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과대학

이과대학은 인류에게 지혜를 안겨주는 글로벌한 대학으로 거듭나고자 최선의 노력을 하겠습니다.

교육목표

모든 학문의 기초인 수학은 인류 문명의 시작과 함께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이러한 발전은 과학 문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를 맞아 정보기술, 나노기술, 생명과학기술 등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나타나는 다양한 수리적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수학의 중요성은 더욱 크게 인식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급격한 발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우리 수학과는 순수 수학분야의 교육뿐만 아니라 응용 수학분야의 교과목을 집중적으로 개발하여 교육함으로써 지식정보화시대에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 고급수학전문인을 양성하고 지식과 지혜를 타인과 더불어 나눌 수 있는 역사의식을 갖춘 지성인을 배출한다.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수학은 경제, 통계, 정보산업 및 컴퓨터과학 등 다양한 연계전공이 있다. 따라서 수학을 전문으로 공부하여 대학원 진학 및 중등교육 분야로 진출하는 경우와 연계전공을 이수하여 금융・보험・전산 분야 등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 이를 위하여 수학과에서는 금융수학, 암호학, 전산응용수학 등 응용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고, 학생들은 졸업 후 수학을 전문으로 하는 분야뿐만 아니라 연계전공을 이수하여 다양한 분야에 진출하고 있다.

졸업 후 진로

대학원에서 수학분야를 전공하거나 응용수학을 바탕으로 경제학, 통계학, 컴퓨터과학 등을 전공하여 대학, 연구소 및 관련 기업에서 근무할 수 있다. 또한 재학 중 중등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졸업 후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중등교육 교사의 길도 열려 있다. 응용수학과목 이수 및 연계전공을 활용하여 금융・보험・전산 분야관련 기업에 진출할 수 있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문환표 문환표 이학박사 서울대학(교) 응용수학
권기운 권기운 이학박사 서울대학(교) 수치해석
조범규 조범규 이학박사 KAIST 대수학
조덕빈 조덕빈 이학박사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수치해석
김도진 김도진 이학박사 오레곤 주립대 수치해석
안재욱 안재욱 이학박사 연세대학교 해석학, PDE
  • 문의

    명진관 1층 156호 이과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2-2260-8712

교육목표

화학은 자연을 구성하는 물질의 조성, 성질, 구조, 물질 상호간의 작용과 변화를 연구하여 자연의 질서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화학은 과학과 공학의 기본이 되며, 의약학을 비롯한 모든 산업기술의 기본이 되는 학문이다.

본 화학과는 화학 전반에 걸친 이론과 실험 교육을 통하여 탐구 정신과 창의적인 사고력을 가진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목표가 있다. 아울러 개개인의 꾸준한 학문적 발전을 통하여 사회와 국가의 발전에 기여하고, 인류 공영에 이바지함으로써 본 대학의 건학 이념인 지혜 체득과 자비 정신을 실천하는 인재를 육성한다. 따라서 본 학과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화학 전반에 관한 기초 지식과 이론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습득하며, 물질에 관한 폭 넓은 이해와 함께 탐구 방법을 학습하여 기본 연구능력을 갖춘 화학 인재를 양성한다.

둘째, 본 학과가 담당하는 교양 교육 과정에서 자연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합리적인 사고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학문 탐구에 관한 기본 원리와 방법을 가르친다.

셋째, 대학원 진학을 적극 권장하며, 전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초 과목은 물론 다양한 응용 과목을 가르쳐서 산업계와 교육계에 맞는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한다.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화학은 그 탐구 대상물질을 시대의 요구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화학 및 화학 관련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3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보더라도 화학이 차지하는 무게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최근 들어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항암제, 항바이러스제, 항균제와 같은 의약품, 초강도 초경량 합금, 차세대반도체, 초전도체 및 고분자 등과 같은 새로운 물질의 개발이 화학의 지원 없이는 이룩될 수 없는 것이다. 앞으로는 화학의 도움으로 컴퓨터가 발전되고, 컴퓨터발전의 미지의 반응, 물질에 대한 예측으로 이어진다면 그 발전속도 및 파장은 정말 예측하기 힘들 정도이다. 이러한 연유로 해서 화학이 모든 자연과학과 기술의 중심이 된다고 말할 수 있다.

졸업 후 진로

화학은 우리 생활주변의 모든 물질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화학 전공자들의 진출분야도 매우 다양하다. 그 동안 배출한 졸업생들의 사회진출 현황을 파악하면 산업계, 교육계, 연구기관 등 다양한 화학 관련 분야에서 모두 인정받는 위치에서 국가와 사회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박봉서 박봉서 이학박사 Michigan주립대학교 유기화학
최중철 최중철 이학박사 서울대학교 물리화학
공영대 공영대 이학박사 Tokyo대학교 유기화학(조합화학)
정현 정현 이학박사 서울대학교 무기화학, 나노화학,
재료화학
김종필 김종필 이학박사 컬럼비아 대학교 생화학
김영관 김영관 이학박사 한국과학기술원 기기분석 (질량분석)
차상원 차상원 이학박사 Iowa주립대학교 분석화학(질량분석, 환경 및 법과학분석)
페리야사미 페리야사미 이학박사 University of Madras Nanometrial
데니슨 데니슨 이학박사 Pusan National University Nanostructured Multifunctional Materials, Hydrogels and 3D Printing
  • 문의

    명진관 1층 156호 이과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2-2260-8714

교육목표

20세기에 들어서 컴퓨터의 발달과 함께 통계학은 많은 발전이 이루어져서, 이제 통계학은 자연 및 인간 생활의 질서를 탐구하고 기획하는 과학 분야로서 인식되고 있으며, 컴퓨터와 더불어 21세기 최첨단을 걸어야 할 지식인들에게는 필수적인 학문이다.

본 전공은 먼저 학생들에게 합리적 사고와 창의력을 함양하도록 통계학 전반에 대한 교육과 컴퓨터 활용력을 길러 학문적 성격을 보다 확고히 함은 물론 점점 복잡해지는 현대사회 구조와 현상을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통하여 정보나 지식을 얻고자 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하고 연구하여 이해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 준다.

즉, 통계학은 불확실한 상황 하에서 최선의 결과를 얻는 방법을 공부하는 학문이다. 또한 다른 모든 학문 분야의 기초적 탐구의 수단으로서, 통계기법을 활용 응용하여 각 학문 발전에 공헌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자연과학, 공학, 생명과학, 의학 등의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은 물론 사회학, 경제학 등 사회과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연구분야들에 이론과 방법론을 제공하여 주는 독특한 학문분야이다.

통계학과에서는 이와 같이 광범위하고 또 다양한 학문 분야들에 이론과 수단이 되어주는 통계학의 이론과 그 방법론을 연구, 개발함으로써 과학적이고 유익한 정보를 생산하며 보다 나은 행동양식과 사회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통계학과는 통계학 전반에 걸친 이론 및 실습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 그 방법론을 올바르게 적용할 줄 아는 능력을 갖추어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 도움이 되는 사회적, 과학적 문제 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통계학자, 대학의 통계학 교수, 정부기관과 다양한 연구기관에 종사할 통계전문가, 실무자의 인재 양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통계학은 지식기반사회의 기본학문으로서, 여러 학문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도 그 응용범위가 더욱 더 넓어지고 있다. 더욱이 디지털 혁명이라고 명명되고 있는 오늘의 환경에서, 통계학은 컴퓨터의 발달과 더불어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축척하고 이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하나의 학문 분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학문 분야를 포함한 사회 여러 부분의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 통계학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인 것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복잡한 현대 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의 실태를 파악하고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의사 결정과정을 위해서 정확한 표본설계 및 설문조사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조사방법론 분야에서 통계학적인 기법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생물정보학 분야에서도 생물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통계적인 분석 기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으며, 금융, 보험, e-비즈니스, 보건, 의료분야, 제조업, 기상, 환경, 사회과학 등 사회 전 분야에서 통계학이 활용되고 있다.

최근 IT와 BT 기술의 발전으로 대량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이들의 연계 시스템을 기반으로 데이터웨어하우스가 일반화되는 추세를 보이면서 기존의 데이터마이닝 분석 방법을 보완 및 개선한 통계적 방법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big data)의 의미있는 분석을 위해 빅데이터가 발생하는 분야의 전문적 지식, 올바른 통계적 분석 방법의 이해 및 선택, 그리고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융합적 지식을 두루 갖춘 데이터전문가(data scientist)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통계학은 다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현대사회의 속성하에서 과학기술의 개발과 인접 학문과의 접합 등에 의하여 계속적인 발전이 전망된다.

졸업 후 진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사는 현 사회는 이들 정보를 효율적이며 객관적으로 수집·이해·분석하는 통계학 및 통계인을 사회 각계 각층에서 필요로 하고 있다.

50여년의 졸업생을 배출한 본과의 졸업생 현황을 보면 행정관청으로는 재경원, 노동부, 통계청 등으로 진출하여 있고, 일반기업체로는 금융·보험업계로 진출하여 정책수립과 기획조사, 전산개발 및 관련분야에서 주요 업무를 담당한다.

또한 공부를 계속하고자 하는 경우 대학원 진학, 한국과학기술원, 해외유학을 통하여 대학교수 및 각 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활발히 진출하고 있다.

본 과에서 취득할 수 있는 자격시험은 보험계리인, 손해사정인, 정보처리기사 1·2급, 품질관리사, 투자분석사, 재무위험관리사(FRM), 사회조사분석사 1·2급 등이고 교직과정 이수 후 수학교사 자격증 2급을 취득할 수 있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이영섭 이영섭 통계학박사 Rutgers대학교 응용통계
김선웅 김선웅 통계학박사 동국대학교 조사통계
안홍엽 안홍엽교수님 통계학박사 Wisconsin(Madison)대학교 응용통계
주용성 주용성 통계학박사 Cornell University 환경통계
박주현 박주현 생물통계학박사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 Chapel Hill 생물통계
  • 문의

    명진관 1층 156호 이과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2-2260-8715

물리 · 반도체과학부

홈페이지 바로가기
 

학부 단위로 입학하여 학부 전체 교과목을 자유롭게 수강신청 할 수 있으며, 전공은 4학년 졸업시점에 결정됩니다. 물리학전공, 반도체과학전공 두 개의 전공영역 중 학부공통 강좌를 포함하여 특정 전공을 단일전공 기준학점으로 충족했을 경우 단일전공으로 졸업이 가능하며, 학부공통 강좌를 제외하고 각각의 전공을 복수전공 기준학점으로 충족했을 경우 학부 내 복수전공으로 졸업 가능합니다.

 

※ 각 전공영역은 교과목별 학수코드로 구분합니다.

(물리반도체과학부 PSS, 물리학전공 PHY, 반도체과학전공 SEM)

교육목표

물리학 전공

물리학은 삼라만상을 대상으로 자연현상의 기본 원리를 실험 및 이론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구명하며, 또한 얻어진 지식을 바탕으로 첨단 현대과학 기술과 연결시키는 데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 물리학 전공에서는 물리학의 학문적 연구에 직접 종사하여 학문적 발전에 기여할 연구 인력에 대한 기초 교육을 실시하며, 물리학 지식을 바탕으로 과학 기술 분야 및 과학 교육에 종사할 연구·교육인력 양성 교육한다. 아울러 물리학을 소양으로 한 사회 지도자와 인접 과학 및 공학 등 타 학문을 연구하는 인력에 대한 지원 교육을 한다.

반도체과학 전공

반도체과학은 그 응용범위가 확대되면서 학문의 구조에 있어서도 반도체 재료 및 소자, 고주파 반도체, 반도체 설계 등으로 구분 정착되어가고 있다. 이에 반도체과학 전공에서는 반도체 재료 및 소자는 물론 초고속 반도체 및 시스템, 반도체 설계 및 시스템 집적화 등 반도체과학 전 분야의 원리적 이해로부터 응용에 이르기까지 균형 있게 학습하고, 아울러 현장 지향적 실습을 병행하여 입체적인 교육을 실시한다. 이로부터 차세대 반도체 기술을 주도할 지식 기반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여 우리나라 첨단 과학기술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함을 목표로 한다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현대의 물질과학 특히 전자 정보기술의 발전에는 고대로부터 연연히 발전 계승되어온 물리학과 더불어 근대에 이르러 비약적인 발전을 하고 있는 반도체 기술의 진화에 근거하고 있다.

특히 물리학은 모든 과학기술의 기초가 되는 학문으로 기초과학, 응용과학 및 산업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 따라서 그 학문 영역이 광대한 만큼 적용되는 분야 또한 광범위하다. 오랜 학문 발전의 역사와 폭발적인 과학 혁명을 몰고 온 분야임을 볼 때, 미래에도 무궁무진하게 발전할 수 있는 중요한 자연과학의 중심 분양이다. 최근 학문의 조류를 살펴보면 고에너지 가속기를 중심으로 한 고에너지 분야와 응집물리학을 기본으로 하는 응용 분야의 발전이 두드러진다. 물리학은 기초 학문 분야뿐만 아리라, 응용분야에서도 우리 실생활에 이용하고 있는 모든 기기의 원리에도 물리학의 기술과 이론이 숨어 있으며, 새로운 물질의 합성, 초소형 로봇, 슈퍼컴퓨터, 지능형컴퓨터 그리고 컴퓨터 칩 등의 획기적인 전기 통신 분야와 과학 혁명을 몰고 올 수 있는 기초 학문이다. 또한 핵융합 관련한 새로운 대체 에너지를 개발하고 전 인류에게 윤택하고 편안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최첨단 분야에서도 물리학의 역학을 지대하고 또한 과학적 성과를 얻어낼 것이다.

한편 트랜지스터를 발명한 후 급속한 발전을 거듭한 반도체 분야는 컴퓨터, 통신, 제어 및 소프트웨어를 비약적으로 발전시킴으로써 공업뿐만 아니라 수학, 물리 등의 기초과학과 예술의 분야까지 새로운 도구를 제공하여 인류문화를 구성하는 기본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종전에 Si 만으로 대변되던 무기물 반도체의 종류도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다양화 되어 가고 있고, 최근에는 유기물 반도체가 이미 기술이 안정되어 그 응용 분야도 정착화 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집적도의 증가와 처리속도의 증가는 그 끝을 예측 할 수 없을 정도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고, 이를 뒷받침하는 공정 기술에 있어서도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뿐만이 아니라 반도체 설계 및 시스템 기술은 다양한 디지털 환경과 문화를 창출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반도체과학 및 관련 기술 발전은 인공지능 컴퓨터 시대의 등장을 예고하고 있으며, 과거 반도체과학이 주변 과학/기술의 발전을 보조하던 시대에서 이제는 주변 기술을 선도하는 역할로 바뀌고 있다.

졸업 후 진로

물리학 전공 졸업생은 학문 특성상 어느 분야에 진출하여도 자기의 소임과 직분을 다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졸업 후 진로는 크게 3분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대학원 물리학과 석·박사 과정에 입학하여 물리학의 심도 있는 연구를 계속하거나 혹은 다른 유사 분야의 대학원에 진학하여 졸업 후 대학이나 연구소에 진출할 수 있으며, 두 번째로는 학사과정의 교원자격증 혹은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중고등학교 교원과 같은 교육 분야에 진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재료, 기계, 광전자 등의 기타 사회 분야로 직접 진출할 수 있다.

반도체과학을 전공한 경우 기업 진출에 있어서는 반도체 재료 및 소자, 제조공정의 개발 엔지니어, 집적회로 설계 엔지니어 및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으로 진출할 수 있다. 전자, 특히 하드웨어를 다루는 시스템, 초고주파 통신 분야의 개발 엔지니어로도 진출할 수 있다. 신기능 반도체 재료, 통신 부품 설계, 시스템 집적 회로 설계, 반도체 공정(나노테크놀로지)등의 대학원 과정으로 진학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기초과학에서부터 시스템 전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은 창업을 시도해볼만 하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조훈영 조훈영 이학박사 KAIST 고체물리학
김형상 김형상 이학박사
Univerzitaet zu
Koeln (서독)
고체물리학
양우철 양우철 이학박사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고체물리학
정권범 정권범 이학박사
연세대학교 
고체물리학
손정인 Sharma Sanjeev Kumar 공학박사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나노신소재및소자
곽보근 Sharma Sanjeev Kumar 이학박사 서강대학교 입자물리이론
김득영 김득영 이학박사 동국대학교 반도체물리학
정웅 정웅 공학박사 KAIST 반도체공학
송민규 송민규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시스템반도체설계
임현식 임현식 이학박사 Oxford대학교 고체 물리(반도체)
김수연 김수연 공학박사 Purdue University VLSI 회로 설계
이세준 이세준교수님 이학박사 동국대학교 반도체소자
장재원 장재원 이학박사 고려대학교 고체물리
Inamdar Akbar Ibrahim Inamdar Akbar Ibrahim Ph.D. Shivaji University Solid State Physics
LIU Guicheng Zhi-Jun Zhang Ph.D.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Beijing Physical Chemistry of Metallurgy
Prakash Ramakrishnan Zhi-Jun Zhang Ph.D.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lectrochemistry
Nabeen Kumar Shrestha Nabeen Kumar Shrestha Ph.D.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Materials Science
Puran Pandey Puran Pandey Ph.D. Kwangwoon University Nanomaterials: Growth & Applications
Vijaya Gopalan Sree Vijaya Gopalan Sree Ph.D. Pusan National University Material Science
Abu Talha Aqueel Ahmed Abu Talha Aqueel Ahmed Ph.D.  Dongguk University Physics
(Energy Electrochemistry)
Atanu Jana Atanu Jana Ph.D.  University of Calcutta chemistry
김민철 김민철 공학박사 숭실대학교 화학공학
Meena Abhishek Meena Abhishek   PUNE Basic science Chemistry
조상은 조상은 반도체과학
박사
동국대학교 반도체과학
NGUYEN DUC ANH NGUYEN DUC ANH 이학박사 Sungkyunkwan University Materials Science
정광식 정광식 공학박사 연세대학교 표면물리 및 반도체물리학
김도준 김도준   성균관대학교 나노분광
김도완 김도완   고려대학교 응집물리 및 반도체물리학
이영민 이영민 이학박사 동국대학교 반도체과학
  • 문의

    명진관 1층 156호 이과대학 학사운영실

  • 전화

    02-2260-8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