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수 측면 긍정적 교육효과 기대
- 교수 본인의 수업에 대한 객관적 평가의 기회 제공
- 미흡한 부분의 정보 제공에 따른 보완 및 개선 기회 제공
- 피드백을 통한 학생과 상호작용의 기회 제공
- 교수간 건전한 경쟁을 통한 교수 개개인의 교육능력 고양
- 우수한 강의 진행에 대한 인정 및 보상
2. 학생 측면 긍정적 교육효과 기대
- 학생 자신의 학습에 대한 진지함 및 책임감 부여
- 수준 높은 강좌의 교육을 통한 학습능력 제고
- 강의의 미흡한 부분에 대한 의견 제시 기회 제공
- 수강 신청시 강좌 선택의 중요 정보 제공
- 교수의 학생에 대한 인격적 대우 및 존중
3. 학교 측면 긍정효과 기대
- 교육 수준의 향상에 따른 학교의 학문적 수준 및 위상 제고
- 우수 강의 진행 교수에 대한 보상의 객관적 자료 제공
- 미흡한 강의 진행 교수에 대한 보완대책 기회 제공
1. 평가횟수 : 2회
2. 평가시기
- 학습자 요구도 조사 : 5주 강의 후 약 1주간 시행 (4월,10월)
- 강의평가 : 종강일 전후 약 2주간 시행 (6월, 12월)
3. 평가대상 강좌 : 전체 개설 강좌 (교원 미배정 강좌 제외)
※ 강의평가 제외 대상 : 교원 미배정 강좌, 팀티칭 강좌 중 8주(학습자요구도조사는 5주)
이상 담당 교원이 없는 강좌