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시스템대학

바이오시스템대학은 바이오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특성화하기 위해 2009년에 새로이 출범한 단과대학입니다.

바이오시스템대학 소개 이미지

바이오환경과학과

홈페이지 바로가기

교육목표

바이오환경과학은 지구 3대 환경협약인 생물다양성, 기후변화, 사막화방지 등 지구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21세기 바이오산업 시대에 발맞추어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새롭게 탄생한 학문 분야이다. 바이오환경과학은 바이오자원을 활용하여 인류 발전에 기여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생명공학기술(BT), 환경기술(ET), 정보화기술(IT), 나노기술(NT) 등 최첨단 과학기술을 융합시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론을 정립하고 새로운 기법을 개발하는 응용과학 분야이다.

바이오환경과학 분야에서 연구하고 있는 중점 분야로는 바이오자원 기술 개발, 식물유전자원다양성보존 및 이용, 환경생명공학을 활용한 자생식물 증식 보전기술 개발, 환경정책 수립, 훼손된 생태계 복원기술 개발, 바이오에너지 및 친환경 소재 개발을 통한 바이오산업 육성 등 최근 국제사회에서 새로운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과학기술 개발에 주요 목표를 두고 있다.

 

이와 같은 교육 목적의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다양한 기초과학 지식과 전공 지식을 습득하여 응용력 및 창의력을 갖춘 인재 양성

- 바이오환경과학 전공 지식을 바탕으로 산업현장에서의 실무능력을 갖춘 인력 양성

- 합리적 사고와 효과적인 의사전달 능력을 갖춘 전문가 양성

- 지구촌 국제적 감각을 갖춘 바이오환경인 양성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21세기에 접어들어 지구환경 문제가 국제사회에서 중요한 의제로 대두되면서 환경과학 분야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UN을 중심으로 지구 온난화로부터 파생되고 있는 기후변화, 생물종 다양성 감소, 사막화 확산으로 발생하는 황사 등 복합적인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연환경 보전 분야의 3대 핵심과제를 설정하여 논의가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이오자원을 활용하여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해 다양한 최첨단 과학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바이오환경과학 분야는 생물학, 화학 등의 기초과학 연구에서 이루어지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고 바이오자원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의 자원을 육성하는데 적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바이오기술(BT), 나노기술(NT), 환경기술(ET)을 접목하여 고도로 집적된 융합기술을 개발하여 자연환경 분야 및 환경관련 산업에 적용하여 신수요 시장을 창출해 나가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와 정부에서 핵심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녹색성장을 산업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생태계 복원 기술, 환경생명공학 기술, 바이오에너지 개발 기술 등을 적극적으로 개발해 나가고 있다. 더불어 바이오환경과학 분야는 국제적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립하여 지구촌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핵심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인접 국가 간에 국제적 공조를 바탕으로 협력 체계를 구축해나가고 있는 유망한 학문 분야이다.

졸업 후 진로

- 공무원(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환경직, 산림직 공무원)

- 연구소(정부산하 연구소, 정부출연 연구소, 바이오벤처연구소 등)

- 대학(각 대학 석/박사 연구원, 대학교수로 활동)

- 기업체(바이오산업 관련 기업체, 환경관련 공기업, 바이오환경산업관련 기업체 등)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윤화영 윤화영 농학박사 동국대학교 지속가능환경시스템
강호덕 강호덕 산림자원학박사 미국 Iowa 주립대학교 환경생명공학 (Environmental Biotechnology), 사막화방지학
김대영 김대영 농학박사 일본 동경대학 바이오신소재공학
오충현 오충현 공학박사 서울시립대학교 생태공학, 도시생태학
강규영 강규영 농학박사 동국대학교 바이오에너지공학
조시경 조시경 공학박사 한국과학기술원 폐기물 환경과학
이상룡 이상룡 공학박사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토양물리화학
가야난 고다크 가야난 고다크 Ph. D. Shivaji University 나노소재
수렌드라 수렌드라 Ph. D. Shivaji University 재료과학,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응용
  • 문의

    상영바이오관 1층 145호 바이오시스템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31-961-5347

생명과학과

홈페이지 바로가기

교육목표

생명과학은 지구 상에 존재하는 생명체의 구성과 작동원리, 생명현상의 본질을 탐구하는 학문 영역이다. 우리 생명과학과에서는 생명과학 전반에 관한 기초지식과 이론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생명현상을 탐구함으로써, 인류생활 향상을 위한 응용능력을 갖춘 전문인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를 통해 교육을 실시한다.

 
  • 기초지식 습득
    강의와 세미나를 통해 생명과학 분야의 기초지식과 더불어 최근에 밝혀진 첨단 생명과학 원리에 대한 지식을 교육한다.
  • 응용능력 배양
    실험 실습과 연구실 참여 활동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다양한 연구 분야와 생명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응용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 종합적인 문제해결능력 배양
    학기별 학년별로 구성된 단계적이고 조화로운 교과편성을 통해 생명과학이 당면한 문제, 특히 오늘날 인류사회가 해결해야 할 의료보건문제, 식량문제, 자연환경문제 등을 포함한 다양한 생명과학 활용 분야에 공헌할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을 실시한다.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21세기는 바이오 시대라고 할 만큼 전세계에 생명과학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생명과학 분야는 기초연구에서 이루어지는 연구결과가 의약학 및 다양한 생명관련 산업에 바로 적용되어 큰 시장을 창출할 수 있기에 어느 분야보다도 기초연구의 가치가 큰 학문분야이다. 주요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다.

 
  • 기초연구 분야
    단백질 및 유전자 수준에서 생명현상을 규명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유전자 및 단백질 조작과 같은 고도의 첨단이론과 기술을 적용하는 분야가 발전하고 있다.
  • 산업 분야
    기초연구를 기반으로 한 바이오기술과 생명자원이 산업화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가고 있으며, 이에따른 수요도 경쟁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 정책 분야
    우리나라와 더불어 많은 선진국이 바이오 분야를 국가적 전략으로 삼고 있으며, 국내외 바이오특성화대학은 기초생명 과학 분야에 대한 투자와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다.

졸업 후 진로

전세계적으로 생명과학산업이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집중 육성되고 있기 때문에 생명과학 전공자의 인력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진출 가능한 분야도 매우 다양하다.

 
  • 연구직
    국내 및 해외 대학원에 진학하여 보다 깊이 있는 학문을 접하고 연구함으로써 국•공립기초과학 및 생명공학관련 연구소, 병원, 제약회사, 생명과학 관련 회사, 농식품 회사, 화장품회사, 벤처회사 등의 연구원이나, 국내외 대학 교수로의 진출이 가능하다.
  • 교육기관
    교직 과정이나 교육 대학원과정을 이수하여 중•고등학교 교사로 진출할 수 있다.
  • 기타 전문직
    국가고시를 통해 변리사, 특허관련 직종, 환경부와 보건복지가족부 등의 정부기관 공무원으로 진출할 수 있으며, 의학전문대학원 제도의 도입으로 인하여 생명과학을 전공한 후 의과대학 및 치과대학으로 진학이 가능하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김병혁 김병혁 Ph.D. 서울대학교 시스템 신경생물학
김선정 김선정 Ph.D. KAIST 분자 세포 생물학
마누 쿠마르 Manu Ph.D. Sogang University Plant Stress Physiology and Developmental genetics
서영록 서영록 Ph.D. 고려대학교 환경생물학 및 동물생리학
서태근 서태근 Ph.D. KAIST 미생물학
성정석 성정석 Ph.D. Oregon State University 면역학
이민호 이민호 Ph.D. KAIST 데이터생물학 및 정밀의학
이병무 이병무 Ph.D. Texas A&M 대학교 유전학
이재영 이재영 Ph.D. 서울대학교 구조생물정보학
장원희 장원희 Ph.D. Rice University 발생학
정상민 정상민 Ph.D. University of Wisconsin 식물유전학 및 생리학
  • 문의

    상영바이오관 1층 145호 바이오시스템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31-961-5348

식품생명공학과

홈페이지 바로가기

교육목표

식품생명공학교육의 기본 목표는 인간의 생명유지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식품에 관한 이공학적인 문제와 생명공학의 응용을 탐구함으로써 인간의 건강과 복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인력 양성에 있다. 본 전공에서는 식품화학・식품미생물학・식품공학・식품생화학 등의 기초 학문을 바탕으로 현대 식품산업기술의 기반을 이루고 있는 최신 식품가공 및 저장 기술, 식품 분석 및 위생, 식품공정, 발효공학 및 생물공학, 특수 기능성 식품 등에 관한 응용학문의 이론을 실험실습과 병행하여 교육한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은 졸업 후 실무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과 과제 해결에 대한 응용력과 창의력을 갖게 되어 산업계나 학계에서 크게 공헌하고 인정받을 수 있는 우수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다. 식품생명공학전공교육을 통하여 전공자가 습득할 수 있는 능력과 소양은 다음과 같다.

 

소재 및 제품개발

- 식품 산업의 역할과 위치를 이해한다.

- 식품의 원・부재료의 이화학적 특성을 이해한다.

- 식품의 기호성・영양성・기능성・편이성을 파악하여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의 설계 및 가공법을 개발한다.

- 식품 신소재 및 제품의 개발을 위한 생물공학의 이론과 실제를 이해한다.

 

생산관리

- 식품가공 및 저장법에 따른 생산 공정을 이해한다.

- 최적의 생산공정조건을 예측한다.

- 생산 공정을 위한 기계장치 및 공장 시스템의 조건을 구상하고 설계한다.

- 생산 공정을 감시하고 관리하는 계측제어 시스템을 이해하고 관리한다.

 

품질관리

- 식품의 이화학적 및 생물학적 품질 분석에 관련된 이론을 이해한다.

- 품질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가공법 및 생산조건을 개선한다.

- 품질 관리를 위한 실험을 계획하고 수행한다.

 

식품안전관리

- 식품의 안전성・건전성·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미생물 및 화학적 위해(危害) 분석을 수행한다.

- 식품 원재료의 생산에서 시작하여 가공품의 생산・보존・유통 단계를 거쳐 최종 소비자의 손에 들어갈 때까지의 각 단계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미생물 및 화학적 위해 요인들을 조사하여 관리한다.

 

기술 마케팅

- 판매 시장을 분석하고 신제품 개발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 식품 및 가공 특성의 이해에 근거한 기술마케팅을 구상한다.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식품에 대한 과학과 기술은 민족과 지역 그리고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다. 최근 식품과학기술의 발달과 건강 지향적 가치관의 변화에 힘입어 영양성, 기호성, 안전성, 건강기능성 등이 부가된 다양한 식품들이 연구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학문의 깊이도 보다 첨단화되고 있다. 또한 인간 유전자 지도 완성 후 질병에 대한 대처가 치료에서 예방으로 전환되고 있어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생리조절 기능을 갖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식품에 대한 요구는 필연적이므로 식품산업은 미래 생명공학 시장에서 의약품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식품이나 천연물에서 생리활성 기능을 가진 성분을 탐색하고, 그 효능을 과학적으로 규명하여 이를 식품으로 상품화시키는데 식품생명공학은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졸업 후 진로

동국대 식품생명공학과는 1961년 국내에서 최초로 창설된 이래 2,000 여명의 많은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이들은 현재 국내 식품관련 업체, 정부기관, 교육기관 등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졸업 후 진로는 CJ, 두산, 롯데 등의 식품생산 산업체; 신세계, 농협 등의 식품유통업체; 식약청을 비롯한 보건관련 정부기관 및 한국식품연구원과 같은 정부출연연구소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최근에는 기능성식품업체와 화장품업체, 외식산업, 단체급식업체, 제빵·제과·제면업체 등의 진출도 활발하다. 식품 및 외식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식품공학 출신 졸업생의 수요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취업률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이승주 이승주 Ph.D. Massachusetts(Amherst)
대학교
식품공학
홍광원 홍광원 농학박사 고려대학교 식품생화학
유병승 유병승 Ph.D. 미국 Univ. of Rhode Island 식품가공 및 저장학
이광근 이광근 이학박사 California(Davis)대학교 식품화학 및 독성학
신한승 신한승 이학박사 Michigan주립대학교 기능성식품학 및 소재학
강석성 강석성 Ph.D.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식품미생물학 및 면역학
금나나 금나나 박사 하버드 보건대학원
영양학/역학
영양학, 역학
강준원 금나나 박사 서울대학교 식품미생물학 및 식품안전
박유헌 Bhupendra 농학박사 고려대학교 영양생화학
부펜드라 미스트리 Bhupendra Ph. D Sardar Vallabhbhai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India) 생화학, 의료화학 및 응용화학
가네쉬 Ganesh 박사 Shivaji University 생화학, 바이오 에너지학 및 바이오 연료 생산학
이석희 Ganesh 농학박사 서울대학교 환경식품독성학
김도영 김도영 박사 한양대학교 식품소재 및 식품콜로이드
  • 문의

    상영바이오관 1층 145호 바이오시스템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31-961-5349

의생명공학과

홈페이지 바로가기

교육목표

의생명공학과에서는 건강한 수명 연장의 꿈을 이루기 위한 전문 지식을 습득하고 21세기를 능동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의생명공학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바이오메디컬 융합 신기술 분야의 발전을 견인할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재생융합바이오 및 헬스케어디바이스 분야를 집중적으로 교육하고 있다.

 

재생융합바이오트랙 (Integrated Regenerative Biomedicine Track)

- 세포배양, 생체재료, 단백질 공학, 줄기세포 분야에 대한 기본이론 및 실습교육 수행

- 융·복합 기술로서 미래 유망 신기술로 발전 가능성이 높은 조직재생, 줄기세포, 면역학, 화학생물학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

 

헬스케어디바이스트랙 (Healthcare Device Track)

- 의용전자, 의용메카트로닉스, MEMS 분야에 대한 기본 이론, 공학 지식의 의학 및 바이오 분야 응용을 위한 실습교육 수행

- 최첨단 진단 및 치료용 의료기기, 생체신호 진단기기, 그리고 의료기기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

 

급변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4차 산업 선도형 의생명공학 인재 양성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교육 목표를 제시한다.

 

1. Problem Identification & Problem Solving

사회에서 존재할 수 있는 의생명공학과 관련된 문제 인식을 하고, 창의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Self-driven Learning

의생명공학 분야의 변화 및 발생한 문제 파악을 위해 자기주도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현상을 파악할 수 있다.

3.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

융합 학문인 의생명공학을 이해하는데, 생명, 물리, 화학, 수학,전자, 의학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모일 수 있음을 인지하고 그들에게 자신의 의도를 설명 하기 위한 적절한 의사소통의 방법과 기술을 보유한다.

4. Globalization

의생명공학 학문의 발전에 의한 활용의 대상은 대한민국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인지하고, 글로벌화된 마인드와 능력을 습득한다.

5. Creativeness

의생명공학의 분야 특성상 융합된 학문을 교육하며, 이를 통해 문제 해결 시 다양한 접근 방법을 창의적으로 고안해낼 수 있다.

6. Open mind

융합 학문인 의생명공학의 세부분야로 진출하는 인재들과의 소통을 통해 다양한 시각의 사람들이 모여 인프라 구축이 가능하다.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의생명공학은 국가의 전략적 집중분야로 지정되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의 시장 규모는 2023년이면 우리나라 주력 수출산업인 반도체, 자동차, 화학제품 시장을 합친 것보다 커지고, 2030년이면 바이오·헬스케어 기술이 경제 전반을 주도하는 ‘바이오 경제 시대’에 돌입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은 수준 높은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을 융합해 고부가가치와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분야로, 미래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졸업 후 진로

1. 생체재료·조직재생 연구 및 개발

- 재생의학 및 생체재료 분야의 연구원은 인간의 손상된 장기나 조직을 대체하기 위해 환자의 몸에서 필요한 조직을 채취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 체내에 이식하기 위해 체외에서 일정한 크기의 조직이나 장기로 배양하기 위한 연구를 한다.

- 졸업생은 국내외 생체재료 및 재생의학 대학원 진학, 병원의 기초의학 연구실의 전문연구인력으로 진출하거나 이식용 생체재료, 인공장기 및 인공조직을 다루는 생명공학 회사, 조직은행 등의 인체조직을 가공하는 연구소, 그리고 식약처, 국공립 보건의료기관 등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2. 단백질화학 연구 및 개발

- 단백질화학 연구원은 세포내 조절 기능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단백질의 기능에 대한 연구와 단백질 기반 의약품의 개발 연구를 수행한다.

- 졸업생은 주로 정부출연연구소, 정부기관, 기업부설연구소, 생명공학관련 벤처기업으로 진출하며 이외에 의약품제조업체, 식품제조업체, 화학제품제조업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할 수 있다.

 

3. 의료기기 연구 및 개발

- 의료기기 연구원은 의용전자 및 의용메카트로닉스 같은 전문적 지식을 활용하여 질병에 대한 공학적 접근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영상의료기기, 재활기기, 로봇의료, 수술용 디바이스 등의 의료장비와 관련된 기술을 연구·개발하는 일을 한다.

- 의료기기 개발의 특성을 이해하고, 의료기기의 안정성/유효성을 평가하는 등 의료기기 분야에 특화된 산업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한다.

- 졸업생은 국내외 대학원 진학, 병원 및 의료기기 제조 업체, 국가 부설 연구소, 의료기기시험평가기관, 보건의료관련 국가 및 공공기관 등에 취업할 수 있다. 또한 동대학원에서는 의료기기산업학과와 같은 보건의료 산업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전주기적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김성민 김성민 공학박사 University of Iowa 의공학
권영은 권영은 이학박사 University of Chicago Biochemistry, Chemical Biology
정종섭 정종섭 공학박사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Biomedical Engineering
이수홍 이수홍 이학박사 한양대학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tem Cell Engineering
서영권 서영권 공학박사 동국대학교 Tissue Engineering
김진식 김진식 공학박사 고려대학교 BioMEMS
양승훈 김진식 이학박사 Weizmann Institute of Sciecne, Israel, Biochemistry Department 면역학, 생화학
팔렘 라마수바 레디 팔렘 이학박사 Yogi Vemana University 합성/천연 고분자 합성화학
  • 문의

    상영바이오관 1층 145호 바이오시스템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31-961-5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