으로 단순 근로자보다는 전자전기공학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고루 갖춘 우수한 인력을 중심으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므로 학교, 연구소, 산업체, 국가기관 등에서의 그 희소가치는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졸업 후 진로

전공 학생들의 취업의 폭이 넓어 전자, 반도체, 디스플레이, 통신, 멀티미디어, 컴퓨터, 자동차 관련 제조분야, 엔지니어링 및 건설 분야, 전력 사업 분야의 기업체와 정부출연 연구소 및 정부투자 기관에 진출 할 수 있다. 새로운 아이디어로 벤처기업의 설립도 적극 권장하고 있다. 또한 자격을 획득한 졸업생은 중・고등학교 교사로 진출하기도 하는 등 전자전기공학부의 진출분야는 실로 다른 어느 분야보다도 광범위하다. 국내·외의 유명 대학원에 진학하여 더욱 깊이 있는 학문을 연구하여, 전문연구기관의 책임 연구원 또는 대학 강단에의 진출도 타 분야 보다 유리하다. 앞으로도 전자전기공학 기술의 이용은 계속 늘어날 것이며 산업과 문명의 발달에 따라 전자전기공학을 전공한 과학기술자의 역할은 더욱 커질 것이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김건욱 김건욱 공학박사 University of Florida 공간 신호처리 시스템
김민성 김민성 공학박사 포항공과대학교 (POSTECH) 제어 및 전력변환
김삼동 김삼동 공학박사 Stanford university 반도체소자 및 공정
김성준 김성준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반도체소자
김용 김용 공학박사 동국대학교 전력변환시스템,
전동력응용 및 제어
김현석 김현석 공학박사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나노 전자 공학
박강령 박강령 공학박사 연세대학교 멀티미디어 영상 신호처리
박정동 박정동 공학박사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초고주파 공학 및 아날로그/
RF 집적회로 설계
박현창 박현창 공학박사 Cornell University 초고주파 반도체소자 및 집적회로 /
안테나 및 전파응용
변상진 변상진 공학박사 KAIST 아날로그 및 
혼성신호 집적회로 설계
손인수 손인수 공학박사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통신신호처리
신재철 신재철 공학박사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반도체소자
원치선 원치선 공학박사 Massachusetts(Amherst) 디지털 영상처리
이동욱 이동욱 공학박사 Georgia Tech 디지털통신 및 신호처리
전병훈 전병훈 공학박사 Keio Univ. 전기전자재료 및
고전압방전 플라즈마
전준현 전준현 공학박사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 필터 및 파형 변환
정진우 정진우 공학박사 The Ohio State University 분산전력시스템 및
전력변환 응용
정현삼 정현삼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전력전자, 전동기제어,
계통 연계 컨버터
최한호 최한호 공학박사 KAIST 제어 및 로보틱스
한기진 한기진 공학박사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전기기기
홍유표 홍유표 공학박사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OC 설계
황승훈 황승훈 공학박사 연세대학교 무선 및 이동 통신
간바야르 간바야르 공학박사 동국대학교 영상처리
뉴엔치엔잣 판다무엔 공학박사 동국대학교 영상처리 및 인공지능
다나 다나 공학박사 Alagappa University 반도체 물리
바투라시나 간바야르 공학박사 Karnatak University Organic/Polymer Chemistry
카룹 카룹 공학박사 Anna University 전자재료
이스마일
하마드
이스마일 공학박사 Bahauddin Zakariya University 반도체물리
찬드레스워
마하타
찬드레스워 마하타 공학박사 Jadavpur University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s
  • 문의

    원흥관 4층 423호 공과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2-2260-8735

정보통신공학과

홈페이지 바로가기

교육목표

정보통신공학과는 21세기 지식 정보사회를 이끌어갈 학문과 기술의 발전, 창의적 기술개발, 그리고 정보산업사회에서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양성하며, 궁극적으로 국가의 발전과 인류의 번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식인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교육목표를 설정한다

 

- 수학과 기초과학의 지식을 습득하여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에도 정보통신 분야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는 졸업생을 배출한다.

- 정보통신공학의 모든 교과목과 융합된 설계교육을 제공하여 이론과 실습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한다.

-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각 전문 연구 분야의 일원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상호협동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초 기술을 제공한다.

- 변화하는 정보통신 분야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평생학습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초를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국내에서 광기반의 인터넷 백본망이나 무선 기반의 인터넷 접속망에 대한 인프라는 세계를 선도하는 수준이고, 유무선 통합망을 통한 광대역 유무선 멀티미디어의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보다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얻고 또 재가공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함에 따라 사물과 사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융합되고 고도화되면서 유비쿼터스라는 가히 혁명적인 빅뱅을 맞이하고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에 성취해온 정보 통신 기술의 진보가 지구촌 인류의 사회, 문화, 정치에 큰 영향을 준 것과 같이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입성은 또 다른 하나의 큰 혁신을 우리 삶에 가져다 줄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부에서는 u-IT839 전략 추진을 통하여 21세기 유비쿼터스 지식 정보화 사회의 기반을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의 기반은 융합과 유비쿼터스를 충족시키는 광대역 통합망을 중심으로 구축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이러한 광대역 통합망은 IPv6 체계를 기반으로 단계적으로 유ㆍ무선 통신망, 방송망, 인터넷 망과 최종적으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가 All-IP 망으로 통합되는 개념으로 보고 있다. 이처럼 유비쿼터스 지식 정보화 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광대역 통합망을 비롯한 RFID/USN 등의 새로운 네트워크가 구축되고 있다.

정보화 시대의 사용자는 유선 광대역 네트워크와 동일한 품질의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구하며 저속에서 고속까지, 실시간에서 비실시간까지의 여러 품질의 다양한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는데, 4세대 이동 통신은 현재 저속의 음성 및 패킷 데이터 통신 위주에서 고속 이동 중에 최대 100Mbps, 정지 및 저속 이동 중에 155Mbps~1Gbps까지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기반으로 하여 유무선 통합에 의한 진정한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토록 하는 데 있으며, 4세대 이동 통신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다양한 고품질의 유비쿼터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의 실현에 있다.

또한 인간의 삶의 질을 윤택하게 하기 위하여, 인간의 주된 활동 환경을 고품질의 유비쿼터스 서비스 제공을 통해, 지능화 및 정보화하는 연구 및 상용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서 스마트 홈, 스마트 폰, 클라우드와 같은 내용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사용자에게 맞춤형, 지능형, 대화형, 정보 통합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와 의도와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반 기술들인 자연언어처리, 데이터마이닝, 영상처리,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공학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미래의 정보 통신 기술은 지능화, 고속화, 대용량화를 방향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매우 큰 인력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이는 정보 통신 관련 전문 기술을 습득할 경우 사회에서 희소가치를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졸업 후 진로

정보 통신 분야는 그 발전 속도가 다른 분야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며 일천한 역사에도 불구하고 눈부신 성장을 이룩하고 있다. 정보화 사회에서는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망과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가 사회의 인프라이다. 통신 기술과 컴퓨터 기술의 통합 발달은 초고속 통신망과 이동 통신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통신서비스로 우리의 생활을 바꾸어 가고 있다. 정보 통신 분야는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 기술의 도입과 가공된 정보를 원거리에 전달할 수 있는 발전된 통신 기술의 결합으로 제 3의 산업 혁명에 일컬을 만큼 일대 혁신을 거듭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정보 통신 공학을 전공한 졸업생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정보 통신 공학을 전공한 학생은 공무원, 공공 기관, 연구소, 및 통신 전자 산업체 등에서 정보 통신 서비스, 정보 통신 기기, 소프트웨어, 및 정보시스템 등을 연구, 개발, 생산, 관리, 기획하는 분야에서 일하는 전문인이 될 수 있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이창환 이창환 공학박사 University of Connecticut 인공지능
김양우 김양우 공학박사 Syracuse University 컴퓨터구조
이재훈 이재훈 공학박사 한국과학기술원 네트워크
류철 류철 공학박사 Polytechnic Inst. of NYU 신호처리
임민중 임민중 공학박사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통신
임대운 임대운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통신
김웅섭 김웅섭 공학박사 Michigan State Univ. 소프트웨어공학
박은찬 박은찬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무선네트워크
이기송 이기송 공학박사 한국과학기술원 ICT융합
이유철 이유철 공학박사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지능 로보틱스
김동환 김동환 공학박사 U. of Texas at Austin 반도체설계
강준욱 강준욱 -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
  • 문의

    원흥관 4층 423호 공과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2-2260-8755

건설환경공학과

홈페이지 바로가기

교육목표

건설환경공학의 기초 및 이론지식, 공학적 사고능력을 지닌 리더 육성

건설환경공학 제 분야에 대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능력 배양

공동・협력 작업에 필요한 협동심 및 원활하고 적극적 의사소통능력 배양

정보화・국제화 사회에서 건설환경분야 전문인력이 보유하여야 할 윤리의식, 평생학습 능력 및 언어능력 배양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건설환경공학(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은 인류의 기본적 생활과 경제적, 사회적 활동을 위하여 필요한 사회기반시설들을 설계, 건설 및 유지관리하기 위한 기술분야이다. 이러한 사회기반시설은 시대에 따라 변화, 발전하여 왔으며 과학 및 문명의 발달에 따라 그 영역을 계속 넓혀가고 있다. 건설환경공학이 대상으로 하는 대표적인 영역은 다음과 같다.

 

- 교량, 터널, 도로, 철도, 공항, 항만, 운하 등의 교통 및 물류시설

- 신도시단지, 지하공간과 같은 도시공간시설

- 원자력발전소, 수화력발전소, 풍력발전소, 조력발전소, 석유비축기지 등의 에너지시설

- 댐, 상수도 등의 수자원시설

- 하수처리장, 생활 및 산업폐기물 처리시설 등의 환경 시설

- 대형구조물의 진동제어 및 모니터링시설, 방파제 등의 방재시설

 

이와 같은 사회기반시설은 공학적으로 건설환경공학 시스템이 되며 건설환경공학 프로그램에서는 이와 같은 시스템을 안전하고 경제적이며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초 및 응용기술을 배운다.

졸업 후 진로

건설환경공학과 졸업생의 진출분야는 매우 다양하며 크게 건설 및 엔지니어링 회사, 공기업,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연구소 등으로 나뉜다. 또 해당 분야 최고의 전문가를 의미하는 기술사 자격을 취득하면 설계, 감리, 자문 등의 전문 영역의 사업도 가능하다.

 

기술사

의사, 변호사와 마찬가지로 국가에서 시행하는 기술사 자격에 합격해야 한다. 기술사는 전체 15개 분야 91개 종목으로 이중 건설분야에는 구조, 시공, 지반, 수자원 등 11개의 종목, 그리고 환경분야에는 대기, 폐기물, 수질관리 등 6개 종목이 있다.

 

건설회사

대기업 또는 전문건설업체의 국내외 건설 현장의 공정관리, 현장감독 등의 실무책임자로 일하거나 본사의 공사 계획 및 입찰, 자재구매 등의 업무에 종사한다.

 

엔지니어링회사

설계와 감리를 전문으로 하는 엔지니어링회사에 취직하면 교량, 지하철, 터널, 플랜트 등의 건설환경기반시설의 공사계획, 설계, 감리 등 기술적인 업무를 맡아 일하게 된다. 최근에는 안전진단, 시설 유지 및 보수, 공사관리, 기술컨설팅 등의 새로운 전문분야에도 진출하고 있다.

 

공기업

한국도로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토지주택(LH)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환경공단 등 사회기반사업과 관련된 공기업도 졸업생의 주요 진출분야이다.

 

공무원

행정고시 기술직과 지방고시 등의 공무원 임용시험에 합격하면 국토해양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소방방재청 등 중앙부처와 서울특별시, 경기도 등 지방자치단체의 기술직 공무원으로 임용된다. 국토개발계획 입안, 공공 공사감독, 설계 심사, 시설물 관리 등의 일을 하게 된다.

 

연구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원자력안전기술원, KIST,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국립방재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환경정책평가연구소 등의 전문 연구기관 및 민간기업의 부설연구소 연구원으로 진출하여 실험, 해석, 설계규정 검토 등의 연구업무에 종사한다. 대부분 석사학위 이상을 요구하므로 대학원 진학 후에 진출하게 된다.

 

기타 변리사, 감정평가사 등의 전문직으로도 진출이 가능하며 기술사와 마찬가지로 국가공인 자격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이상일 이상일 공학박사 Stanford University 수자원환경공학
조봉연 조봉연 공학박사 일본 동경대학교 환경공학(수질)
이지호 이지호 Ph.D. U.C. Berkeley 구조해석
김상범 김상범 공학박사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건설 관리 및 경영
김범주 김범주 공학박사 Purdue University 지반해석
강주현 강주현 공학박사 University California -
Los Angeles(UCLA)
수자원환경
  • 문의

    원흥관 4층 423호 공과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2-2260-8737

화공생물공학과

홈페이지 바로가기

교육목표

동국대학교 화공생물공학과에서는 본교 및 공과대학의 교육목적을 바탕으로 하여 지혜의 체득과 자비의 정신을 고양시켜 다음 세기를 능동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미래지향적 공학 인재를 양성한다.

이를 위하여 화공생물공학 관련한 각종 산업시설을 경제적, 환경 친화적, 안전한 방법으로 설계·운용· 유지·관리하며, 화공생물공학의 기초 이론을 바탕으로 창의적 연구 및 응용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도덕적 책임의식 및 협동심을 갖춘 국제수준의 화공생물공학 전문기술인을 양성한다.

 

1. 화공생물공학 현장의 문제점을 이해·분석·해결할 수 있는 전문지식 함양
2. 산업현장 실무 및 연구개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재 양성
3. 올바른 직업윤리 및 사회적 책임감 함양
4. 팀의 다른 구성원과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협동심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
5. 국제적으로 외국 전문가와 협동할 수 있는 외국어 능력을 갖춘 공학도 양성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 동국대학교 화공생물공학과에서는 다양한 자연과학 현상들을 이해하고, 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기초학문을 학습하고, 이러한 지식들을 산업화에 응용하여 인류문명의 발전에 기여할 수 공학적 전략에 대해 배운다.
- 화공생물공학 엔지니어들은 기초학문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와 더불어, 이를 실제로 구현하여 제품을 생산해내는 모든 과정에 필요한 물질 및 에너지 변환을 위한 시스템 설계, 최적화된 화학공정의 종합적 디자인 및 구축을 위한 역할을 담당한다.

- 화공생물공학은 인류의 역사를 통하여 각종 에너지 자원을 개발하고 (석유화학, 고분자, 에너지 공정, 배터리), 생활에 필요한 재료를 얻는 방법을 찾고 (정밀화학, 재료과학, 전자정보재료, 나노과학, 신물질 공정), 질병 퇴치 및 인류의 복지에 기여하는 (생물공학, 분자생명공학, 환경기술) 등 인류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 학과의 4대 핵심 연구분야인 공정시스템, 나노정밀화학, 신소재에너지, 생물공학을 바탕으로 다음 세기를 주도해 나갈 융합시스템 학문으로 정립되어가고 있다.

졸업 후 진로

화공생물공학은 화학, 물리학, 생물학, 수학 등의 기초과학과 물질 및 에너지의 활용과 이용, 그리고 생산기술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량적 역할을 하여 왔다.
본교 화공생물공학과의 4대 핵심 연구분야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공정시스템 나노정밀화학 신소재에너지 생물공학
· 공정최적화 및 공정시물레이션
· 공정설계
· 공정개발
· 공정제어
· 가상시스템 추출,반도체 등 제반 제조공정
· 인공지능 개발
· 나노 및 콜로이드 소재
· 유기합성
· 고분자공학
· 화장품공학
· 첨단복합소재
· 생활환경소재
· 반도체 및 전자재료
· 배터리 소재
· 멤브레인/기능성 분리소재
· 태양광에너지
· 연료전지
· 수소에너지
· 디스플레이 소재
· 바이오의약
· 단백질 및 효소공학
· 진단분석/바이오센서
· 면역항암공학
· 생체재료/약물전달
· 생물공정
· 유전자공정
· 합성생물학/대사공학

이러한 다양한 학문적 특성 때문에 화공생물공학은 높은 시대적 적응력을 갖고 급변하는 기술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 등 에서 크게 기여하며 사회적 요구에도 적극 부응하고 있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이명천 이명천 화학공학박사 Purdue대학교 고분자공학
임종주 임종주 공학박사 Rice대학교 화학공학
박상권 박상권 공학박사 Auburn대학교 콜로이드 및 나노소재
한정인 한정인 공학박사 한국과학기술원 전자재료
원기훈 원기훈 공학박사 포항공과대학교 (POSTECH) 생물화학공학
홍성규 홍성규 공학박사 Kyushu(九州)대학교 전자정보 및 나노소재
강택진 강택진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화학공학-생물화학공학
박정훈 박정훈 공학박사 고려대학교 화학공학-청정에너지 공정 및
반응 분리 기술
김교범 김교범 화학공학 박사 University of Maryland 조직공학 및 생체재료
마이클존빈스 마이클존빈스 박사 University of Manchester 화학공학 - 공정설계
최민재 최민재 공학박사 한국과학기술원 (KAIST) 나노 및 반도체 소재, 광전자 소자
박진우 박진우 공학박사 연세대학교 공정시스템공학, 공정설계 및 모델링
  • 문의

    원흥관 4층 423호 공과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2-2260-8739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

홈페이지 바로가기

교육목표

기계로봇에너지공학은 에너지의 변환과 전달 및 기계의 설계와 생산에 관한 제반 이론을 연구하고 이의 실용화를 다룬다. 교육과정은 공학교육인증과정(심화과정)과 일반과정이 있다. 교육 목적은 미래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설계 및 생산 전문 인력, 로봇 분야 설계 제작 및 운용 인력, 에너지 및 환경 산업 전문가 육성이다.

본 프로그램은 강의와 실험, 실습을 통한 기본역학 원리의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설계 및 생산, 로봇, 에너지 등의 응용분야를 학습하게 하고 있다. 기초 및 응용 분야 학습을 통해서, 학생들은 체계적인 해석과 종합적인 설계 능력 및 실용적인 응용 능력을 갖추게 된다. 기계시스템이 활용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응할 수 있는 공학도를 양성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구성원의 요구가 반영된 다음과 같은 교육목표를 정립하였다.

 

- 이론에 치우친 교육보다는 실무를 겸비한 교육을 지향한다.

- 공학적 해결방안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폭넓게 이해하며, 직업적, 도덕적 책임의식을 갖는 엔지니어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을 지향한다.

- 컴퓨터를 활용하여 자료수집, 설계, 제도, 해석프로그램 작성, 보고서 작성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토록 한다.

-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상용 소프트웨어패키지를 활용하여 기계요소 및 시스템을 설계하는 능력을 배양토록 한다.

- 팀별 과제 수행으로 협동과 분담, 프레젠테이션의 경험을 쌓아 졸업 후 관련 산업분야에서 적응할 수 있는 인재의 양성을 지향한다.

- 국제화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인재의 양성을 지향한다.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선택과 집중 및 융합을 위해서 학과명이 기계로봇에너지 공학과로 바뀌었지만, 기계로봇 에너지 공학은 근본적으로 기계공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 기계공학은 에너지의 변환과 전달, 기계의 설계와 생산에 관한 제반 이론을 연구하고 이의 실용화를 다루는 학문으로 공학의 모든 분야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기계공학은 공학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기계 관련 지식을 바탕으로 인접학문 및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서 미래 산업의 방향을 제시하고 신성장 동력을 공급해 왔다. 특히 국내산업 근간을 이루어 온 자동차, 조선, 철강 산업과 현대산업의 중추를 이루어 나갈 반도체, 로봇, IT 및 NT산업, 차세대 신재생에너지 기술 모두가 기계의 설계, 제작 및 제어 기술의 기반 위에 가능한 산업들이다. 따라서 앞으로 인간의 더 나은 삶과 풍요로움은 기계공학과 기계 산업의 발전에 의해 결정될 것이며 기계공학은 더욱 번영된 미래 세계를 개척하기 위해 도전해야 할 분야이다.

기계공학의 영역은 인간 삶의 질적 변화를 도모하면서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또한 전자공학, 화학공학, 생명공학, 정보공학 등 인접 학문 분야와 융합되어 가면서 새로운 학문분야를 계속 창출해 나가고 있다. 기계공학은 현대 산업의 기반이며 미래에는 국가발전을 주도하고 혁신기술을 통해 편리하고 건강한 인간의 삶을 가능케 하는 역동적인 인간 본위의 학문이다. 기계공학은 공학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기계 관련 지식을 전수 하는 동시에 미래 산업의 방향을 제시한다.

졸업 후 진로

1996년 첫 졸업생을 배출한 이후 2014년에는 교내 취업률 1위로 현재 많은 기업체에서의 취업의뢰를 받고 있다. 또한 일부 학생들은 국내 및 국외 대학원진학을 준비하고 있으며, 학사장교 및 병역특례업체 등 다양한 진로를 설계하고 있다. 학사과정을 성공적으로 이수한 학생의 진출가능분야로는 자동차, 항공기, 중공업, 에너지(발전), 제조, 건설, 의공학, 가전분야, 전자산업 등 사회전반에 걸친 기업을 포함하며, 연구소 및 이공분야의 병역특례업체도 해당된다. 또한 자동차부품, 기계설비, 디자인 등의 수요가 있는 분야와 CAD/CAM 및 기계분야의 지식을 필요로 하는 엔지니어링 회사도 좋은 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전반적으로 기계 및 전자, 전산, 제어 등의 분야가 상호 보완적으로 맞물리게 됨에 따라 단순한 기계분야 외에 전자, 전산 등의 분야로도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21세기에는 정보화와 더불어 미래형 자동차, 환경∙신재생에너지, 생명공학, 나노기술, 메카트로닉스 및 로봇공학, 첨단 의·공학 등이 국가성장 동력의 주력분야로 떠오르면서 그 핵심에 있는 기계공학이 중요한 학문분야로 자리매김할 것이며 기계공학도는 현대산업사회의 미래를 개척하는 첨병역할을 맡게 될 것이다. 특히 학과명이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로 바뀌면서, 위에 열거한 다양한 기계 관련 산업 분야 중에서 국가의 신성장 동력 분야인 설계 및 생산, 로봇 산업, 그리고 에너지 및 환경 산업과 관련된 분야에 더 많이 진출하게 될 것이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고봉환 고봉환 공학박사 Dartmouth 제어 및 시스템
곽문규 곽문규 공학박사 Virginia Tech 진동 및 제어
김흥수 김흥수 항공공학박사 Arizona State 지능재료 및 구조
방세윤 방세윤 공학박사 Penn State 정밀가공 및 계측
송명호 송명호 공학박사 Purdue 열공학
이상용 이상용 공학박사 U.of Pittsburgh 통계열역학 및 반응공학
임중연 임중연 공학박사 California(Berkeley) 재료 및 설계
이승준 이승준 공학박사 Michigan(Ann Arbor) 나노/마이크로 역학
임수철 임수철 공학박사 KAIST 로보틱스
한민우 한민우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소프트로보틱스
이재훈 이재훈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전산역학 및 설계
이진우 이진우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열공학
조수호 조수호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진동 및 파동
  • 문의

    원흥관 4층 423호 공과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2-2260-8580

건축공학전공

홈페이지 바로가기

교육목표

건축공학전공에서는 분석적 사고와 지식체계를 배양시키는 교육체제를 지향하며, 근본 원리에 충실한 교육, 다양한 실험과 실무훈련을 통하여 국제 경쟁력이 있는 건축 엔지니어와 건설관리자를 배양한다. 또한, 건축구조, 건축시공・건설관리, 건축환경・설비 교육을 중심으로 시공 엔지니어, 건설관리자, 건설관련 연구원, 건축구조 엔지니어, 건물에너지 전문가 및 건축설비 엔지니어 등 매우 다양한 전문직종에 진출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 이를 위해 건축공학전공 교과목을 이수한 졸업생이 건설산업현장에 곧바로 투입될 준비를 갖추기 위하여 건축공학 기본소양, 전공기반, 실무에 관한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건축공학전공의 교육목표이다.

이에 따라, 건축공학 프로그램의 목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인다.

 

분석적 사고와 지식체계의 함양

건축공학분야의 분석적 사고와 지식체계의 함양을 위해 건축공학 전공기반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국제경쟁력을 갖춘 건축 엔지니어와 건설관리자의 배양

국제경쟁력을 갖춘 건축 엔지니어와 건설관리자의 배양을 위해 건축공학 엔지니어의 기본소양을 갖추도록 한다.

 

산업지향적 실무위주의 교육

산업지향적 실무위주의 교육을 위하여 건축공학 실무를 습득하도록 교육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실무내용을 교육하고 실무자를 겸임교수 및 외래 강사로 위촉하여 실질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강 및 현장방문을 정례화 한다.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건설기술의 다양화, 첨단화, 정보화, 그리고 세계화되어 가는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관리 및 시공기술의 개발과 이를 위한 고급인력의 양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건설산업의 4대 기능인 설계, 구매, 시공, 유지관리의 학문적 기초를 공고히 하고, 하드웨어(hardware) 측면의 생산기술과 소프트웨어(software) 측면의 관리기술을 교육․연구함으로써 건설산업의 선진화와 국제 경쟁력 제고에 공헌할 수 있는 고급 기술 인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세계에서 매우 높은 인구밀도를 가진 우리나라 특유의 건설환경 하에서 국내 건축은 급속히 고층화, 대형화되어 가는 추세이므로, 구조 및 시공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과 축적은 계속적으로 추진・발전되어야 한다. 아울러 21세기 건축물은 쾌적하고 안전한 공간 창출을 위하여 건축 설비 기술이 고도화・첨단화되고 있어, 종합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건축 환경요소, 시스템 요소 등을 건축물과 접목시킴으로써 쾌적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요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계획할 수 있는 창의력을 지닌 전문 엔지니어를 필요로 하고 있다.

위와 같은 상황에 비추어 볼 때, 건축분야는 그 넓이만큼 깊이도 깊은 만큼 앞으로 다양한 전문분야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끌어 주는 교수진과 이에 적극 동참하여 스스로 계발하려는 학생의 노력이 합쳐질 경우 시대가 요구하는 전문화 및 특화된 기량을 확보하여 발전적인 전문인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다.

졸업 후 진로

건축공학을 전공한 학생들은 우선 건축기사, 건설안전기사, 건축설비기사, 품질기사 등의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으며, 일정기간동안 경력을 쌓으면 관련 기술사(시공, 품질, 안전, 구조, 설비 등) 자격증을 취득하여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건설회사에 진출하여 건설현장의 다양한 관리업무(현장, 본사, 발주자), 견적업무(공사비 산출), 부동산개발업무 등을 수행할 수 있고, 설계회사에 진출하여 건설관리, 건축설비설계, 건축구조설계 등의 업무를 수행하여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정부기관, 정부투자기관, 정부재투자기관 등과 같은 정부 관련기관에서 입사하여 국가적인 건설기획, 건설정책, 건설제도, 건설감독, 건설교육과 같은 업무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스로 연구능력을 발휘할 경우,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나 건설업체에서 출연한 연구기관에서 종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과정을 이수할 경우 대학교에서 건축분야의 교육자로서 일할 수도 있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이재섭 이재섭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건축시공
최종수 최종수 공학박사 Univ. of Wisconsin-Madison 건설사업관리, 건축시공
양인호 양인호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건축환경 및 설비
박관순 박관순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구조
  • 문의

    원흥관 4층 423호 공과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2-2260-8738

건축학전공

홈페이지 바로가기

교육목표

건축교육(Architectural Education)의 기본목표는 졸업생이 건축분야의 다양한 사회적 필요조건을 이해하고 복합된 문제해결과정을 통해 사회와 개인의 건축적 요구를 물리적 환경으로 형상화하는 능력과 리더쉽을 갖추도록 지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건축전문인이 갖추어야 하는 학문적 지식과 기술적 능력은 다음과 같다.

 

설계통합(Design Integration)

상상력을 동원하여 창조적으로 사고할 수 있으며 설계 리더쉽을 발휘한다. 설계정보를 수집하고, 문제를 정의하며, 분석과 중요 판단을 통하여 건축행위를 한다. 3차원적 사고를 통하여 디자인 이슈를 끌어내며 폭넓고 깊이 있는 대안을 수립한다. 설계해결안 도출을 위한 다양한 설계요소를 절충하고 필요한 지식을 통합할 수 있다.

 

문화적 연구(Cultural Studies)

세계 건축역사와 이론을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건조(建造)환경에서 역사적 유적과 문화 보전의 이슈를 이해한다. 세계 철학과 정치를 이해하고 예술, 디자인, 음악, 문학과 기타 창의적 학문활동의 문화적 동향을 파악한다.

 

디자인 연구(Design Studies)

디자인 이론과 방법을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디자인 과정과 절차를 이해하고 형태적 질서체계와 건축이론, 그리고 건축공간의 성능기준을 이해한다.

 

환경적 연구(Environmental Studies)

자연 시스템과 건조 환경의 지식을 갖추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도시설계, 지역 및 도시계획의 지형적, 경제적, 사회적 이슈와 실무환경에 대한 영향력을 이해한다.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이슈를 이해하며, 열・조명・음향 등의 에너지사용절감과 환경충격절감을 위한 자연형 시스템을 이해한다. 자연시스템의 관리와 조경설계를 인지한다.

 

사용자 연구(User Studies)

사회, 건축주와 건물사용자에 관한 지식과 대처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프로젝트 요구사항(brief)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과 건조환경의 다양한 유형에 대한 기능적 요구 사항을 조사하여 정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기술적 연구(Technical Studies)

기술설계 과정 및 구조, 시공과 설비시스템의 기능적 일체성을 이해한다. 열쾌적, 조명, 음향 관련 설비의 이해와 수송, 통신, 유지를 인식한다. 실시 설계 시 기술도서의 역할 인지와 시공, 전산 과정을 인식한다.

 

실무연구(Implementation Studies)

건설 및 개발산업의 운영과 재정적 구조, 부동산투자, 조달방식 및 유지 보수관리 대안을 인지한다 설계사무소와 프로젝트 관리 원리를 이해하며, 건조환경개발과 설계감리 서비스 계약 및 전문적 자문행위에 활용한다. 건축사 헌장과 윤리 규약, 행위 규약을 이해하여 건축실무에 적용될 때 건축사의 등록, 실무, 계약에 관한 법적 책임에 대하여 이해한다.

 

전문 자격 기량(Professional Skills)

발표, 계산, 보고서 작성, 드로잉, 모델링과 평가 기량을 발휘하여 자신의 아이디어를 타인과 소통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설계안을 실험하고 발전시키면서 정의하고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수작업 또는 컴퓨터 작업과 모델작업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건조환경의 성능평가(열, 빛, 에너지, 구조, 조명 등)을 위하여 컴퓨터 작업을 통해 건축평가 시스템의 사용을 이해한다.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최근 건축학 교육은 글로벌 업무환경에서의 건축, 건설, 환경, 도시, 조경, 부동산개발, 디자인, IT 등의 총체적인 물리적 환경 디자이너(Environmental Designer)의 인재양성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건설시장개방에 따른 국제적 건축교육의 표준에 따라 경쟁력 있는 질적 교육을 추구하며 산・학・연・관의 공공 및 민간분야에서 졸업생들의 사회진출과 전문 활동에 필요한 산업지향적인 건축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졸업 후 진로

건축학의 실무분야는 다양한 특성이 있으며 졸업생들의 진로는 산・학・연・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산업계로는 건축계획, 건축설계, 생태환경, 도시설계, 조경설계, 부 동산개발 분야의 설계사무소, 엔지니어링업체, 컨설팅사 와 건설, 금융, 디자인 IT 관련 대기업 등이다. 연구소로는 건설기술연구원, 주택도시연구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등의 국책연구원이 있으며, 학계는 국내 대학원 진학 및 해외유학이다. 관계는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과 대한주택공사, 한국토지공사, 수자원공사 등의 공공기관으로의 취업이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조정식 조정식 공학박사 교토대학
건축설계, 건축론 
김홍일 김홍일 D.E.A. 프랑스 파리 10-낭테르대학교 건축
이명식 이명식 공학박사 동국대학교 건축설계 및 CAAD
한광야 한광야 Ph.D. Univ. of Pennsylvania 도시설계와 도시계획
백용운 백용운 건축학박사 Tokyo Univ.
건축계획, 설계
김정아 김정아 건축학박사 홍익대학교
건축계획, 실내건축
  • 문의

    원흥관 4층 423호 공과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2-2260-8738

산업시스템공학과

홈페이지 바로가기

교육목표

교육목표 총괄사항

산업시스템공학과에서는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를 리드할 윤리의식의 바탕 하에 공학적 전문지식과 정보기술의 활용능력, 의사소통과 관리능력, 자기개발 능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목표를 설정하였다.

 

1) 의사결정과 시스템 설계, 분석 및 평가를 위한 다양한 분석 기법과 정보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한다.

2) 생산, 제조, 물류, 경영, 공공정책 및 정보시스템을 포함한 특정 분야의 설계와 운용 및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공학 프로젝트를 정형화하고 해결할 수 있는 전문 지식과 종합적 설계 능력을 갖도록 한다.

3)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수행함에 있어서 효과적 의사소통과 창의적 융합 기술을 활용하여 팀원 혹은 리더로서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관리 능력을 갖도록 한다.

4) 경제사회의 리더로서 올바른 윤리의식과 조직의 현재 또는 미래의 문제를 적시에 인지하고 이에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자기 개발 능력을 갖도록 한다.

 

학습 성과

산업시스템공학과 졸업생은 졸업하는 시점에서 다음과 같은 능력을 가지도록 교육한다.

 

1) 수학, 기초과학, 공학의 지식과 정보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

2) 자료를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 및 실험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

3) 현실적 제한조건을 반영하여 시스템, 요소, 공정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4) 공학 문제들을 인식하며, 이를 공식화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

5) 공학 실무에 필요한 기술, 방법, 도구들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6) 복합 학제적 팀의 한 구성원의 역할을 해낼 수 있는 능력

7) 효과적으로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

8)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이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능력

9) 공학적 해결방안이 세계적,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상황에 끼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폭넓은 지식

10) 시사적 논점들에 대한 기본 지식

11) 직업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인식

12) 세계문화에 대한 이해와 국제적으로 협동할 수 있는 능력

 

교육내용

위 2항에서 제시한 학습 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산업시스템공학과 전공교육은 다음과 같이 크게 6개 부문으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1) 생산/물류시스템 분야

생산 (또는 제조)시스템의 공정분석과 설계를 통한 계획과 효율적 통제 및 물류 네트워크의 설계와 관리에 대한 핵심 개념들을 습득하고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응용기술을 습득한다.

디지털환경에서의 제품설계/개발, 공정계획, 생산에 수반되는 제반 과정에 대한 이해와 제품생명주기관리(PLM) 등 제품정보 패러다임에 대한 이해

- CAD, 디지털생산, 제품개발, PLM, 3D프린터, 사물인터넷 등에 관련된 기초 기술의 이해와 활용 능력

- 로지스틱스의 기본 개념과 물류네트워크의 설계, 생산물류, 공급망관리(SCM) 등에 관련된 지식과 문제 해결 능력

 

2) 최적화 및 시스템분석 분야

산업시스템의 분석과 최적 설계에 적용될 수 있는 각종 분석 도구와 최적화 방법론에 관한 이론과 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학습한다.

- 시스템의 설계와 분석 및 통합에 관련한 경제성분석 및 프로젝트관리 능력

- 시스템의 설계 및 운용에서 발생하는 의사결정문제에 대해 최적의 대안을 얻기 위한 과학적인 분석 기법과 최적화 기법의 이해와 응용 능력

 

3) 서비스사이언스 및 품질 분야

서비스와 서비스사이언스에 대한 개념 이해와 새로운 가치창출능력을 습득한다.

- 통계적 사고방식과 분석능력

- 품질경영, 6시그마, BSC, 가치경영 등과 같이 기업의 경영혁신에 관련된 최신 개념의 이해와 응용능력 배양

- 서비스생산성, 혁신을 위한 서비스사이언스에 대한 최신개념과 응용능력배양

 

4) 정보시스템 분야

정보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기술(IT)의 이해와 응용 및 최신동향을 공부한다.

- 기본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능력 및 자료 구조에 대한 이해

- Database, ERP/CRM/SCM, 통신시스템 등 기업정보시스템의 구조와 원리 및 응용능력

- 정보시스템 분석,설계,구현을 포함하는 개발 방법론의 이해 및 적용 능력

- 웹서비스, BPM, RFID 등 최신 정보기술의 경향에 대한 이해

- 데이타마이닝,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Business Intelligence의 이해

 

5) 인간공학 분야

사람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고 기계와 컴퓨터를 사람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인간-기계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시스템운영의 원리를 학습하고, 인간이 관여하는 다양한 시스템의 분석과 설계에 사용하는 각종 도구와 방법론을 학습한다.

- 인간-기계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특징

- 인간이 관여하는 시스템의 측정, 분석 및 설계 개선

- 인간-컴퓨터 인터페이스의 설계 및 운영에 관한 제반 주제

- 인간의 감성을 분석하는 방법론과 감성공학적인 제품설계

 

6) 경영공학 분야

연구개발 및 생산현장에서 출발하는 산업공학도들이 급변하는 경영/경제 환경에 적응하여 미래에 CTO/CEO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제반 경영관련 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실제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학습한다.

- 기술혁신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필요한 제반 경영이론 학습

- 금융서비스시스템의 설계 및 운용에서 발생하는 의사결정문제에 대해 최적의 대안을 얻기 위한 과학적인 분석 기법의 이해와 응용 능력

- 경영 및 경제를 이해하는 공학도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경영이론 학습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산업시스템공학은 산업혁명 이후 생산시스템의 합리적인 관리를 위해 태동된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기법 이후, 최적화이론, 시스템분석 및 설계, 프로젝트관리, 인간공학 등 과학적 시스템분석 기법과 최신 정보기술(IT)에 의한 시스템통합(SI)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종합적인 시스템공학 기술로 발전해오고 있다. 최근의 산업시스템공학은 전통적인 생산제조시스템은 물론, 물류/유통 분야, 재무/금융 분야, 통신시스템, 서비스시스템,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문제해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졸업 후 진로

산업시스템공학을 전공하면 일반 제조기업의 생산, 제조. 제품 및 공정설계 업무, 경영, 기획, 관리업무에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SI산업, 정보통신산업, 반도체산업, 컨설팅회사, e-비지니스 등 첨단산업분야에서의 활약도 두드러지고 있다.

또한 정부나 공공기관, 금융, 유통 등, 공공 및 서비스 분야의 진출도 활발하며, e-비지니스 컨설턴트, 정보기술(IT)관리자, 전자상거래기획/관리/운영자, ERP/SCM 컨설턴트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이 활발하다.

이와 같이 산업시스템공학 전공자는 공학적인 소양을 바탕으로 경영이론과 정보기술(IT)을 겸비시키는 다양한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졸업 후 창의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테크노 CEO로서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고 자신이 속한 조직에서 리더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이종태 이종태 공학박사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산업공학
박준영 박준영 공학박사 University of Michigan 산업공학(CAD/CAM)
홍성조 홍성조 공학박사 University of Tsukuba 산업공학
(최적화, 확률모형론 분야)
윤병운 윤병운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산업공학
염세경 염세경 공학박사 동국대학교 산업공학
손영두 손영두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산업공학
장준호 장준호 공학박사 Pennsylvania 주립대 산업공학
김소정 김소정 공학박사 University of Arizona 산업시스템공학
전성범 전성범 공학박사 Purdue University 산업공학
서용윤 서용윤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산업공학
백정우 백정우 산업공학박사 성균관대학교 산업공학
  • 문의

    원흥관 4층 423호 공과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2-2260-8743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홈페이지 바로가기

교육목표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는 신소재 산업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더 나아가 사회 전반에 두루 활용되고 미래 기술 산업에 기저가 된다. 아울러 학부교육에 있어서는 다양한 기초이론교육, 실험·실습으로 유능한 공학도를 배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에서는 기존의 금속/재료/세라믹/고분자재료를 바탕으로 한 미래 성장 동력 산업으로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는 분야인 “나노 소재”, “에너지 소재”, “전자/정보 소재“의 3개의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 나노소재 : 나노 소재의 결정구조, 미세조직, 상변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계적,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강의한다. 또한 다양한 용도에 적합한 특성을 가진 소재, 공정의 개발을 위한 나노 영역에서의 고유한 특성에 대한 원리와 응용에 대하여 교육한다.

- 에너지 소재 : 화석 연료의 고갈 및 지구온난화 문제 등으로 인한 대체에너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태양광, 풍력, 지열, 조력 등 많은 신재생 에너지원은 근본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나노 소재 및 전자/정보소재의 융 복합 구성으로 Fuel Cell 및 Battery소재의 이해에 대하여 교육한다.

- 전자/정보 소재 : 유기, 무기, 고분자 합성 및 다양한 가공 기술 등 핵량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반도체, 회로 소재 등의 다양한 전자제품 등의 소재에 대하여 교육한다.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은 각각의 소재에 대한 제조공정 및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공학 분야(BT, IT, NT, CT, ET, ST),에서 요구되는 소재의 개발 및 사용에 적합한 물성을 다룬다. 미래 산업사회가 요구하는 신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각 소재의 구조와 성질을 구분하는 기본 이론과 원리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기 때문에, 저학년에서는 전공 필수과목을 통하여 전공 기초지식을 확고히 다질 수 있게 하며, 고학년에서는 전자정보 소재, 첨단구조 소재, 환경/에너지 소재 및 바이오 소재 등의 전공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전공 선택 과목을 적절히 이수토록 함으로써 각 분야에 대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설정하였다.

1)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는 각 소재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기본 이론과 원리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춤으로써 실무 및 연구개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

2) 나노소재, 전자/정보,에너지소재등 각 분야에 대한 심층있는 지식과 응용을 접목할 수 있는 공학도를 양성한다.

3) 올바른 직업윤리와 사회적 책임감을 함양하여 팀의 다른 구성원과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협동심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는 눈부신 과학기술적 발전이 어느 정도 정점에 이른 현시점에서 각 분야의 융합을 통한 시너지 작용이 유일한 미래 산업과 교육을 통한 새로운 인재 창출의 돌파구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우리 사회는 공학 기술 내에서의 융합은 물론이고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미학, 의학 등 다양한 학문 간의 중개자 역할을 해낼 인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최근 국내 주요 대학에서는 융합대학를 설치하고 학부와 대학원에서 연계전공 과정들을 개설하여 시대의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신설 융합 에너지 신소재 공학과는 재료 분야에서 최근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나노 소재”, “에너지 소재”, “전자정보 소재”의 3개 트랙을 전문 분야 안에서 융합하며 일부 “인문사회과학 소양” 분야를 교육 과정에 학제간 융합하여 교육 프로그램으로 제공한다.

 

아래 그림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향후 본 학과의 교육 발전 전략을 크게 1단계 3년간과 2단계 2년간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1 단계에서는 교원, 교육 프로그램, 시설/공간 등 기본적인 교육 요소들을 순차적으로 구축하여 발전 강화하며, 매년 구축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여 피드백 하는 과정으로 요약할 수 있다. 특히, 졸업생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여서 주로 재학생 설문조사, 외부 (산업체 등) 평가, 자체 평가 등의 요소를 최대한 활용하여, 매년 교육 프로그램의 순환 평가를 추진하도록 한다. 2 단계에서는 교육 평가 자료를 통해 향후 융합형 교육의 발전 강화 여부를 면밀하게 판단하여,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융합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한다.

교육 발전

졸업 후 진로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는 21세기 지식 정보사회를 이끌어갈 학문과 기술의 발전, 창의적 기술개발, 그리고 정보산업사회에서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양성하며, 궁극적으로 국가의 발전과 인류의 번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식인을 양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교육목표를 설정한다.

우수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뛰어난 소재의 개발이 필수적이므로 그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재료공학부 졸업생은 제철, 반도체, 석유화학 제품 등의 소재 산업체로 취업이 가능하며, 삼성, LG등의 전기·전자 산업체 등을 비롯한 기계, 자동차, 조선 등 넓은 분야로의 진출이 가능하다. 아울러 국·공립 및 기업 연구소, 학교 등의 연구개발 분야 전문직으로 진출이 가능하며 최첨단 기술 개발의 선구자로서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특히 재료분야의 경우는 타 공학 분야에 비해 연구, 개발관련 수요가 많아 연구직으로 진출기회가 많은 특징을 갖고 있다.

최근 5년간 전국 51개 재료공학 관련 대학의 취업현황은 학부 졸업생의 경우 83.4%이며, 대학원 졸업생은 94.8%이다. 특히 전자, 반도체, 정보통신, 디스플레이 관련 소재 분야로의 진출이 가장 많았고, 산업기계, 정밀화학 관련 소재분야 등에도 다양하게 진출했다. 이밖에도 기술고시나 행정고시를 통해 정부 부처의 관료로 진출하거나, 변리사 시험을 통해 변리사가 되어 재료에 관련한 특허 소송을 다루기도 한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한영규 한영규교수 이학 박사 KAIST 물리화학
남경완 남경완 공학박사 연세대학교 재료화학, 재료전기화학
이재준 이재준 이학 박사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전기화학, 에너지화학, 나노화학
이세연 이세연 공학박사 Kyushu University 유기전자 재료 및 소자
조제웅 조제웅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에너지재료, 나노재료
오제민 오제민 이학박사 서울대학교 무기화학(고체화학)
최창순 최창순 공학박사 한양대학교 에너지재료
권순철 권순철 공학박사 광주과학기술원 유기 반도체 소재 및 소자
진하늘 진하늘 이학박사 고려대학교 나노화학, 재료전기화학
  • 문의

    원흥관 4층 423호 공과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2-2260-8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